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미량 아민

화합물의 부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미량 아민
Remove ads

미량 아민(영어: trace amine)은 미량 아민 관련 수용체 1(TAAR1) 작용제의 내인성 그룹이며,[1] 따라서 모노아민작동성 신경조절물질이다.[2][3][4] 미량 아민은 구조적, 대사적으로 고전적 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과 관련이 있다.[5] 고전적 모노아민에 비해 이들은 미량으로 존재한다.[5] 미량 아민은 포유류의 뇌와 말초 신경 조직 전체에 걸쳐 이질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높은 대사율을 보인다.[5][6] 미량 아민은 모체 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 시스템 내에서 합성될 수 있지만,[7] 이들 중 일부는 자체의 독립적인 신경전달물질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는 증거가 있다.[2]

간략 정보 미량 아민, 클래스 식별자 ...

미량 아민은 TAAR1이 공존하는 모노아민 뉴런의 시냅스 틈에서 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의 양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6] 이들은 TAAR1 활성화를 통해 이러한 모노아민 뉴런에 대해 잘 알려진 시냅스 전 암페타민과 유사한 효과를 나타냈다.[3][4] 구체적으로 뉴런에서 TAAR1을 활성화함으로써 시냅스 틈으로부터 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의 방출을 촉진하고[주 1] 재흡수를 방지하며 활동 전위의 생성을 억제한다.[6][8] 펜에틸아민과 암페타민은 사람의 도파민 뉴런에서 유사한 약력학을 보이는데, 두 화합물 모두 소포 모노아민 수송체 2(VMAT2)에서의 유출을 유도하고[7][9] 비슷한 효능으로 TAAR1을 활성화시키기 때문이다.[6]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세로토닌과 마찬가지로 미량 아민은 ADHD,[3][4][10] 우울증,[3][4] 조현병[2][3][4] 등 사람의 다양한 정서 및 인지 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4][10] 미량 아민작동성 저기능은 특히 ADHD와 관련이 있는데, 그 이유는 ADHD 환자의 소변 및 혈장 펜에틸아민의 농도가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낮고, ADHD에 가장 흔히 처방되는 두 가지 약물인 암페타민메틸페니데이트는 치료에 반응하는 ADHD 환자의 펜에틸아민 생합성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3][11] ADHD 바이오마커에 대한 체계적 고찰의 결과, 소변의 펜에틸아민 수치가 ADHD 진단 바이오마커가 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11]

Remove ads

미량 아민의 목록

Thumb
N-메틸펜에틸아민
N-메틸티라민
p-옥토파민
시네프린
AADC
AADC
AADC
주요
경로
PNMT
PNMT
PNMT
PNMT
AAAH
AAAH
비주요
경로
DBH
DBH
위 그림에는 클릭할 수 있는 링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페닐에틸아민작동성 미량 아민(노란색으로 표시)과 카테콜아민은 아미노산인 L-페닐알라닌으로부터 유래된다.

사람의 미량 아민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고전적 모노아민인 노르에피네프린, 세로토닌, 히스타민은 그 자체로는 미량 아민이 아니지만 모두 사람의 TAAR1 수용체의 부분 작용제이다.[6] 도파민은 사람의 TAAR1에 대한 높은 친화력을 가지고 있는 작용제이다.[8][17][18] N-메틸트립타민N,N-다이메틸트립타민은 사람의 내인성 아민이지만, 2015년을 기준으로 이들의 사람의 TAAR1에 대한 결합은 확인되지 않았다.[2]

Remove ads

농도

미량 아민은 신경계에 미량 또는 매우 낮은 농도로 존재하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여졌다.[19] 이러한 농도는 세로토닌,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과 같은 고전적인 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보다 훨씬 낮다.[19] 그러나 모노아민 산화효소에 대한 강한 민감성에 따른 미량 아민의 빠른 대사 회전율은 이들이 정상 상태 측정으로 예측한 것보다 훨씬 높은 농도로 화학적 시냅스로 존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19]

역사

이 연구의 역사적 발전을 특히 잘 논의한 미량 아민 관련 수용체에 대한 철저한 검토는 그랜디(Grandy)의 검토이다.[20]

같이 보기

주해

  1. 특정 미량 아민(예: 펜에틸아민)은 소포 모노아민 수송체인 VMAT2를 기능적으로 억제하지만, 다른 아민(예: 옥토파민)은 그렇지 않다. 모노아민 뉴런에서 VMAT2 기능을 억제하지 않는 미량 아민은 VMAT2 기능을 억제하는 아민만큼 효과적으로 신경전달물질을 방출하지 않는다.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