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 매끄러운 다양체

- 리 군
. 그 실수 리 대수를
라 하자.
- 매끄러운 주다발

위의 주접속의 개념은 여러 가지로 정의할 수 있다.
- 주접속은 특정한 두 조건을 만족시키는, 리 대수
값의 1차 미분 형식
으로 정의할 수 있다.
- 주접속은 특정한 호환 조건을 만족시키는 에레스만 접속
으로 정의할 수 있다.
- 주접속은
위의 특정한 올다발의 특정한 매끄러운 단면으로 정의할 수 있다.
- 주접속은 주다발의 국소 자명화에 대하여 각 조각 위의
값의 1차 미분 형식들의 족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 정의들은 모두 서로 동치이다.
에레스만 접속을 통한 정의
의 에레스만 접속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를 주접속이라고 한다.

여기서
는
의
위의 오른쪽 작용이다.
는 위 매끄러운 함수의 미분이다.
미분 형식을 통한 정의에 따른 주접속
가 주어졌을 때, 이에 대응하는 에레스만 접속은 다음과 같다. 우선, 임의의
에 대하여,
의 오른쪽 작용을 생성하는 벡터장의 족을


로 표기하자. 그렇다면, 위 작용이 정추이적 작용이므로,
의 상은
의 수직 벡터 다발
과 같으며, 이는 벡터 다발의 표준적인 동형 사상

를 정의한다. (좌변은 올이
인 자명한 벡터 다발이다.) 따라서,
를
의 단면으로 여길 수 있으며,
는 벡터 다발 사상

를 정의한다. 이는 멱등 함수이며 (
), 따라서 그 핵으로 완전히 명시된다. 그 핵
은 에레스만 접속이다.
벡터 다발을 통한 정의
딸림표현의 연관 벡터 다발[2]:545–546, §3

을 생각하자. 또한,
는 접다발
위에 오른쪽 군 작용을 가지며, 이에 따라 몫공간
를 정의할 수 있다. 그 차원은
이며, 또한
- 벡터장의 밂
는 매끄러운 올다발을 이룬다. (그러나 이는 일반적으로 벡터 다발이 아니다.)
은 매끄러운 벡터 다발을 이룬다.
올다발
을 주접속 다발(영어: bundle of principal connections)이라고 한다.[1]:141, §Ⅳ.1 즉, 다음과 같은 가환 그림이 존재한다.

이는 다음과 같은 표준적인
위의 매끄러운 벡터 다발들의 짧은 완전열을 이룬다.[2]:547, (3.2)

는 이 열 위에 작용하며,
와
는
의 작용 아래 불변이다.
이 경우,
의 주접속은 위 짧은 완전열의 분할이다. 즉, 아벨 범주의 분할 보조정리에 따라, 다음과 같은 두 데이터가 서로 동치이며, 이는 주접속의 데이터와 같다.
의 왼쪽 역사상인
-매끄러운 벡터 다발 사상 
의 오른쪽 역사상인
-매끄러운 벡터 다발 사상
[1]:142, §Ⅳ.1
짧은 완전열의 성질에 따라, 두 주접속의 차는 매끄러운 벡터 다발 사상
를 정의하며, 이는 벡터 값 미분 형식

의 원소와 같다. 즉, 주접속의 모듈라이 공간은 이 실수 벡터 공간에 대한 아핀 공간이다.
국소 자명화를 통한 정의
를 자명화할 수 있게 충분히 섬세한 임의의
의 열린 덮개
를 골랐다고 하자. 그렇다면,
의 주접속은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주어진다.
- 각
에 대하여, 리 대수 값 1차 미분 형식 
이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 임의의
에 대하여, 만약
이라면, 어떤 매끄러운 함수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해야 한다.

여기서
는 리 군에 대응되는 실수 리 대수이다.
는 리 군의, 스스로의 리 대수 위의 딸림표현이다.
같은 열린 덮개
위에 정의된 두 주접속
,
에 대하여, 만약 어떤 매끄러운 함수들의 족

에 대하여

라면,
와
을 같은 주접속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정의는 이론물리학에서 자주 쓰이며, 물리학에서 위와 같은 동치 관계를 게이지 변환이라고 한다.
이 정의는 다른 정의들과 동치이다. 구체적으로, 주접속을
위에 정의된 1차 미분 형식
으로 정의하였다고 하자. 이 경우, 열린 덮개
에 대한 국소 자명화는 각
에 대한 매끄러운 단면
으로 주어진다. 이 경우,

로 놓으면 국소 자명화를 통한 정의를 얻는다. 이 과정에서, 만약 사용한 자명화를

와 같이 바꾸면

가 되어, 같은 주접속을 얻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