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소수
케일리 변환

은 리만 구
위의 뫼비우스 변환을 이룬다. 이는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갖는다.
즉, 이는 허수축과 단위원을 뒤바꾸며, 실수축을 고정시킨다. 또한, 음이 아닌 실수 성분을 가진 반평면은 닫힌 원판에 대응된다.
행렬
실수 정사각 행렬의 환
위의 케일리 변환을 생각하자.


여기서
는
이 가역 행렬이 아니게 되는 행렬들의 부분 집합이다.
이 변환에서, 만약
이 반대칭 행렬이라면 (
),
은 항상 가역 행렬이며,

이므로

이 된다. 즉,
이며, 특히
이다.
그런데

은 연속 함수이며, 그 정의역
은 연결 공간이다. 따라서 이는 상수 함수이며, 그 값은
이다. 즉, 케일리 변환은 매끄러운 함수


를 정의한다. (물론, 이는 전사 함수가 아니다.
는 축약 가능 공간이지만
는 축약 가능 공간이 아니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복소수 정사각 행렬의 환

위의 케일리 변환을 생각하자. 이를 제한하면 마찬가지로 매끄러운 함수


를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는 복소수 반대칭 행렬의 복소수 리 대수이다.
는 복소수 반에르미트 행렬의 실수 리 대수이다.
는 행렬식이 1인 복소수 직교 행렬로 구성된 리 군이다.
는 유니터리 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