다음과 같은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 모노이드 범주

- 함자
,
사이의 자연 동형
. 여기서
,
는 곱범주 위의 표준적인 자연 동형이다.
이 데이터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을 생각하자.
- (결합자와의 호환) 임의의 대상
에 대하여,
. 즉, 다음 그림은 가환 그림이다.
![{\displaystyle {\begin{matrix}(X\otimes Y)\otimes Z&\xrightarrow {\sigma } &(Y\otimes X)\otimes Z\\{\scriptstyle \alpha }\downarrow &&\downarrow \scriptstyle \alpha \\X\otimes (Y\otimes Z)&&Y\otimes (X\otimes Z)\\{\scriptstyle \sigma }\downarrow &&\downarrow \scriptstyle \sigma \\(Y\otimes Z)\otimes X&{\xrightarrow[{\alpha }]{}}&Y\otimes (Z\otimes X)\\\end{matrix}}}](//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b5e0bda118de94b3da9f0f80d29d34026df44778)
- (결합자의 역원과의 호환) 임의의 대상
에 대하여,
. 즉, 다음 그림은 가환 그림이다.
![{\displaystyle {\begin{matrix}X\otimes (Y\otimes Z)&\xrightarrow {\sigma } &X\otimes (Z\otimes Y)\\{\scriptstyle \alpha ^{-1}}\downarrow &&\downarrow \scriptstyle \alpha ^{-1}\\(X\otimes Y)\otimes Z&&(X\otimes Z)\otimes Y\\{\scriptstyle \sigma }\downarrow &&\downarrow \scriptstyle \sigma \\Z\otimes (X\otimes Y)&{\xrightarrow[{\alpha ^{-1}}]{}}&(Z\otimes X)\otimes Y\\\end{matrix}}}](//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6523e7b14df81da2408b37ace3aff6971c41faca)
- (멱등성) 임의의 대상
에 대하여,
. 즉, 다음 그림은 가환 그림이다.

이 데이터가 (결합자와의 호환) 그림 및 (결합자의 역원과의 호환) 그림을 가환 그림으로 만든다면, 꼬임 모노이드 범주(영어: braided monoidal category)라고 한다. 이 데이터가 (결합자와의 호환) 그림 및 (멱등성) 그림을 가환 그림으로 만든다면, 이를 대칭 모노이드 범주(對稱monoid範疇, 영어: symmetric monoidal category)라고 한다. (결합자와의 호환) 및 (멱등성)이 성립한다면 (결합자의 역원과의 호환) 역시 자동적으로 성립한다. 즉, 모든 대칭 모노이드 범주는 꼬임 모노이드 범주이다.
대칭 모노이드 함자
두 꼬임 모노이드 범주


사이의 꼬임 모노이드 함자(영어: braided monoidal functor)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모노이드 함자

이다.
- (꼬임과의 호환) 임의의 대상
에 대하여,
. 즉, 다음 그림이 가환한다.

두 대칭 모노이드 범주 사이의 대칭 모노이드 함자(영어: symmetric monoidal functor)는 단순히 둘 사이의 꼬임 모노이드 함자이다.
두 꼬임·대칭 모노이드 범주 사이의 두 꼬임·대칭 모노이드 함자 사이의 꼬임·대칭 모노이드 자연 변환(영어: braided/symmetric monoidal functor)은 단순히 둘 사이의 모노이드 자연 변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