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과 같은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 크기
의 집합 위에 자유롭게 작용하는 유한군 
- 위상 공간

그렇다면,
제곱 함수


를 생각하자. (만약 코호몰로지가 소수 크기 유한체
계수이며
라면 이는 프로베니우스 사상이며,
-선형 변환을 이룬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는 선형이 아니다.)
이는 다음과 같이 분해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사상은 다음과 같다.
는 코호몰로지에 의한
의 당김이다.
:
에 대하여,
을 정의하자. 이는
의
위의 작용에 대하여 불변이므로, 등변 코호몰로지
에 속한다.
는 코호몰로지에 의한
의 당김이다.
는
의 작용의 고정점으로 구성되므로,
이다.
: 몫공간 사상
의 코호몰로지에 의한 당김이다.
는 생성원
와의 경사곱이다.
이제,
가 소수이며
가 순환군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이다.
특히,
인 경우 분류 공간은 무한 실수 사영 공간

이며, 그
계수 코호몰로지는
![{\displaystyle \operatorname {H} ^{\bullet }(\mathbb {RP} ^{\infty };\mathbb {F} _{2})=\mathbb {F} _{2}[w_{1}],\;\deg w_{1}=1}](//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7fcafa2364ae8ee57be6cf099bed481bb155e313)
이다. (여기서
은 자명한 실수 선다발의 슈티펠-휘트니 특성류이다.) 체 계수의 퀴네트 정리에 따라서
![{\displaystyle \operatorname {H} ^{\bullet }(\operatorname {B} G\times X;\mathbb {F} _{p})=\operatorname {H} ^{\bullet }(X;\mathbb {F} _{p})[w_{1}]\quad (\deg w_{1}=1)}](//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8a89f697bec9fc32dd12944796af8dca4d8ebe9e)
이다. 따라서, 합성

을

로 전개한다면 스틴로드 제곱

을 얻는다.
마찬가지로,
가 홀수 소수일 경우를 생각하면 스틴로드 축소 거듭제곱을 얻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