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벨 리 군
아벨 리 대수
를 생각하자. 그렇다면,
위의 푸아송 다양체 구조는 상수 함수 0이며, 그 심플렉틱 잎은 모두 한원소 공간이다.
구체적으로,

이라고 하자. 이에 대응하는 단일 연결 리 군
은 (자명하게) 멱영 리 군이다. 이는 아벨 군이므로, 그 유니터리 기약 표현은 모두 1차원이며, 다음과 같은 꼴이다.

이 기약 표현은 점
으로 구성된 한원소 공간인 심플렉틱 잎에 대응된다. 그 지표

는 부피 형식(
에서의 디랙 델타)의 푸리에 변환이다.
SU(2)
(3차원 직교군의 리 대수)라고 하자. 이는 3차원 벡터 공간이다. (
가 반단순 리 대수이므로, 킬링 형식
에 의하여 딸림표현과 그 쌍대 표현 사이에 표준적인 동형이 존재한다.) 이 위에서 SO(3)의 궤도는 다음과 같은 꼴이다.

즉, 이는 음이 아닌 실수 반지름
의 구이다. 이는
의 바일 방인 반직선과 일대일 대응한다.
일 때 이는 2차원의 심플렉틱 잎을 이루며,
일 때 이는 0차원의 심플렉틱 잎을 이룬다. 2차원 심플렉틱 잎의 심플렉틱 형식은 구면 좌표계
에서

이다. 즉, 구면의 넓이 원소에 비례한다.
이 경우, 최고차 무게는 스핀이며, 양의 정수 × ½의 꼴이다. 유일한 양근은
에 해당하며,
이다.
이 경우, 스핀
에 대하여,

이며,

이다.
여기서 정적분

을 사용하였다.
이 경우, 야코비안은

이다.
즉, 스핀
에 대응하는 군 표현의 지표는 다음과 같다.

사실, 스핀
의 차원의 경우, 표현의 대각선의 성분은 구체적으로

가 된다. 이 경우, 기하 급수의 합을 취하면 키릴로프 지표 공식이 성립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이젠베르크 군
단일 연결 멱영 리 군인 하이젠베르크 군

을 생각하자. 그 실수 리 대수는 다음과 같은 꼴의 행렬로 구성된다.

3×3 실수 행렬의 공간 위에 내적

을 사용한다면,
의 쌍대 공간은 3×3 실수 행렬의 내적 공간
속에서 다음과 같은 직교 여공간으로 표현된다.

이 위의 쌍대딸림표현은 다음과 같다.

따라서, 그 궤도(심플렉틱 잎)는 다음 두 종류가 있다.
인 점은 군의 작용의 고정점이다. 이 경우, 심플렉틱 잎은 0차원이다. 이는
의 표현 가운데, 아벨 몫군
의 표현으로 유도되는 것에 해당한다.
일 때, 궤도는
의 꼴이다. 즉, 심플렉틱 잎은 2차원이며, 그 위의 심플렉틱 형식
은 2차원 유클리드 부피 형식에 비례한다. 이는
의 표현 가운데, 메타플렉틱 표현에 해당한다. 이 경우,
는 메타플렉틱 표현을 결정하는 중심 원소의 값에 대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