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울산광역시의 행정 구역

울산광역시에 달려 있는 구와 군 등의 각종 행정 구역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울산광역시의 행정 구역은 4구 1군, 6읍 6면 43동(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울산광역시의 면적은 1,060.19km2이며, 인구는 2013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461,595세대, 1,178,907명이다.[1]

개요

자세한 정보 자치구·군, 한자 ...

행정 구역

중구

남구

동구

북구

울주군

연혁

  • 신라시대 울산 지역에는 모화군(毛火郡, 경주시 외동읍 모화리)의 두 영현인 굴아화현(屈阿火縣, 울주군 범서읍 굴화리)와 율포현(栗浦縣, 북구 강동동), 생서량군(生西良郡, 울주군 서생면)의 영현인 우화현(于火縣, 울주군 웅촌면)이 있었다.
  • 757년 전국의 행정 구역을 중국식 명칭으로 변경하면서 모화군을 임관군(臨關郡)으로, 굴아화현을 하곡현(河曲縣)으로, 율포현을 동진현(東津縣)으로, 생서량군을 동안군(東安郡)으로, 우화현을 우풍현(虞風縣)으로 각각 개칭하였다.
  • 940년 하곡현, 우풍현, 동진현을 통합하여 흥려부(興麗府, 또는 흥례부(興禮府))로 승격하고, 임관군과 동안군은 현으로 격하되어 경주에 편입되었다. 동안현은 이후에 흥려부, 또는 울주에 편입된다.
  • 995년 흥려부를 공화현(恭化縣)으로 격하하고, 별호를 학성(鶴城)이라 하였다.
  • 1018년 공화현이 울주(蔚州)로 승격하고 헌양현, 동래현, 기장현을 속현으로 두었다.
  • 1143년 헌양현이 언양현(彦陽縣)으로 개칭하면서 주현으로 승격하여 울주에서 분리되었다.
  • 1304년 기장현이 양주(梁州)의 속현으로 편입되었다.
  • 1405년 동래현이 주현으로 승격하여 울주에서 분리되었다.
  • 1413년 울주를 울산군(蔚山郡)으로 개칭하였다.
  • 1598년 울산군을 울산도호부(蔚山都護府)로 승격하였다.
  • 1599년 언양현이 폐지되어 울산도호부에 편입되었다. 같은 해 기장현이 폐지되어 북부지역(현재의 장안읍, 일광읍, 정관읍 지역)이 울산도호부에 편입되어 하미면이 설치되었다.
  • 1612년 언양현이 다시 설치되었다.
  • 1653년 하미면을 기장현에 환원하였다. 1660년에 다시 편입하였다가 1681년에 완전히 기장현에 환원하였다.
  • 1895년 23부제가 시행되면서 동래부(東萊府) 울산군, 언양군이 되었다.
  • 1896년 13도제 시행으로 경상남도 울산군, 언양군이 되었다.
  • 1906년 울산군 웅상면, 외남면을 양산군에 편입하고, 경주군 외남면을 두북면(斗北面)으로 개칭하여 울산군에 편입하였다. 웅하면을 웅촌면(熊村面)으로 개칭하였다.
  • 1910년 10월 1일 두북면을 두동면(斗東面), 두서면(斗西面)으로 분면하였다.
    • 울산군(19면) - 상부면(上府面), 하부면(下府面), 내상면(內廂面), 강동면(江東面), 동면(東面), 농동면(農東面), 농서면(農西面), 현북면(峴北面), 현남면(峴南面), 내현면(內峴面), 범서면(凡西面), 청량면(靑良面), 온산면(溫山面), 온남면(溫南面), 온북면(溫北面), 서생면(西生面), 웅촌면(熊村面), 두동면(斗東面), 두서면(斗西面)
    • 언양군(6면) - 상북면(上北面), 중북면(中北面), 하북면(下北面), 상남면(上南面), 중남면(中南面), 삼동면(三同面)
  • 1912년 4월 1일 양산군 외남면을 울산군에 편입(환원)하였다.[2]
  • 1914년 3월 1일 언양군을 울산군에 편입하였다.(25면)
  • 1914년 4월 1일 상부면과 내현면을 부내면(府內面)으로, 하부면과 내상면을 하상면(下廂面)으로, 농동면과 농서면을 농소면(農所面)으로, 현북면과 현남면을 대현면(大峴面)으로, 온남면과 온북면을 온양면(溫陽面)으로, 상북면과 중북면을 언양면(彦陽面)으로 합면하였다.(19면)
부령 제111호
자세한 정보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
  • 1917년 10월 1일 부내면을 울산면(蔚山面)으로 개칭하였다.
  • 1926년 4월 1일 상남면과 하북면을 상북면(上北面)으로 합면하였다.(18면)
  • 1931년 4월 1일 동면을 방어진면(方魚津面)으로 개칭하였다.
  • 1931년 11월 1일 울산면을 울산읍으로 승격하였다.(1읍 17면)
  • 1933년 1월 1일 중남면과 삼동면을 삼남면(三南面)으로 합면하였다.(1읍 16면)
  • 1937년 7월 1일 방어진면을 방어진읍으로 승격하였다.(2읍 15면)
  • 1945년 4월 1일 대현면이 울산읍에 편입되어 대현출장소가 설치되었다.(2읍 14면 1출장소)
  • 1946년 1월 1일 울산읍 대현출장소를 대현면으로 환원하였다.(2읍 15면)
  • 1962년 6월 1일 울산읍, 방어진읍, 하상면, 대현면 일원과 농소면 화봉리, 송정리, 청량면 두왕리, 범서면 무거리, 송정리를 관할로 울산시를 설치하고, 울산군을 울주군으로 개칭하였다.(시-3출장소 53법정동, 군-13면)
자세한 정보 개편 전, 개편 후 ...
  • 1972년 10월 1일 53개 법정동을 31개 행정동으로 개편하였다.(4출장소 31동)
자세한 정보 개편 전, 개편 후 ...
  • 1976년 4월 20일 중앙출장소, 병영출장소, 장생포출장소를 폐지하였다.(1출장소 31동)
  • 1977년 11월 1일 신정동을 신정1,2동으로 분동하고, 용잠동을 장생포동에 편입하였다.
  • 1979년 1월 1일 남목동을 남목1,2동으로 분동하였다.(1출장소 32동)
  • 1979년 5월 1일 신정1동을 신정1,3동으로, 야음동을 야음1,2동으로, 염포동을 염포1,2동으로 분동하였다.(1출장소 35동)
  • 1982년 9월 1일 학성동을 학성동,반구동으로, 신정2동을 신정2,4동으로 분동하였다.(1출장소 37동)
  • 1983년 5월 1일 염포1동을 양정동으로, 염포2동을 염포동으로 개칭하였다.
  • 1983년 10월 1일 전하동을 전하1,2동으로 분동하였다.(1출장소 38동)
  • 1985년 7월 15일 울산시 구제(區制)가 실시되어 태화강을 경계로 중구남구가 설치되고, 방어진출장소가 중구에 편입되었다.(2구 1출장소 38동)
자세한 정보 개편 전, 개편 후 ...
  • 1988년 1월 1일 방어진출장소를 동구로 승격하였다.(3구)
  • 1991년 1월 1일 울주군을 울산군(蔚山郡)으로 명칭을 환원하였다.
  • 1995년 1월 1일 울산시와 울산군을 도농복합시인 울산시로 통합하고, 종전의 울산군 지역을 관할로 울주구를 설치하였다.
  • 1997년 7월 15일 경상남도 울산시가 울산광역시로 승격하였다. 중구 일부와 종전의 울주구 농소읍, 강동면을 관할로 북구를 설치하고, 울주구 중 남은 지역을 관할로 울주군을 설치하였다.(4구 1군)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