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진주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진주선(晉州線)은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역과 경상남도 진주시 진주역을 잇는 철도였다. 1905년에 개통된 마산선과 1925년에 개통된 경남선을 1931년에 하나의 노선으로 통합하였으며, 1968년에 광주 - 진주간 경전선이 완공됨에 따라 경전선에 통합되었다.
Remove ads
역사
- 1902년 ~ 1903년 : 영남지선철도회사에서 삼마철도(삼랑진-마산포) 부설권을 확보하였으나 일본에 의해 경부철도주식회사로 매도.
- 1904년 1월 3일 : 경부철도주식회사 마산선 삼랑진 ∼ 마산포 공사 착수.
- 1904년 3월 12일 : 마산선 노반공사 착공.
- 1904년 10월 : 일제, 마산선을 군용철도로 부설 착수.
- 1905년 4월 1일 : 마산역 개업.
- 1905년 5월 1일 : 창원역 개업.
- 1905년 5월 13일 : 진영역 개업.
- 1905년 5월 25일 : 마산선 낙동강교(목교) 준공.
- 1905년 5월 26일 : 마산선 삼랑진 - 마산포 간 직통 운행 개시.
- 1905년 10월 : 마산선 전 구간 개통.
- 1906년 12월 12일 : 낙동강역 개업.
- 1910년 1월 : 구마산역 개업.
- 1918년 7월 13일 : 남조선철도주식회사 송정리(현 광주송정) - 마산포 구간 철도부설 허가.
- 1918년 11월 16일 : 한림정역 개업
- 1922년 6월 : 남조선철도주식회사 경남선 진주 - 마산 구간 착공.
- 1922년 10월 16일 : 덕산역 개업.
- 1923년 12월 1일 : 경남선 일부 구간 마산 ∼ 군북 개통.
- 1925년 6월 15일 : 경남선 군북 - 진주 구간 완공으로 경남선 전 구간 개통.
- 1927년 6월 1일 : 신음역 폐역.
- 1931년 4월 1일 : 경남선 마산 ∼ 진주 구간이 국철에 매수되고 마산선과 통합되어 삼랑진 - 진주 구간이 경전남부선으로 개칭.
- 1956년 6월 14일 : 경전남부선을 진주선으로 개칭.
- 1968년 2월 7일 : 경전선(광주 - 진주 구간) 준공으로 진주선과 광주선을 경전선에 편입하여 삼랑진 ∼ 송정리 구간이 경전선으로 명명[1].
Remove ads
역 목록
●는 전 열차 정차, ▲는 일부 열차만 정차, 아무 표시도 없으면 해당 등급의 모든 열차가 통과만 한다는 것을 뜻한다.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