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이명동음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음악에서 딴이름한소리 또는 이명동음(異名同音, Enharmonic)은 음의 이름은 다르나 똑같은 소리를 가진다는 뜻이다
정의
예를 들어, 12평균율 (서양 음악에서 음악 튜닝의 주된 시스템)에서 C♯과 D♭은 음높이가 같은 음, 즉 이명동음이다. 즉, 건반의 동일한 건반이므로 음높이가 동일하지만 하모니와 코드 진행에서 이름과 역할이 다르다.
즉, 두 음의 음이름이 다르지만 음높이가 같은 경우를 이명동음이라고 한다.
다만, 19평균율, 31평균율처럼 이명동음 관계가 12-TET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19평균율에는 C♯과 D♭이 서로 이명동음 관계가 아니며, C♯과 D이 서로 이명동음 관계다.

예 : 12평균율에서 C♯과 D♭이 이명동음 관계
이명동조
이명동조(異名同調, Enharmonic key), 혹은 딴이름한소리 조란 이명동음과 마찬가지로 조성의 이름은 다르나 동일한 음을 내는 조성을 말한다. 이명동조 관계에 해당하는 각각의 으뜸음들이 서로 이명동음 관계다.[1]
다음의 음계는 서로가 이명동음 조성이다.
장조
단조
이론적
- 내림바장조 (내림표 8개) - 마장조 (올림표 4개)
- 올림사장조 (올림표 8개) - 내림가장조 (내림표 4개)
- 내림라단조 (내림표 8개) - 올림다단조 (올림표 4개)
- 올림마단조 (올림표 8개) - 바단조 (내림표 4개)
위는 12평균율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그 외의 다른 음률에선 딴이름한소리가 위와 전혀 다를 수 있다.
제일 보편적인 음률에선 가독성과 관련하여 조표에 내림표, 올림표가 7개 있는 조성 (예: 내림다장조, 내림가단조, 올림다장조, 올림가단조)은 일반적으로 사용해오지 않았고, 표기가 보다 간단한 이명동조인 올림표, 내림표 5개의 조성 (예: 나장조, 올림사단조, 내림라장조, 내림나단조)으로 대체해왔다.
물론, 마찬가지로 조표에 내림표, 올림표가 8개 이상 있는 조성 (예: 내림바장조, 내림라단조, 올림사장조, 올림마단조 등) 역시 일반적으로 표기가 간단한 이명동조인 올림표, 내림표 4개 이하의 조성 (예: 마장조, 올림다단조, 내림가장조, 바단조 등)으로 대체 표기해왔다.
다만, 19, 31평균율처럼 이명동음 관계가 12 평균율과 다른 음률에서는 이명동조 관계에 변동이 올 수 있으므로 예외가 될 수 있다. 그 외에 내림표, 올림표 7개 (혹은 8개 이상의) 조성은 제일 보편적인 음률에선 이명동조를 사용하지 않을 시 직접적인 조표 형태 대신 간헐적인 임시표 형태로 쓰이는 것이 대부분이다.
Remove ads
이명동음 조율
요약
관점
원칙적으로, 동일한 음을 의미하는 이명동음이라는 단어의 현대 음악 사용은 한 옥타브를 균등하게 나눈 평균율에서만 정확하다. 그러나 다른 음률(예 : 순정률)에서는 이명동음에 가깝게 인지되는 어떤 음들이라도 상당히 구별된다.
피타고라스
피타고라스 조율에서 모든 음정은 각각 3:2의 주파수 비율을 갖는 적절하게 조율된 완전 5도의 연속에서 생성된다. 시리즈의 첫 번째 음이 시리즈의 13번째 음인 A♭이면 G♯이 더 높다. A♭의 7옥타브(옥타브 = 1대 2의 비율, 7옥타브는 1대 27 = 128)보다 피타고라스 콤마라는 작은 간격으로 표시된다. 이 간격은 수학적으로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