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초대칭 대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초대칭 대수(超對稱代數, 영어: supersymmetry algebra)는 푸앵카레 대칭과 초대칭을 나타내는 리 초대수다.
정의
요약
관점
푸앵카레 대수는 시공에 대한 병진 와 로런츠 변환 로 이루어진다. 이들은 보손적 생성자다. 여기에 일련의 페르미온적 생성자 와 를 추가한다. (만약 개의 초대칭이 있으면 .) 이들은 초대칭을 나타낸다.
푸앵카레 대수는 차원의 시공에서 개의 병진 생성자와 개의 로런츠 변환으로 총 차원이다. (일 경우에는 물론 10차원.) 여기에 개의 초대칭이 있는 경우에는 (중심 전하를 무시하면) 초대칭 대수는 총 차원이 된다.
주어진 시공간 차원에서, 초전하(영어: supercharge)의 수는 그 차원에서의 최소 스피너 표현의 차원의 정수배이다. 이 정수를 통상적으로 이라고 쓴다. 가장 간단한 초대칭은 이며, 인 경우를 확장 초대칭(영어: extended supersymmetry)이라고 한다. 4차원 민코프스키 공간에서의 최소 스피너 표현은 4차원 바일 또는 마요라나 스피너이므로, 초대칭은 4개의 초전하를 가진다.
초대칭은 서로 다른 스핀의 입자들을 연관지으므로, 초대칭이 더 많을 수록 더 높은 스핀의 입자가 필요하다. 스핀이 2를 초과하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이론을 정의할 수 없다. 만약 초전하의 수가 32를 초과하는 경우 스핀이 2를 초과하는 입자가 필요하므로, 초전하는 최대 32개가 존재할 수 있다. 32개의 초전하의 경우 스핀이 2인 입자(중력자)가 필요하므로, 이는 초중력 이론을 이룬다. 11차원 초중력이나 10차원 IIA/B 초중력, 4차원 초중력[1] 등이 그 예이다.
만약 중력을 포함하지 않으려면, 입자의 스핀은 최대 1이어야 한다. (스핀이 1½인 경우는 그래비티노로, 중력이 없이는 상호작용하는 그래비티노를 포함할 수 없다.) 이 경우에는 초전하의 수는 최대 16이다. 10차원 초대칭 양-밀스 이론이나 4차원 초대칭 양-밀스 이론[2] 이 그 예이다.
다양한 시공간 차원에서 가능한 초대칭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12차원 이상에서는 자명하지 않은 초대칭 이론이 존재할 수 없다고 여겨진다.)
Remove ads
4차원 초대칭
요약
관점
4차원에서, 초대칭은 (디랙 스피너이므로) 총 4개의 초전하를 가진다. 즉, 일반적으로는 개의 초전하가 존재한다. 이 경우, 흔히 볼 수 있는 것은 , , 및 초중력이다. 중력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인 경우는 와인버그-위튼 정리에 걸려 자명한 이론이 되고, 중력을 포함한다고 해도 까지만 가능하다.
주어진 에 대하여, 초대칭 대수의 생성원은 다음과 같다.
- 병진 변환
- 회전
- 초대칭 , (). 이는 R대칭군의 크기가 인 "벡터 표현"을 따른다. 이 표현을 라고 쓰자.
- R대칭 는 R대칭군 의 딸림표현을 따른다. 이 표현을 라고 쓰자.
- 중심 원소
이들의 리 초괄호는 다음과 같다.
즉, 초대칭 전하는 일종의 운동량의 제곱근으로 생각할 수 있다.
위상 뒤틀림
4차원에서는 또는 인 경우 위상 뒤틀림(영어: topological twist)을 가해 위상 양자장론으로 만들 수 있다. 이 경우, 인 경우는 SU(2) R대칭을 로런츠 대칭의 두 좌·우 성분 가운데 하나와 대각군을 취하며, 인 경우는 서로 동일하지 않는 3가지의 가능한 뒤틀림이 존재한다.
초다중항
4차원 민코프스키 공간에서 상호작용이 가능한 초다중항들은 다음과 같다.
-
- 벡터 초다중항: 실수 스칼라장 (×6), 바일 스피너 (×6), 게이지장
- 중력자 초다중항
-
- 중력자 초다중항
Remove ads
3차원 초대칭
요약
관점
3차원 민코프스키 공간에서의 초대칭은 다음과 같다.[3] 이 경우 초대칭은 2개의 초대칭을 가지며, 마요라나 스피너가 된다.
여기서 중심 확대 는 반대각화하여 개의 실수 고윳값으로 나타낼 수 있다. 초대칭에서는 하나의 중심 전하 가 존재하며, 이 경우 모든 물리적 상태들의 질량 은 BPS 부등식
를 만족시킨다.[3]:(19)
3차원 민코프스키 공간에서 상호작용이 가능한 초다중항들은 다음과 같다. 3차원에서는 게이지장을 로 실수 스칼라로 이중화할 수 있다. 즉, 3차원에서는 스칼라장 및 (마요라나) 페르미온만이 존재한다.
Remove ads
6차원 초대칭
6차원 민코프스키 공간에서는 2차 미분형식 퍼텐셜 게이지장이 존재한다. 이 경우, 질량껍질 위에서, (1차 미분형식) 게이지장은 4개의 자유도를, 바일 스피너는 4개의 자유도를, 2차 미분형식 게이지장은 3개의 자유도를 가진다.
Remove ads
2차원 초대칭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