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2025년 북서태평양 열대저압부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이 문서는 2025년에 발생한 태풍으로 발달하지 못한 열대저압부들의 활동에 대해 기록한 문서이다.
이전 2024년 |
열대저압부 정보 2025년 |
다음 2026년 |
통계
월별 태풍이 되지 못한 열대저압부 발생 개수
타임라인
SSHS

열대저압부 이름
일본 기상청만이 열대저압부를 열대저기압의 세력으로 감시했고, NOAA의 지정 번호가 없을 땐 이름을 JMA TD에 당시 연도에 몇 번째로 발생했는지에서의 번째 수를 붙여 서술한다. JTWC가 열대요란으로 분석하고 일본 기상청이 열대저기압으로 분석했을 땐 JTWC의 열대요란 지정 번호를 사용한다. 또한 JTWC와 일본 기상청 모두 열대저기압으로 분석했을 땐 JTWC의 열대저기압 지정 번호를 사용한다.
Remove ads
활동중인 열대저압부
제13호 열대저기압 93W
활동한 열대저압부
요약
관점
제1호 열대저기압 93W
2025년 제1호 열대저기압 93W은 2월 11일 15시에 중심기압 1008hPa, 최대풍속 13m/s의 열대저기압으로 브루나이 북쪽 동중국해 해상에서 발생하였다. 이후 미미한 기압 하강을 제외하곤 추가 발달 없이 서남~남남서쪽으로 이동했고, 불완전했던 태풍의 구조가 붕괴되어 2월 17일 9시에 적도 부근 해상에서 요란으로 약화되었다고 발표되었다.
제3호 열대저기압 94W (아링)
2025년 제3호 열대저기압 94W은 6월 11일 9시에 중심기압 1004hPa, 최대풍속 15m/s의 열대저기압으로 필리핀 동북동쪽 필리핀해 해상에서 발생하였다. 이후 미미한 기압 하강을 제외하곤 추가 발달 없이 북서북~북서쪽으로 이동했고, 정체전선에 흡수되어 6월 13일 21시에 대만 육상에서 요란으로 약화되었다고 발표되었다.
제5호 열대저기압 03W
2025년 제5호 열대저기압 96W은 6월 24일 9시에 중심기압 1006hPa, 최대풍속 13m/s의 열대저기압으로 필리핀 동쪽 필리핀해 해상에서 발생하였다. 발생 이후 서남서쪽으로 이동하면서 발달하였으나, 6월 25일 21시에 남중국해 해상에서 열대저기압으로써 03W TD로 승격되었고, 중심기압 1002hPa[1], 최대풍속 15m/s[1]의 TDa 열대저기압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이후 기압 변동을 지속하다가 중국 하이난 성과 광둥 성에 잇다라 상륙했고, 육상마찰로 약화되어 6월 27일 21시에 중국 육상에서 요란으로 약화되었다고 발표되었다.
제9호 열대저기압 07W
2025년 제9호 열대저기압 92W은 7월 11일 21시에 중심기압 1004hPa, 최대풍속 15m/s의 열대저기압으로 중국 상하이 인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 발생 이후 동북동쪽으로 이동하면서 발달하여 07W TD라는 고유 번호를 부여받았으나, 1000hPa의 TDa 열대저기압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이후 대한민국 남해에 진입해 온대저기압화가 진행되었고 잇다라 동해의 절리저기압 인근으로 진입해 7월 14일 12시에 일본 규슈 육상에서 절리저기압에 흡수되었다고 발표되었다.
태풍으로 발달한 열대저압부
요약
관점
제1호 태풍 우딥
2025년 제1호 태풍 우딥(WUTIP)은 6월 11일 9시에 중심기압 994hPa[1], 최대풍속 18m/s[1], 강풍 반경 440km(남서쪽 반경)의 열대폭풍으로 중국 하이커우 시 남동쪽 약 565km 부근 해상(남중국해)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서북서~북북서진하면서 통킹만에 진출한 뒤 통킹만의 높은 수온으로 인해 급발달하였고, 6월 13일 15시에 베트남 다낭 북쪽 약 290km 부근 해상(통킹만)에서 중심기압 980hPa[1], 최대풍속 31m/s[1]의 강한 열대폭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에는 6월 14일 15시에 최저기압 985hPa, 최대풍속 28m/s의 세력으로 중국 광둥성 잔장시 쑤이시 현(遂溪县)(북위 21.2도, 동경 109.8도)에 상륙하였다. 중국 상륙 이후 육상마찰로 인해 급약화되어서 6월 15일 3시에 중국 홍콩 서북서쪽 약 29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994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 우딥은 마카오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나비를 의미한다.
제2호 태풍 스팟
2025년 제2호 태풍 스팟(SEPAT)은 6월 23일 9시에 중심기압 1004hPa[1], 최대풍속 18m/s[1], 강풍 반경 280km(북동쪽 반경)의 열대폭풍으로 일본 도쿄 남남동쪽 약 1,32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추가 발달 없이 북서~북북서진하다가 건조역으로 인해 급격히 약화되어서 6월 25일 3시에 일본 도쿄 남쪽 약 48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06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 그리고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중심기압 1004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 스팟은 말레이시아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농어과의 민물고기를 의미한다.
제3호 태풍 문
2025년 제3호 태풍 문(MUN)은 7월 3일 3시에 중심기압 1002hPa[1], 최대풍속 18m/s[1], 강풍 반경 330km(북동쪽 반경)의 열대폭풍으로 일본 도쿄 남남동쪽 약 1,13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북서~북북동진하면서 발달하였고, 7월 6일 15시에 일본 도쿄 동남동쪽 약 94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0hPa[1], 최대풍속 26m/s[1]의 강한 열대폭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에는 북~북북동진하면서 건조역과 강한 연직시어로 인해 약화 및 온대저기압화가 진행되었고, 7월 8일 9시에 일본 센다이 동북동쪽 약 74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8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그리고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도 중심기압 998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문은 미크로네시아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야프어로 6월을 의미한다.
제4호 태풍 다나스
2025년 제4호 태풍 다나스(DANAS)는 7월 5일 3시에 중심기압 996hPa[1], 최대풍속 18m/s[1], 강풍 반경 220km(남쪽 반경)의 열대폭풍으로 중국 산터우시 남남동쪽 약 370km 부근 해상(남중국해)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거의 정체~북북동진하면서 남중국해와 대만 해협의 높은 수온으로 인해 급발달하였고, 7월 6일 21시에 중국 산터우 동쪽 약 310km 부근 해상(대만 해협)에서 중심기압 970hPa[1], 최대풍속 33m/s[1]의 강한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세력으로 대만을 관통한 뒤 급약화되었고, 대만을 관통한 이후에도 북북동진하다가 북태평양 고기압에 가로막혀서 서남서진으로 전향한 뒤 중국에 상륙하였다. 중국에 상륙한 이후에는 육상 마찰로 약화되어서 7월 9일 9시에 중국 푸저우 북북서쪽 약 9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996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 다나스는 필리핀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경험을 의미한다.
제5호 태풍 나리
2025년 제5호 태풍 나리(NARI)는 7월 13일 3시에 중심기압 998hPa[1], 최대풍속 18m/s[1], 강풍 반경 280km(남동쪽 반경)의 열대폭풍으로 일본 도쿄 남쪽 약 1,16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북~북북서진하면서 발달하였고, 7월 14일 3시에 일본 도쿄 남남동쪽 약 45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85hPa[1], 최대풍속 26m/s[1]의 강한 열대폭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에는 북진하면서 건조역과 강한 연직시어로 인해 약화 및 온대저기압화가 진행되었고, 7월 15일 2시에는 일본 홋카이도에 상륙하기도 하였다. 7월 15일 9시에 일본 삿포로 북동쪽 약 38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8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그리고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중심기압 1000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나리는 대한민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백합을 의미한다.
제6호 태풍 위파
2025년 제6호 태풍 위파(WIPHA)는 7월 18일 3시에 중심기압 996hPa[1], 최대풍속 18m/s[1], 강풍 반경 390km(북동쪽 반경)의 열대폭풍으로 필리핀 마닐라 동북동쪽 약 50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북서~서북서진하면서 발달하였고, 7월 20일 15시에 중국 홍콩 남서쪽 약 60km 부근 해상(남중국해)에서 중심기압 970hPa[1], 최대풍속 31m/s[1]의 강한 열대폭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 중국 레이저우 반도에 상륙했다가 통킹만에서 재발달 하고 나서 다시 베트남에 상륙 이후 육상마찰로 인해 급약화되어서 7월 23일 3시에 베트남 하노이 남서쪽 약 25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992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 그리고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중심기압 994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 위파는 태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여자 이름이다.
제7호 태풍 프란시스코
2025년 제7호 태풍 프란시스코(FRANCISCO)는 7월 23일 9시에 중심기압 996hPa[1], 최대풍속 18m/s[1], 강풍 반경 650km(북동쪽 반경)의 열대폭풍으로 일본 오키나와 남남동쪽 약 73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북서~북북서진하면서 발달하였고, 7월 24일 21시에 일본 오키나와 남서쪽 약 12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0hPa[1], 최대풍속 21m/s[1]의 열대폭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에는 건조역으로 인해 급약화되어서 7월 25일 15시에 대만 타이베이 북북동쪽 약 200km 부근 해상(동중국해)에서 중심기압 992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 프란시스코는 미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남자 이름이다.
제8호 태풍 꼬마이
2025년 제8호 태풍 꼬마이(CO-MAY)는 7월 23일 21시에 중심기압 994hPa[1], 최대풍속 18m/s[1], 강풍 반경 165km의 열대폭풍으로 필리핀 마닐라 북서쪽 약 416km 부근 해상(남중국해)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남서~동북동진하면서 남중국해의 높은 수온으로 인해 급발달하였고, 7월 25일 3시에 필리핀 마닐라 북북서쪽 약 260km 부근 해상(남중국해)에서 중심기압 975hPa[1], 최대풍속 33m/s[1]의 강한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에는 필리핀 일로코스 지방을 스친 뒤 북북동진하면서 건조역으로 인해 급약화되어서 7월 26일 9시에 일본 오키나와 서남서쪽 약 25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6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
하지만 2025년 제8호 태풍 꼬마이(CO-MAY)가 7월 27일 21시에 중심기압 992hPa, 10분 평균 풍속 18m/s, 강풍 반경 500km(북쪽 반경)의 열대폭풍으로 일본 오키나와 나하시 남동쪽 약 192km 부근 해상(동중국해)에서 재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속보치 기준) 재발생 이후 거의 정체 및 북서진하면서 동중국해에서 재발달한 뒤, 7월 30일 15시에 중심기압 980hPa[1], 최대풍속 21㎧[1]의 세력으로 중국 상하이(북위 30.9도, 동경 121.8도)에 상륙했다. 중국 상하이에 상륙한 이후 육상 마찰로 약화되어서, 7월 31일 9시에 중국 상하이 서쪽 약 16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990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 꼬마이는 베트남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풀의 한 종류이다.
Remove ads
같이 보기
- 2025년 태풍
- 2025년 북인도양 사이클론
- 2025년 북대서양 허리케인
- 2025년 동태평양 허리케인
- 2025년 북인도양 저기압
- 남서인도양 사이클론: 2024-2025, 2025-2026
- 호주 근해 사이클론: 2024-2025, 2025-2026
- 남태평양 사이클론: 2024-2025, 2025-2026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