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성남이천로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성남이천로(城南利川路)는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 성남시청교차로와 이천시 부발읍 응암리 응암 교차로를 잇는 경기도의 도로이다. 기존의 상습 정체 구간인 국도 제3호선의 경충대로를 대체하는 국도대체우회도로이며, 전 구간 자동차 전용도로로 건설되었다. 공사 당시에는 성남 ~ 장호원간 도로라는 명칭으로 불렸다.
본래 이 도로는 도로 명칭처럼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 풍계리 풍토 교차로까지 이어지는 총 연장 62.5km의 도로로 계획되었다. 그러나 2016년 예비타당성조사에서 마지막 6공구(이천시 부발읍 응암리 응암 교차로 ~ 장호원읍 풍계리 풍토 교차로까지 15.2km) 구간이 통과하지 못하면서 건설이 무산되었고, 남은 1 ~ 5공구인 47.3km 구간만 건설되었다.
Remove ads
역사
- 1999년 4월 : 제1차 국도5개년계획 (2000 ~ 2005년) 대상사업 중 2002년 추진예정 사업으로 선정 (성남 - 장호원: 61.3km)
- 2000년 ~ 2002년 : 건설교통부에서 실시설계 시행
- 2002년 3월 : 2공구 (광주시 태전동 태전 분기점 ~ 초월읍 용수리 쌍동 분기점) 구간 착공
- 2004년 4월 : 1공구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 여수 교차로 ~ 광주시 태전동 태전 분기점) 10.9km 구간 착공[1]
- 2004년 11월 8일 : 3공구 (광주시 곤지암읍 부항리 ~ 초월읍 용수리) 7.72km 구간 착공[2]
- 2004년 11월 : 4공구 (곤지암읍 부항리 열미 교차로 ~ 이천시 백사면 모전리 도봉 교차로) 10.15km 구간 착공[3]
- 2005년 9월 : 5공구 (이천시 백사면 모전리 도봉 교차로 ~ 부발읍 응암리 응암 교차로) 12.2km 구간 착공[4]
- 2007년 10월 26일 :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 ~ 이천시 부발읍 응암리 47.3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5]
- 2012년 9월 28일 : 섬말 나들목 ~ 직동 나들목(성남시 중원구 갈현동 ~ 광주시 직동) 4.8km 구간 임시 개통[6]
- 2013년 4월 30일 : 태전 분기점 ~ 쌍동 분기점(광주시 장지동 ~ 초월읍 대쌍령리) 5.7km 구간 임시 개통[7]
- 2015년 4월 23일 : 대원 나들목 ~ 섬말 나들목(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 ~ 갈현동) 1km 구간과 직동 나들목 ~ 태전 분기점(광주시 직동 ~ 태전동) 3.1km 구간 임시 개통[8]
- 2016년 3월 : 6공구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발표 (기본안 B/C : 0.42, 개선안 B/C : 0.48)
- 2016년 11월 11일 : 쌍동 분기점 ~ 초월 나들목(광주시 초월읍 대쌍령리 ~ 선동리) 2.8km 구간 개통[9]
- 2017년 1월 25일 : 백사 교차로 ~ 부발 교차로(이천시 백사면 모전리 ~ 부발읍 죽당리) 6.1km 구간 개통[10]
- 2017년 9월 8일 : 성남시청 교차로 ~ 대원 나들목(성남시 중원구 여수동 ~ 도촌동) 2.8km 구간 개통[11]
- 2017년 12월 31일 : 초월 나들목 ~ 백사 교차로(광주시 초월읍 선동리 ~ 이천시 백사면 모전리) 6.4km 구간과 부발 교차로 ~ 응암 교차로(이천시 부발읍 죽당리 ~ 응암리) 15.1km 구간 개통[12]
- 2018년 3월 5일 : 2개 이상 시·도에 걸쳐 있는 도로로 성남이천로를 고시[13]
- 2025년 1월 1일 : 세종포천고속도로 개통을 인해 광남 나들목 개통
Remove ads
주요 경유지
아래 경유지는 6공구 구간이 제외된 구간이다.
노선
나들목/분기점 목록
세부 노선
- (■):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
사진
- 태전 분기점 700m 표지판(장호원 방면)
- 태전 분기점 1지점 분기부 표지판(장호원 방면)
- 태전 분기점 합류부(장호원 방면)
- 백마터널 1.8km 표지판(장호원 방면)
- 백마터널 입구(장호원 방면)
- 쌍동 분기점 2km 표지판(서울 방면)
- 쌍동 분기점 3.1km 표지판(장호원 방면)
- 쌍동 분기점 150m 표지판(장호원 방면)
- 광주1터널 입구(장호원 방면)
- 광주2터널 입구(장호원 방면)
- 광주3터널 입구(장호원 방면)
- 광주4터널 입구(서울 방면)
- 광주4터널 500m 표지판(장호원 방면)
- 광주4터널 입구(장호원 방면)
- 광주5터널 입구(장호원 방면)
- 열미 나들목 2.7km 표지판(장호원 방면)
- 열미 나들목 150m 표지판(장호원 방면)
- 열미 나들목 출구(장호원 방면)
- 봉현 나들목 1.5km 표지판(장호원 방면)
- 봉현 나들목 1.3km 지점 거리표지판(장호원 방면)
- 봉현 나들목 1km 표지판(장호원 방면)
- 봉현 나들목 120m 표지판(장호원 방면)
- 봉현터널 입구(장호원 방면)
- 정개터널 680m 입구(장호원 방면)
- 정개터널 입구(장호원 방면)
- 도암 나들목 1km 표지판(장호원 방면)
- 도암 나들목 300m 표지판(장호원 방면)
- 도암 나들목 150m 표지판(장호원 방면)
- 백사 나들목 1.2km 지점 도봉졸음쉼터 500m 표지판(장호원 방면)
- 백사 나들목 1.1km 지점 거리표지판(장호원 방면)
- 백사 나들목 1km 표지판(장호원 방면)
- 백사 나들목 1지점 분기부 표지판(장호원 방면)
- 백사 나들목 2지점 분기부 표지판(장호원 방면)
- 도지 나들목 1km 표지판(장호원 방면)
- 부발 나들목 1km 표지판(장호원 방면)
- 수정 나들목 150m 표지판(장호원 방면)
- 응암 나들목 2km 표지판(종점 시절, 장호원 방면)
- 응암 나들목 150m 표지판(종점 시절, 장호원 방면)
- 응암 나들목 자동차전용도로 종점 500m 표지판(종점 시절, 장호원 방면)
- 응암 나들목 유턴 표지판(종점 시절, 장호원 방면)
- 백사 나들목 (서울, 곤지암 방면)
- 태전분기점(서울, 성남 방면)
- 성남시청 교차로(제2경인고속도로 인천, 여수대로 양재, 송파 방면)
Remove ads
참고 문헌
- 성남~장호원 6 국도 건설사업 예비타당성조사보고서, 한국개발연구원, 2015년 12월.
각주
외부 링크
같이 보기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