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2025년 태풍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2025년 태풍
Remove ads

이 문서에서는 2025년에 발생한 태풍들의 활동에 대해 기록하였다.

간략 정보 담당 기관, 열대 저기압 최초 발생일 ...
Remove ads

통계

월별 태풍 발생 개수

자세한 정보 -, 1월 ...

타임라인

SSHS

태풍 이름

  • 제1호 태풍 우딥 (2501)
  • 제2호 태풍 스팟 (2502)
  • 제3호 태풍 문 (2503)
  • 제4호 태풍 다나스 (2504)
  • 제5호 태풍 나리 (2505)
  • 제6호 태풍 위파 (2506)
  • 제7호 태풍 프란시스코 (2507)
  • 제8호 태풍 꼬마이 (2508)
  • 제9호 태풍 크로사 (2509)
  • 제10호 태풍 바이루 (2510)
  • 제11호 태풍 버들 (2511)
  • 제12호 태풍 링링 (2512)
  • 제13호 태풍 가지키 (2513)
  • 제14호 태풍 농파 (2514)
  • 제15호 태풍 페이파 (2515)
  • 제16호 태풍 타파 (2516)
  • 제17호 태풍 미탁 (2517)
  • 제18호 태풍 라가사 (2518)
  • 제19호 태풍 너구리 (2519)
  • 제20호 태풍 부알로이 (2520)
  • 제21호 태풍 마트모 (2521)
  • 제22호 태풍 할롱 (2522)
  • 제23호 태풍 나크리 (2523)
  • 제24호 태풍 펑선 (사용안함)
  • 제25호 태풍 갈매기 (사용안함)
Remove ads

특징

  • 1984년 이후 41년 만에 제1호 태풍이 6월에 뒤늦게 발생한 시즌으로 기록되었다.
  • 이 중 17호 태풍 미탁은 약하게 발달하여, 1~17호 태풍은 3등급 이하의 태풍만 연달아 발생하였다. 그 중 다나스와 버들, 가지키를 제외하면 전부 열대폭풍 내지 1등급으로 약한 태풍만 배출하였다.[1][2] 1999년 태풍 시즌과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3]
  • 그러나 18호 태풍 라가사가 마침내 2025년의 첫 5등급 태풍이 되었고, 19호 태풍 너구리도 4등급의 태풍으로 발달했다. 결국 폭풍누적에너지(ACE) 또한 북중&북동태평양 허리케인 구역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4]

활동중인 태풍

제23호 태풍 나크리

자세한 정보 소형의 강한 태풍 (KMA), 강한 태풍 (JMA) ...

2025년 제23호 태풍 나크리(NAKRI)10월 8일 15시에 중심기압 1002hPa[5], 최대풍속 18m/s[5], 강풍 반경 220km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북서쪽 약 93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속보치 기준) 나크리는 캄보디아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꽃의 한 종류이다.

활동한 태풍

요약
관점

제1호 태풍 우딥

자세한 정보 소형의 강한 열대폭풍 (KMA), 강한 열대폭풍 (JMA) ...

2025년 제1호 태풍 우딥(WUTIP)6월 11일 9시에 중심기압 994hPa[5], 최대풍속 18m/s[5], 강풍 반경 440km(남서쪽 반경)의 열대폭풍으로 중국 하이커우 시 남동쪽 약 565km 부근 해상(남중국해)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서북서~북북서진하면서 통킹만에 진출한 뒤 통킹만의 높은 수온으로 인해 급발달하였고, 6월 13일 15시에 베트남 다낭 북쪽 약 290km 부근 해상(통킹만)에서 중심기압 980hPa[5], 최대풍속 31m/s[5]의 강한 열대폭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에는 6월 14일 15시에 최저기압 985hPa, 최대풍속 28m/s의 세력으로 중국 광둥성 잔장시 쑤이시 현(遂溪县)(북위 21.2도, 동경 109.8도)에 상륙하였다. 중국 상륙 이후 육상마찰로 인해 급약화되어서 6월 15일 3시에 중국 홍콩 서북서쪽 약 29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994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 2025년 9월 12일에 발표된 일본 기상청의 2025년 제1호 태풍 우딥(WUTIP)의 사후해석에서 발생 선언 시각이 6월 11일 21시로 늦춰졌고, 최성기 세력이 중심기압 980hPa, 최대풍속 28m/s로 하향되었다. 우딥은 마카오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나비를 의미한다.

제2호 태풍 스팟

자세한 정보 소형의 열대폭풍 (KMA), 열대폭풍 (JMA) ...

2025년 제2호 태풍 스팟(SEPAT)6월 23일 9시에 중심기압 1004hPa[5], 최대풍속 18m/s[5], 강풍 반경 280km(북동쪽 반경)의 열대폭풍으로 일본 도쿄 남남동쪽 약 1,32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추가 발달 없이 북서~북북서진하다가 건조역으로 인해 급격히 약화되어서 6월 25일 3시에 일본 도쿄 남쪽 약 48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06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 그리고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중심기압 1004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 스팟은 말레이시아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농어과의 민물고기를 의미한다.

제3호 태풍 문

자세한 정보 소형의 열대폭풍 (KMA), 강한 열대폭풍 (JMA) ...

2025년 제3호 태풍 문(MUN)7월 3일 3시에 중심기압 1002hPa[5], 최대풍속 18m/s[5], 강풍 반경 330km(북동쪽 반경)의 열대폭풍으로 일본 도쿄 남남동쪽 약 1,13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북서~북북동진하면서 발달하였고, 7월 6일 15시에 일본 도쿄 동남동쪽 약 94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0hPa[5], 최대풍속 26m/s[5]의 강한 열대폭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에는 북~북북동진하면서 건조역과 강한 연직시어로 인해 약화 및 온대저기압화가 진행되었고, 7월 8일 9시에 일본 센다이 동북동쪽 약 74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8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그리고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도 중심기압 998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2025년 10월 9일에 발표된 일본 기상청의 2025년 제3호 태풍 문(MUN)의 사후해석에서 발생 선언 시각이 7월 2일 15시로 앞당겨졌다. 문은 미크로네시아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야프어로 6월을 의미한다.

제4호 태풍 다나스

자세한 정보 소형의 강한 태풍 (KMA), 강한 태풍 (JMA) ...

2025년 제4호 태풍 다나스(DANAS)7월 5일 3시에 중심기압 996hPa[5], 최대풍속 18m/s[5], 강풍 반경 220km(남쪽 반경)의 열대폭풍으로 중국 산터우시 남남동쪽 약 370km 부근 해상(남중국해)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거의 정체~북북동진하면서 남중국해대만 해협의 높은 수온으로 인해 급발달하였고, 7월 6일 21시에 중국 산터우 동쪽 약 310km 부근 해상(대만 해협)에서 중심기압 970hPa[5], 최대풍속 33m/s[5]의 강한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세력으로 대만을 관통한 뒤 급약화되었고, 대만을 관통한 이후에도 북북동진하다가 북태평양 고기압에 가로막혀서 서남서진으로 전향한 뒤 중국에 상륙하였다. 중국에 상륙한 이후에는 육상 마찰로 약화되어서 7월 9일 9시에 중국 푸저우 북북서쪽 약 9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996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 2025년 10월 9일에 발표된 일본 기상청의 2025년 제4호 태풍 다나스(DANAS)의 사후해석에서 7월 6일 21시의 최성기 세력이 중심기압 965hPa, 최대풍속 39㎧로 상향되었다. 다나스는 필리핀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경험을 의미한다.

제5호 태풍 나리

자세한 정보 중형의 강한 열대폭풍 (KMA), 강한 열대폭풍 (JMA) ...

2025년 제5호 태풍 나리(NARI)7월 13일 3시에 중심기압 998hPa[5], 최대풍속 18m/s[5], 강풍 반경 280km(남동쪽 반경)의 열대폭풍으로 일본 도쿄 남쪽 약 1,16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북~북북서진하면서 발달하였고, 7월 14일 3시에 일본 도쿄 남남동쪽 약 45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85hPa[5], 최대풍속 26m/s[5]의 강한 열대폭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에는 북진하면서 건조역과 강한 연직시어로 인해 약화 및 온대저기압화가 진행되었고, 7월 15일 2시에는 일본 홋카이도에 상륙하기도 하였다. 7월 15일 9시에 일본 삿포로 북동쪽 약 38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8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그리고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중심기압 1000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나리는 대한민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백합을 의미한다.

제6호 태풍 위파

자세한 정보 중형의 강한 태풍 (KMA), 강한 열대폭풍 (JMA) ...

2025년 제6호 태풍 위파(WIPHA)7월 18일 3시에 중심기압 996hPa[5], 최대풍속 18m/s[5], 강풍 반경 390km(북동쪽 반경)의 열대폭풍으로 필리핀 마닐라 동북동쪽 약 50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북서~서북서진하면서 발달하였고, 7월 20일 15시에 중국 홍콩 남서쪽 약 60km 부근 해상(남중국해)에서 중심기압 970hPa[5], 최대풍속 31m/s[5]의 강한 열대폭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 중국 레이저우 반도에 상륙했다가 통킹만에서 재발달 하고 나서 다시 베트남에 상륙 이후 육상마찰로 인해 급약화되어서 7월 23일 3시에 베트남 하노이 남서쪽 약 25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992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 그리고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중심기압 994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 위파는 태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여자 이름이다.

제7호 태풍 프란시스코

자세한 정보 중형의 열대폭풍 (KMA), 열대폭풍 (JMA) ...

2025년 제7호 태풍 프란시스코(FRANCISCO)7월 23일 9시에 중심기압 996hPa[5], 최대풍속 18m/s[5], 강풍 반경 650km(북동쪽 반경)의 열대폭풍으로 일본 오키나와 남남동쪽 약 73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북서~북북서진하면서 발달하였고, 7월 24일 21시에 일본 오키나와 남서쪽 약 12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0hPa[5], 최대풍속 21m/s[5]의 열대폭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에는 건조역으로 인해 급약화되어서 7월 25일 15시에 대만 타이베이 북북동쪽 약 200km 부근 해상(동중국해)에서 중심기압 992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 프란시스코는 미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남자 이름이다.

제8호 태풍 꼬마이

자세한 정보 소형의 강한 열대폭풍 (KMA), 강한 태풍 (JMA) ...

2025년 제8호 태풍 꼬마이(CO-MAY)7월 23일 21시에 중심기압 994hPa[5], 최대풍속 18m/s[5], 강풍 반경 165km의 열대폭풍으로 필리핀 마닐라 북서쪽 약 416km 부근 해상(남중국해)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남서~동북동진하면서 남중국해의 높은 수온으로 인해 급발달하였고, 7월 25일 3시에 필리핀 마닐라 북북서쪽 약 260km 부근 해상(남중국해)에서 중심기압 975hPa[5], 최대풍속 33m/s[5]의 강한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에는 필리핀 일로코스 지방을 스친 뒤 북북동진하면서 건조역으로 인해 급약화되어서 7월 26일 9시에 일본 오키나와 서남서쪽 약 25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6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

하지만 7월 27일 21시에 중심기압 992hPa, 10분 평균 풍속 18m/s, 강풍 반경 500km(북쪽 반경)의 열대폭풍으로 일본 오키나와 나하시 남동쪽 약 192km 부근 해상(동중국해)에서 재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속보치 기준) 재발생 이후 거의 정체 및 북서진하면서 동중국해에서 재발달한 뒤, 7월 30일 15시에 중심기압 980hPa[5], 최대풍속 21㎧[5]의 세력으로 중국 상하이(북위 30.9도, 동경 121.8도)에 상륙했다. 중국 상하이에 상륙한 이후 육상 마찰로 약화되어서, 7월 31일 9시에 중국 상하이 서쪽 약 16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990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 꼬마이는 베트남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풀의 한 종류이다.

제9호 태풍 크로사

자세한 정보 중형의 강한 태풍 (KMA), 대형의 강한 태풍 (JMA) ...

2025년 제9호 태풍 크로사(KROSA)7월 24일 12시에 중심기압 1002hPa[5], 최대풍속 18m/s[5], 강풍 반경 280km(남쪽 반경)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북서쪽 약 16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북~북북동진하면서 발달하였고, 7월 27일 9시에 미국 북쪽 약 78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65hPa[5], 최대풍속 39m/s[5]의 강한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에는 북~북북동진하면서 일본을 스쳐지나간 이후에는 건조역으로 인해 약화 및 온대저기압화가 진행되었고,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8월 4일 9시에 일본 삿포로 동쪽 약 1,76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0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8월 4일 15시에 일본 삿포로 동쪽 약 1,995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0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크로사는 캄보디아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학을 의미한다.

제10호 태풍 바이루

자세한 정보 소형의 열대폭풍 (KMA), 열대폭풍 (JMA) ...

2025년 제10호 태풍 바이루(BAILU)8월 3일 9시에 중심기압 996hPa[5], 최대풍속 18㎧[5], 강풍 반경 280㎞(북동쪽 반경)의 열대폭풍으로 일본 도쿄 남동쪽 약 295㎞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추가 발달 없이 동~동북동진하다가 온대저기압화가 진행되어서 8월 6일 9시에 일본 삿포로 동쪽 약 1,75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6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바이루는 중국에서 제출한 태풍의 이름으로, 중국어로 하얀 사슴을 뜻한다.

제11호 태풍 버들

자세한 정보 소형의 강한 태풍 (KMA), 강한 태풍 (JMA) ...

2025년 제11호 태풍 버들(PODUL)8월 8일 3시에 중심기압 1002hPa[5], 최대풍속 18m/s[5], 강풍 반경 165km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북북동쪽 약 62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서~서북서진하면서 강한 연직시어와 건조역으로 인해 발달 정체를 겪다가 대만 상륙을 앞두고 급발달해서, 8월 13일 12시에 대만 타이베이 남쪽 약 304km 부근 해상(북위 22.3도, 동경 121.4도)에서 중심기압 965hPa[5], 최대풍속 41m/s[5]의 강한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 8월 13일 15시에 대만 가오슝 산린 구(북위 23.0도, 동경 120.6도)에서 중심기압 970hPa, 최대풍속 36㎧의 강한 태풍으로 약화되었다가 잠시나마 대만 해협에서 재발달한 뒤 바로 중국에 상륙하였고, 육상 마찰로 인해 급약화되어서 8월 14일 15시에 중국 산터우 서북서쪽 약 33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998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 그리고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중심기압 1000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 버들은 북한(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버드나무를 의미한다.

제12호 태풍 링링

자세한 정보 소형의 열대폭풍 (KMA), 열대폭풍 (JMA) ...

2025년 제12호 태풍 링링(LINGLING)8월 21일 9시에 중심기압 1004hPa[5], 최대풍속 18㎧[5], 강풍 반경 150㎞(남쪽 반경)의 열대폭풍으로 일본 가고시마 서북서쪽 약 100㎞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동진하면서 발달하였고, 8월 21일 17시에 중심기압 998hPa, 최대풍속 21㎧의 열대폭풍의 최성기 상태로 일본 가고시마현 히오키시에 상륙하였다. 일본 큐슈 상륙 이후에도 북동~동진하며 육상 마찰을 받아서, 8월 22일 9시에 일본 가고시마 북동쪽 약 143㎞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08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8월 22일 3시에 일본 가고시마 동북동쪽 약 9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1006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 링링은 홍콩에서 제출한 태풍의 이름으로 소녀의 애칭이다.

제13호 태풍 가지키

자세한 정보 중형의 강한 태풍 (KMA), 강한 태풍 (JMA) ...

2025년 제13호 태풍 가지키(KAJIKI)8월 23일 9시에 중심기압 998hPa[5], 최대풍속 18m/s[5], 강풍 반경 220km의 열대폭풍으로 중국 홍콩 남남동쪽 약 580km 부근 해상(남중국해)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서~서북서진하면서 남중국해의 높은 수온으로 인해 급발달하였고, 8월 24일 15시에 베트남 다낭 북동쪽 약 250km 부근 해상(남중국해)에서 중심기압 950hPa[5], 최대풍속 41m/s[5]의 강한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에는 베트남에 상륙한 뒤에 육상 마찰로 인해 급약화되어서, 8월 26일 15시에 라오스 비엔티안 북북서쪽 약 12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1002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 가지키는 일본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별자리황새치자리를 의미한다.

제14호 태풍 농파

자세한 정보 소형의 열대폭풍 (KMA), 열대폭풍 (JMA) ...

2025년 제14호 태풍 농파(NONGFA)8월 30일 9시에 중심기압 996hPa, 최대풍속 18㎧, 강풍 반경 280㎞의 열대폭풍으로 베트남 다낭 북북서쪽 약 200km 부근 해상(남중국해)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서~서북서진하면서 발달하였고, 8월 30일 15시에 베트남 다낭 북서쪽 약 260km 부근 해상(통킹만)에서 중심기압 996hPa[5], 최대풍속 21m/s[5]의 열대폭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에는 베트남에 상륙한 뒤에 육상 마찰로 인해 급약화되어서, 8월 31일 3시에 라오스 비엔티안 남쪽 약 3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1002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 그리고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중심기압 1000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 농파는 라오스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호수의 이름이다.

제15호 태풍 페이파

자세한 정보 소형의 열대폭풍 (KMA), 열대폭풍 (JMA) ...

2025년 제15호 태풍 페이파(PEIPAH)9월 4일 3시에 중심기압 1002hPa[5], 최대풍속 18m/s[5], 강풍 반경 280km의 열대폭풍으로 일본 가고시마 남쪽 약 38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북~동북동진하면서 일본 열도를 가로지르면서 발달 및 온대저기압화가 진행되었고, 9월 5일 18시에 일본 도쿄 남동쪽 약 99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2hPa[5], 최대풍속 23m/s[5]의 열대폭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에는 온대저기압화가 더 진행되어서, 9월 5일 21시에 일본 도쿄 동쪽 약 28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2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그리고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중심기압 994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페이파는 마카오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물고기의 한 종류이다.

제16호 태풍 타파

자세한 정보 소형의 강한 열대폭풍 (KMA), 강한 태풍 (JMA) ...

2025년 제16호 태풍 타파(TAPAH)9월 6일 21시에 중심기압 1000hPa, 최대풍속 18㎧, 강풍 반경 220㎞의 열대폭풍으로 중국 홍콩 남남동쪽 약 450㎞ 부근 해상(남중국해)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에는 남중국해에서 서북서~북북서진하면서 급발달한 뒤, 9월 8일 9시에 중국 홍콩 서남서쪽 약 16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975hPa[5], 최대풍속 33m/s[5]의 강한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한 상태에서 중국에 상륙하였다. 중국에 상륙한 뒤에 육상 마찰로 인해 급약화되어서, 9월 8일 21시에 중국 잔장 북북동쪽 약 27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998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 타파는 말레이시아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메기과의 민물고기 이름이다.

제17호 태풍 미탁

자세한 정보 소형의 열대폭풍 (KMA), 열대폭풍 (JMA) ...

2025년 제17호 태풍 미탁(MITAG)9월 18일 15시에 중심기압 1002hPa, 최대풍속 18㎧, 강풍 반경 330㎞(동쪽 반경)의 열대폭풍으로 중국 홍콩 동남동쪽 약 490㎞ 부근 해상(남중국해)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에는 남중국해에서 서북서~북서진하면서 발달한 뒤, 9월 19일 15시에 중국 홍콩 동북동쪽 약 160km 부근 해상(남중국해)에서 중심기압 996hPa[5], 최대풍속 23m/s[5]의 열대폭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세력으로 중국에 상륙한 뒤에는 육상 마찰로 인해 급약화되어서,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9월 20일 0시에 중국 홍콩 북북동쪽 약 13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1002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9월 20일 3시에 중국 홍콩 북서쪽 약 77km 부근 육상(중국 광둥성 둥관시)에서 중심기압 1002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 미탁은 미크로네시아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여성의 이름이다.

제18호 태풍 라가사

자세한 정보 중형의 초강력 태풍 (KMA), 대형의 맹렬한 태풍 (JMA) ...

2025년 제18호 태풍 라가사(RAGASA)9월 18일 21시에 중심기압 1002hPa, 최대풍속 18㎧, 강풍 반경 330㎞(동쪽 반경)의 열대폭풍으로 필리핀 마닐라 동쪽 약 1,260㎞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서~서북서진하면서 필리핀 동쪽 해상의 높은 열용량으로 인해 급발달하였고, 9월 22일 9시에 필리핀 마닐라 북북동쪽 약 57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05hPa[5], 최대풍속 57m/s[5]의 맹렬한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에는 남중국해에서 일본 기상청 기준 맹렬 등급 세력을 유지하다가 중국 남부 해안으로 접근하며 육상 마찰로 급약화되어서 9월 24일 21시에 중심기압 965hPa, 최대풍속 39㎧의 세력으로 중국 광둥성 양장시 부근 육상에 상륙하였다. 중국 상륙 이후에는 육상 마찰로 더욱 더 급약화되어서, 9월 25일 15시에 베트남 하노이 동북동쪽 약 19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1000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 라가사는 필리핀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빠름을 의미한다.

제19호 태풍 너구리

자세한 정보 중형의 초강력 태풍 (KMA), 맹렬한 태풍 (JMA) ...

2025년 제19호 태풍 너구리(NEOGURI)9월 18일 21시에 중심기압 1004hPa, 최대풍속 18㎧, 강풍 반경 165㎞의 열대폭풍으로 일본 도쿄 동남동쪽 약 2,660㎞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서~서북서진하면서 북위 30도 부근 고위도 해상의 높은 열용량으로 인해 급발달하였고, 9월 21일 9시에 일본 도쿄 남동쪽 약 1,54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20hPa[5], 최대풍속 54m/s[5]의 맹렬한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에는 지향류 문제로 인해 북위 30도를 넘어간 이후에는 1바퀴 회전을 하였고, 다시 북동진으로 전향한 이후에는 강력한 발산으로 인해 다시 급발달해서 9월 28일 15시에 북위 35.8도에 해당되는 일본 삿포로 동남동쪽 약 2,17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50hPa[5], 최대풍속 46m/s[5]의 매우 강한 태풍으로 2차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북위 35도에서 맞이한 2차 최성기 이후에는 빠르게 북동진하면서 온대저기압화가 진행되었고, 9월 29일 9시에 일본 삿포로 동쪽 약 2,59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70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너구리는 대한민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동물 너구리를 의미한다.

제20호 태풍 부알로이

자세한 정보 중형의 강한 태풍 (KMA), 강한 태풍 (JMA) ...

2025년 제20호 태풍 부알로이(BUALOI)9월 24일 3시에 중심기압 1000hPa, 최대풍속 18㎧, 강풍 반경 440㎞(남서쪽 반경)의 열대폭풍으로 팔라우 북북서쪽 약 270㎞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서~서북서진하면서 필리핀 동쪽 해상의 높은 열용량으로 인해 급발달하였고, 9월 25일 9시에 필리핀 마닐라 동남동쪽 약 96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65hPa[5], 최대풍속 39m/s[5]의 강한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에는 필리핀을 관통한 뒤 남중국해에서 재발달하였고, 9월 29일에 베트남에 상륙한 뒤에는 육상 마찰로 인해 약화되어서 9월 29일 21시에 라오스 비엔티안 북북서쪽 약 29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1000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 부알로이는 태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태국의 디저트 이름이다.

제21호 태풍 마트모

자세한 정보 중형의 강한 태풍 (KMA), 강한 태풍 (JMA) ...

2025년 제21호 태풍 마트모(MATMO)10월 2일 9시에 중심기압 1000hPa, 최대풍속 18㎧, 강풍 반경 280㎞의 열대폭풍으로 필리핀 마닐라 동쪽 약 700㎞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서~서북서진하면서 필리핀 루손섬을 관통한 뒤 남중국해의 높은 수온으로 인해 발달하였고, 10월 5일 21시에 중국 잔장시 남서쪽 약 139km 부근 해상(통킹만)에서 중심기압 970hPa[5], 최대풍속 36m/s[5]의 강한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에는 10월 6일 3시에 중국 광시 좡족 자치구 팡청강 시(북위 21.7도, 동경 108.3도)에 상륙하면서 일본 기상청 기준 중심기압 980hPa, 최대풍속 31㎧의 강한 열대폭풍으로 다시 약화되었다. 중국베트남 상륙 이후에는 육상 마찰로 급약화되었고, 10월 6일 21시에 베트남 하노이 북쪽 약 21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1004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 그리고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중심기압 1002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 마트모는 미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호우를 의미한다.

제22호 태풍 할롱

자세한 정보 중형의 매우 강한 태풍 (KMA), 매우 강한 태풍 (JMA) ...

2025년 제22호 태풍 할롱(HALONG)10월 5일 3시에 중심기압 1002hPa, 최대풍속 18㎧, 강풍 반경 330㎞(북동쪽 반경)의 열대폭풍으로 일본 오키나와 동쪽 약 1,580㎞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북서~서북서진하면서 북위 30도 부근 고위도 해상의 높은 열용량으로 인해 급발달하였고, 10월 8일 3시에 일본 가고시마 동남동쪽 약 68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35hPa[5], 최대풍속 51m/s[5]의 매우 강한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일 때 북위 30도에서 북동진으로 전향하였다. 북동진으로 전향한 이후 일본 이즈 제도에 직접 영향을 준 뒤, 빠르게 북동~동진하면서 온대저기압화가 진행되었고,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10월 10일 15시에 일본 도쿄 동쪽 약 1,73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75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10월 10일 21시에 일본 도쿄 남동쪽 약 2,013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80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태풍 할롱의 중심 부근에 들어간 일본 하치조섬에서는 10월 9일 5시 24분에 순간최대풍속 54.7m/s를 기록했다. 할롱은 베트남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베트남의 명소인 하롱베이를 의미한다.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