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역 번호

철도역 등에 부여되는 번호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역 번호
Remove ads

역 번호는 몇 개의 문자와 숫자로 구성된 역 코드철도역에 할당하는 안내 체계이다. 이 체계의 목적은 라틴 문자아라비아 숫자와 같이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문자를 사용함으로써 현지 언어에 익숙하지 않은 외국인 여행자들이 쉽게 길을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1] 이 체계는 현재 대한민국, 일본,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태국, 미국 등 전 세계 여러 철도 회사에서 사용되고 있다.

Thumb
대한민국 서울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공덕역의 역 번호(K312)가 포함된 승차권 발매 전광판.
Thumb
일본의 역 번호 아이콘 예시.

역사

역 번호 체계는 1983년 서울 지하철 2호선의 일부 구간(을지로1가역~성수역) 개통과 함께 서울 도시철도에 의해 대한민국에서 처음 도입되었지만 크게 주목받지는 못했다.[2][3][4][5]

일본에서 역 번호가 처음 사용된 것은 1984년 5월 나가사키 전기 궤도에서였다.[6] 도쿄의 지하철 시스템은 2004년에 역 번호를 도입했다. 일본에서는 스포츠 행사가 역 번호 도입의 전환점이 되는 경우가 많다. 요코하마 시영 지하철2002년 FIFA 월드컵에 대비하여 역 번호를 도입했으며, 2020년 하계 올림픽을 앞두고는 대규모 역 번호 도입이 이루어졌다.

구조

요약
관점

역 번호는 대개 두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노선 기호 부분은 노선 이름이나 번호의 첫 부분을 포함하고 (아래 참조), 역 기호 부분은 철도 노선 및 시작역 번호에 대한 역의 숫자 위치를 나타낸다(아래 예시 참조).

노선 기호 부분

노선 기호 부분은 역이 속한 철도 노선을 나타내는 부분이다. 따라서 같은 철도 노선에 있는 모든 역은 동일한 노선 기호 부분을 공유한다.

대한민국이나 중화인민공화국 같이 철도 노선이 종종 숫자로 명명되는 국가(예: 수도권 전철 1호선, 상하이 지하철 15호선)에서는 철도 노선 이름에 사용된 숫자가 노선 기호로 사용된다.

일본과 같이 철도 노선이 숫자로 명명되지 않는 국가에서는 노선 기호 부분이 대개 한두 글자로 구성되며, 이는 종종 노선 이름의 로마자 표기의 약자, 그 중에서도 첫 글자인 경우가 많다. 그러나 같은 지역에 같은 첫 글자를 가진 두 개 이상의 노선이 있을 경우, 다른 회사 노선 간에도 노선 기호 중복을 피하기 위해 종종 변경된다(예: 도쿄 메트로 마루노우치선은 'M'을 사용하고, 도에이 지하철 미타선은 'I'를 사용하는데, 두 노선 이름 모두 M으로 시작함에도 불구하고 그러하다). 노선 기호 중복을 피하는 또 다른 방법은 약자와 상관없이 알파벳 순서(A부터 Z까지)로 할당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역 번호 시스템이 위에서 언급한 두 가지 스타일을 따르지만, 몇 가지 예외도 있다. 대한민국의 신분당선은 위에서 제시된 두 가지 일반적인 스타일을 따르지 않아도 될 만한 특별한 이유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노선 기호로 문자 D를 사용하는데, 이는 운영사 네오트랜스의 디지털 기술 브랜딩 전략에 따른다.[7] 이러한 예외의 또 다른 예는 일본의 세이부 철도가 운영하는 지선 중에도 있다. 그 중 하나가 세이부 이케부쿠로선인데, 노선 기호는 SI이다(노선 이름의 알파벳 약자). 세이부 사야마선세이부 이케부쿠로선에서 갈라지는 지선인데, 자체 알파벳 약자가 SI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노선 기호 SI를 공유한다.

역 기호 부분

역 기호 부분은 하나의 전체 철도 노선 내에서 각 역을 식별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동일한 철도 노선 내에서는 역 기호가 중복되어서는 안 된다. 즉, 동일한 철도 노선에 두 개 이상의 역이 동일한 역 기호를 가져서는 안 된다.

대부분의 경우, 역 기호는 두 자리 숫자이다. 철도 노선의 시작역에는 주로 00(예: JR 도카이) 또는 01(예: 도쿄 메트로)이 할당되며, 노선을 따라 있는 역들은 순차적으로 오름차순 정수(즉, 시작역에 01이 할당되면, 시작역에서 바깥쪽으로 이동하는 사람이 처음 만나는 역에는 02가 할당되고, 그 다음 역에는 03이 할당되는 식)로 배정된다. 그러나 대한민국과 일본의 일부 철도 노선은 시작역 번호를 00 또는 01 외의 숫자로 할당한다. 이는 노선 연장 가능성에 대비하기 위한 것으로, 전체 노선을 옮기거나 다시 번호를 부여하는 대신 연장된 구간의 역 번호를 쉽게 매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예: 수도권 전철 4호선상계역(410)에서 불암산역(409)까지의 연장).

본선에서 갈라지는 지선('Y'자형 궤도처럼)의 경우, 지선에 위치한 역에 번호를 부여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마찬가지로, 철도 노선 개통 후 신설된 역에 번호를 부여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아래 각 괄호 안에 적힌 숫자는 예를 들어 07번과 08번 역 사이에 두 개의 새로운 역이 추가되는 가상의 경우에 각 방법에 따라 새로운 역에 할당될 역 번호이다.

  • 전체 노선을 옮기고 다시 번호 부여
  • 하이픈이 있는 지선 번호 사용 (07-1, 07-2)
  • 하이픈 없이 지선 번호 사용 (071, 072)[8][9]
  • 소수점 번호 사용 (07.5, 07.6)[10]
Remove ads

역 번호를 사용하는 회사

벨라루스

중화인민공화국

인도네시아

  • 자카르타 광역권
    • 트랜스자카르타 BRT[11]
    • KRL 통근선
    • 수카르노-하타 공항철도
    • 자카르타 MRT
    • 자카르타 LRT
    • 자카르타 광역 LRT
  • 족자카르타 및 수라카르타 지역

일본

대한민국

말레이시아

  • 클랑벨리 통합 대중교통 시스템

싱가포르

중화민국

태국

미국

베트남

Remove ads

같이 보기

  • 역 코드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