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원 초등각 장론은 4차원 초등각 대칭을 따르는 양자장론이며, 4차원 초대칭 양자장론의 재규격화군흐름의 적외선 극한으로 얻어진다.
4차원 초등각 대수
4차원에서, 초전하의 수가
개인 초등각 대수는
이다.[1] 그 보손 성분은

이다. 다만,
일 경우 U(1) R대칭이 깨져,

가 된다.[1]
4차원 초등각 대수의 생성원 및 이들의 보손 대칭 표현은 다음과 같다.
자세한 정보
,
...
생성원 | 기호 |  | R대칭 표현 | 로런츠 표현 | 에르미트 수반 |
운동량 |  | +1 | 1 | (½,½) |  |
왼손 초전하 |  | +½ |  | (½,0) |  |
오른손 초전하 |  | +½ |  | (0,½) |  |
확대 |  | 0 | 1 | (0,0) |  |
각운동량 |  | 0 | 1 | (1,0) ⊕ (0,1) |  |
R대칭 |  | 0 |  | (0,0) |  |
왼손 특수 초전하 |  | −½ |  | (½,0) |  |
오른손 특수 초전하 |  | −½ |  | (0,½) |  |
특수 등각 변환 |  | −1 | 1 | (½,½) |  |
닫기
,
,
,
사이의 리 괄호는 등각 대칭과 같으며. 나머지 리 괄호들은 다음과 같다.[2]




![{\displaystyle [K^{\mu },Q_{\alpha }^{i}]=i\sigma _{\alpha {\dot {\beta }}}^{\mu }{\bar {S}}^{{\dot {\beta }}i}}](//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5fab1e78864cbfc5762aadb41eae6cf16875066a)
![{\displaystyle [K^{\mu },{\bar {Q}}_{\dot {\alpha }}^{i}]=i{\bar {\sigma }}^{\mu {\dot {\alpha }}\beta }S_{\beta }^{i}}](//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7a74c19bee17e3e6cfdecf4b10b0fec33107014e)
![{\displaystyle [P^{\mu },S_{\alpha i}]=i\sigma _{\alpha {\dot {\beta }}}^{\mu }{\bar {Q}}^{{\dot {\beta }}i}}](//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a9a504394531ed8582882c8a2f2e841492a5a27b)
![{\displaystyle [P^{\mu },{\bar {S}}^{{\dot {\alpha }}i}]=i{\bar {\sigma }}^{\mu {\dot {\alpha }}\beta }Q_{\beta }^{i}}](//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f294916a4212ed7a809c580b83f60b3faad2f032)
![{\displaystyle [P,Q]=[P,{\bar {Q}}]=[K,S]=[K,{\bar {S}}]=\{Q,Q\}=\{{\bar {Q}},{\bar {Q}}\}=\{Q,{\bar {S}}\}=\{{\bar {Q}},S\}=\{S,S\}=\{{\bar {S}},{\bar {S}}\}=0}](//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ceef69d9322076894f37111c3211bdcd6da5eb9a)
여기서


이다.
표현
4차원 초등각 장론에서의 1차 등각장은 R대칭 표현과 등각 무게
및 로런츠 표현에 의하여 결정된다. 유니터리 초등각 장론의 경우 이 값들에 대하여 유니터리 하한(영어: unitarity bound)이라는 부등식들이 존재한다.[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