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보성운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보성운수(普聖運輸)는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운수 업체로,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3동에 주사무소를 두고 있으며, 관악구 난향동과 온수동에도 영업소가 있다.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3년 9월) |
Remove ads
역사
1970년대 ~ 1980년대
- 1971년 5월 26일: 서울승합 영등포 영업소가 분리되어 보성운수 주식회사로 설립.
- 1973년 3월 20일: 오류동/신정동 영업소를 세풍운수로 분리독립시켰다.
- 1974년: 난곡 - 독립문 구간 101번을 운행하던 영일교통[1]을 흡수 합병하였다. 동시에 난곡차고지(난향동영업소)를 개설하였다.
- 1976년: 공항버스에서 도시형버스 106번을 인수 받았다.
- 1982년: 구로동 - 영등포 - 노량진 - 신세계백화점 구간을 운행하던 120번을 시흥동 - 구로동 - 영등포 - 여의도로 변경
- 1985년: 도시형 106번 (당시 시흥동 - 구 삼립식품 - 구로역 - 신도림역 - 영등포)을 신길운수에 매각
1990년대 ~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이전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이후
- 2004년 7월 1일: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과 함께 지선버스 5개 노선으로 운행 개시 및 서울교통네트웍 컨소시엄에 지분을 출자하였다.
- 2006년 11월 24일: 지선버스 5521번 노선 폐선, 5522번(순환노선, 난곡로 → 호암로 A / 호암로 → 난곡로 B)을 신설.
- 2007년 4월 7일: 지선버스 5523번(난향동 ↔ 서울대입구역) 신설(이후 5523번은 한때 폐선되었다가 운행 재개)
- 2009년 12월 24일: 지선버스 5615번 여의도구간 노선 일부 변경, 6512번이 영등포역 양방향 운행으로 변경
- 2010년 8월 2일: 서울교통네트웍 컨소시엄에 빠져나오면서 간선버스 670번 노선을 서울교통네트웍과 공동 배차로 운행 개시
- 2011년 2월 8일: 지선버스 6512번이 구로구청 경유로 노선 변경
- 2011년 5월 9일: 지선버스 5522번이 운행구간 변경
- 2011년 8월 25일: 간선버스 670번이 영신로 운행 변경 및 상암동 구간 일부 단축
- 2015년 6월 1일: 간선버스 670번이 디지털미디어시티역으로 연장
- 2020년 2월 1일: 간선버스 670번이 가양역으로 단축되면서 10년 만에 번호가 다시 660번으로 돌아왔다.
Remove ads
운행 노선
2020년 2월 1일 기준이다.[2]
Remove ads
과거 운행노선
개편 전 노선
- 101번: 난곡 차고지 ↔ 노량진 (현재 폐선)
개편 후 노선
- ● 5521번: 난곡 차고지 ↔ 낙성대입구 (구 101-1번, 2006년 11월 24일 폐선)
- ●670번: 온수동 차고지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2020년 2월 1일 단축으로 660번으로 노선 번호 변경)
보유 차량
자일대우버스
KGM커머셜
우진산전
사업장 현황
- 구로동 본사 (5618번, 6512번)
- 난곡차고지 영업소 (5522A번, 5522B번, 5523번, 5615번)
- 온수동차고지 영업소 (670번)
갤러리
- 서울시내버스 5615번 (대차 전)
- 서울시내버스 5618번 (대차 전)
- 서울심야버스N866 표지판(2018년 12월 1일 ~ 12월 31일까지 운행)
- 보성운수 난향동 차고지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