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태조 왕건 (드라마)

대한민국 방송국 KBS1의 대하드라마. 200부작으로, 2000년부터 2002년까지 방영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태조 왕건》(太祖王建)은[1] 2000년 4월 1일부터 2002년 2월 24일까지 방송한 사극이다.[2]

간략 정보 장르, 방송 국가 ...
Remove ads

방송 시간

자세한 정보 방송 채널, 방송 기간 ...

제작진

  • 연출 : 김종선
  • 극본 : 이환경
  • 해설 : 김종성
  • 촬영 : 지한규, 우성주
  • 조명 : 이형운
  • 편집 : 민병호
  • 음악 지휘 : 임택수
  • 작곡 : 김동성
  • 무술감독 : 이영수

등장인물

요약
관점

주인공

주요 인물

신라 인물

후삼국 정립 전

후삼국 정립 후

후백제 관련인물

후백제의 왕후와 왕족

후백제의 대신

상주 세력

146회에서 훈겸에게 지렁이 약재를 건네는 도인 역

  • 손종범 : 후백제에 투항하는 상주 호족 역

후고구려(마진,태봉) 관련인물

후고구려(마진,태봉)의 왕후와 왕족

후고구려(마진,태봉)의 대신

군벌 시절 관련인물

철원 세력
  • 송영창 : 철원 성주 역 (1회,22회)
  • 이계영 : 철원성 부장 역
  • 송금식 : 철원성 부장 역 (1회,22회)
  • 신원균 : 철원성 전령 역 -오프닝 제외 1회 첫 화면 등장 인물
  • 유종근 : 철원성 밖 방어진장 역 (1회,22회)
북원(원주) 세력
  • 이치우 : 양길
  • 김기진 : 명길
  • 황덕재 : 양길의 첫째사위 역
  • 이기철 : 양길의 둘째사위 역
  • 류민주 : 양길의 딸 미향(북원 부인) 역
  • 이재응 : 효선 역 (궁예와 미향의 아들)
죽주(안성) 세력

고려 관련인물

고려의 왕후와 왕족

아역

고려의 대신

우산국 관련인물

발해 관련인물

  • 김규 : 대광현
  • 윤용덕 : 신덕 역

흑수말갈 관련인물

  • 박세범 : 흑수말갈 족장 역
  • 조병곤 : 여진족 추장 역
  • 이건 : 여진족 추장 역

그 외 인물

벽진(성주) 호족

(특별출연)

광주 호족
평주(평산) 호족
정주(개풍) 호족
금성(나주) 호족
충주 호족
조물성(성주) 호족
  • 김동석 : 애선 역, 예성강 포구 경비대장역, 파달의 부장 역 142회에서 전사
고창(안동) 호족
북미질부성(영덕) 호족
남천연(이천시) 호족

송악 호족 시절 관련인물

승려

무당

17화 용왕제 주관 무당

Remove ads

캐스팅에 관해

  • 김영철: 태조 왕건 - 궁예, 야인시대 - 중년 김두한
  • 전미선: 태조 왕건 - 신명순성왕후 유씨, 야인시대 - 김두한의 생모
  • 손호균: 태조 왕건 - 원회, 야인시대 - 상하이박 / 이석재
  • 박승호: 태조 왕건 - 신훤, 야인시대 - 미우라
  • 전무송: 태조 왕건 - 최승우, 야인시대 - 사이토 마코토
  • 손종범: 태조 왕건 - 호족 / 의원, 야인시대 - 나석주
  • 이대로: 태조 왕건 - 도선대사, 야인시대 - 염동진
  • 김학철: 태조 왕건 - 박술희, 야인시대 - 조병옥
  • 임혁주: 태조 왕건 - 박영규, 야인시대 - 장택상
  • 문회원: 태조 왕건 - 경애왕, 야인시대 - 김규식
  • 김윤형: 태조 왕건 - 기훤, 야인시대 - 여운형
  • 송금식: 태조 왕건 - 대야성 장군, 야인시대 - 김후옥
  • 나한일: 태조 왕건 - 변사부, 야인시대 - 금강
  • 함석훈: 태조 왕건 - 윤선 / 도적 마석두 / 예성강 포구 경비대장, 야인시대 - 황병관
  • 오성열: 태조 왕건 - 입전 / 박영규 집사 / 양길 전령, 야인시대 - 김상도
  • 기정수 : 파달 역 야인시대 - 단게 이쿠다로
Remove ads

참고 사항

  • 1999년 11월 10일에 문경세트 고려궁 상량식을 개최하였고, 드라마는 상량식 이후 약 2년만인 2002년 2월 24일에 종영하였다.
  • 원래 2000년 1월 1일 첫 방영 예정이었으며 작가 이환경의 전작 용의 눈물 담당 PD였던 김재형이 연출자로 낙점됐다. 그러나 김재형이 수뢰 혐의로 연출에서 손을 떼자[9] KBS는 <왕과 비>를 2000년 3월까지 연장하고 이 과정에서 <왕과 비>는 담당 PD 김종선이 <태조 왕건> 연출자로 발령되어 하차하는 대신 윤용훈-윤창범 공동연출로 변경되었다.[10]
  • 강비 역에 강수연, 김혜수, 김지수, 이태란 등이 거론되었으나,[11] 이런저런 사정으로 고사하자 김혜리를 간신히 캐스팅했지만, <용의 눈물>, <왕과 비>에 이어 연달아 투입시켰다는 지적을 받았다.
  • 2001년 12월 열린 제 14회 한국방송작가상 드라마 부문의 영예를 안았는데[12] 역대 한국방송작가상 드라마 부문 수상작 중 유일한 사극이었으나 SBS <녹두꽃>이 2019년 12월 열린 제 32회 한국방송작가상 드라마 부문 수상의 영예를 안아[13] 역대 두 번째 사극 수상작이 됐다.
  • 한편, 당초 2001년 12월 말 끝낼 계획이었지만 후속작으로 기획된 <제국의 아침>의 주연급 연기자 캐스팅 문제로 인해 2002년 2월 막을 내렸다.[14]
  • 금강이 화살에 박힌 눈알을 뽑아서 삼켜먹는 장면을 내보내 방송위원회로부터 경고를 받았다.[15]
  • 2001년 9월 29일과 같은 달 30일 방송분에서는 견훤의 포석정 습격 장면 등을 내보냈는데 이 과정에서 지나치게 역사를 왜곡시켰다는 지적이 있었다.[16]
  • 한국 녹차의 효시를 보성군인 것처럼 표현한 극중 대사 문제로 하동군의 한 주민으로부터 정정보도와 손배소를 당하기도 했다.[17]
  • 태조 왕건과 야인시대는 동일한 인물인 이환경이 극본을 쓰고 제작하였다.
  • 궁예애꾸눈대머리라 엄청난 인기를 끌었다. 스트리트 파이터라는 비디오 게임에 등장하는 사가트와 외모가 유사해서 화제가 되었다.
Remove ads

수상 경력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