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지방도 제827호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지방도 제827호선전라남도 해남군 북일면 북일초교앞에서 삼산면 삼산면신기리 교차로를, 강진군 칠량면 칠량면소재지에서 장흥군 관산읍 옥당리를, 강진군 군동면 군동면호계리 교차로에서 영암군 영암읍 학송리를 잇는 전라북도지방도이다.

간략 정보 전라남도 지방도, 총연장 ...

1983년에는 노선명이 '완도 ~ 해남선'이었으며 1995년 12월 8일 종점이 해남군 삼산면으로 단축되면서 '완도 ~ 삼산선'이 되었다가 2003년 3월 27일 완도군 완도읍 ~ 해남군 북일면 구간이 국도 제77호선으로 승격되어 '북일 ~ 삼산선'으로 단축되었다.

2009년 도로현황조서 기준으로 지방도 제829호선, 지방도 제837호선을 편입하였다. 하지만 각 편입한 노선과 본래 노선끼리는 전혀 연계되지 않는다.

Remove ads

연혁

  • 1983년 12월 14일 : 도로 확포장공사를 위해 완도군 완도읍 군내리 ~ 중도리 3.994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
  • 1984년 12월 10일 : 도로 확포장공사를 위해 완도군 완도읍 중도리 ~ 정도리 2.506km 구간 도로구역 변경[2]
  • 1985년 12월 23일 : 기점을 '완도군 완도읍 군내리', 종점을 '해남군 해남읍 성내리'로 명시하고 도로개량이 완료된 완도군 완도읍 군내리 ~ 군외면 월동리 6.225km 구간과 해남군 삼산면 신기리 ~ 해남읍 성내리 6.05km 구간 도로예정지 해제[3]
  • 1986년 8월 20일 : 1987년 9월까지 완도 ~ 원동간 도로(완도군 완도읍 정도리 ~ 화흥리) 2.49km 구간 확포장공사를 위해 도로구역 변경[4]
  • 1987년 1월 22일 : 완도군 군외면 원동리 325m 구간과 완도군 완도읍 군내리 ~ 정도리 5.9km 구간, 해남군 삼산면 신기리 ~ 해남읍 성내리 6.05km 구간 도로예정지 해제[5]
  • 1987년 7월 27일 : 1988년 2월까지 완도 ~ 원동간 도로(완도군 완도읍 대신리) 2.76km 구간 확포장공사 계획을 공고[6][7]
  • 1988년 1월 4일 : 완도군 완도읍 군내리 ~ 당인리 11.425km 구간 도로예정지 해제[8]
  • 1988년 2월 10일 : 1988년 9월까지 완도군 군외면 원동리 ~ 대신리 2.58km 구간 확포장공사 계획을 공고[9]
  • 1988년 9월 27일 : 1988년 12월까지 도로 확포장 공사를 위해 완도군 군외면 대문리 700m 구간 도로구역 결정[10]
  • 1989년 1월 6일 : 완도군 완도읍 군내리 ~ 대신리 12.51km 구간과 완도군 군외면 원동리 ~ 대문리 1.94km 구간 도로예정지 해제[11]
  • 1989년 5월 13일 : 1989년 12월까지 완도군 군외면 신학리 ~ 완도읍 대신리 5.58km 구간 확포장공사 계획을 공고[12]
  • 1991년 4월 12일 : 1993년 11월까지 북일 ~ 삼산간 도로(해남군 북일면 흥촌리 ~ 삼산면 평활리) 9.933km 구간 확포장공사 계획을 공고[13]
  • 1992년 1월 27일 : 해남군 북일면 흥촌리 ~ 삼산면 평활리 9.933km 구간 도로예정지 해제[14]
  • 1995년 12월 8일 : 종점을 기존 해남군 해남읍 성내리에서 '해남군 삼산면 평활리'로 단축함. 이에 따라 노선명을 '완도 ~ 해남선'에서 '완도 ~ 삼산선'으로 변경하고 총 연장 42.1km가 됨.[15]
  • 1996년 5월 20일 : 1997년 2월까지 계동 위험도로(해남군 삼산면 신흥리 ~ 연동리) 개량공사를 위해 1.0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6]
  • 1998년 5월 30일 : 1999년 2월까지 완도지구(완도군 완도읍 군내리) 개량공사를 위해 560m 구간 도로구역 변경[17]
  • 2000년 2월 11일 : 2006년 1월까지 대신교(완도군 완도읍 화흥리 ~ 대신리) 개축공사를 위해 3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18]
  • 2003년 3월 27일 : 기점을 완도군 완도읍 군내리에서 '해남군 북일면 신월리'로 단축함. 이에 따라 노선명을 '완도 ~ 삼산선'에서 '북일 ~ 삼산선'으로 변경하고 총 연장 9.7km가 됨.[19]
  • 2004년 9월 30일 : 2005년 12월까지 양촌교(해남군 삼산면 평활리) 개축공사를 위해 460m 구간 도로구역 변경[20]
  • 2009년 5월 13일 : 2012년 4월까지 해남 평활2지구(해남군 삼산면 평활리) 개량공사를 위해 9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21]
  • 2012년 6월 20일 : 2017년 12월까지 강진 까치내재터널(강진군 군동면 파산리 ~ 작천면 삼당리) 개설공사를 위해 3.3km 구간 도로구역 변경[22]
  • 2020년 2월 20일 : 오소재(해남군 북일면 흥촌리 ~ 운전리) 990m 구간 개량 개통, 기존 해남군 북일면 흥촌리 총 680m 구간 폐지[23]
Remove ads

주요 경유지

본래 노선

  • 해남군
    • 북일면 북일초교앞 - 두륜중학교 - 흥촌리 - 흥촌지 - 오소재(오심재)
    • 삼산면 오소재(오심재) - 삼산면산림리 교차로 - 양촌저수지 - 양촌교 - 평활리 - 삼산면보건지소 - 삼산면신기리 교차로

지방도 제837호선 노선

  • 강진군
    • 칠량면 칠량면소재지 - 영동리 - 송정리 - 송촌교 - 칠량면치산리 교차로 - 단월리 - 명주리 - 골투재(골치재)
  • 장흥군
    • 관산읍 골투재(골치재) - 부평리 - 농안리 - 농안교 - 용전리 - 옥당리 - 관산읍옥산리 교차로 - 천관산시장 - 옥당사거리 - 학교 - 죽교 교차로

지방도 제829호선 노선

  • 강진군
    • 군동면 군동면호계리 교차로 - 호계리 - 파산리 - 금곡사 - 까치내재
    • 작천면 까치내재 - 평기리 - 삼당리 - 중당삼거리 - 작천교 - 평리 - 강진작천중학교 - 작천면소재지 - 작천면평리 교차로 - 작천면군자리 교차로 - 대롱재 - 작천면갈동리 교차로 - 갈동리 - 오갈재
    • 성전면 오갈재 - 봉티재(풀치재)
Remove ads

중복 구간

도로명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