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하동군 (중국)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진
전한
요약
관점
고제가 서위왕 위표를 무찌르고 서위를 병합하면서 태원군·상당군과 함께 전한의 군으로 편입됐다.[1]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23만 6896호, 96만 2912명을 관할했다.[2] 하내군·하남군과 함께 삼하(三河)라 하여, 주에 속하지 않고 사례교위의 관할을 받았다.[3] 근창(根倉), 습창(濕倉)이 있었다.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 지리지의 순서를 따른다.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 무렵)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총 24현(23현 1후국)이다.
왕망이 신나라를 세우고서는 군의 이름을 조수(兆隊)[7]로 고치고 다음 현의 이름을 고쳤다.
Remove ads
후한
20성 93,543호 570,803명을 거느렸다. 후한서에 따르면 호접현, 기후국, 장수현, 좌읍현의 4현이 폐지되었다.[8]
조위
조위에서 현재 린펀시일대에 해당하는 12현이 분리되어 평양군을 신설하였다. 호접현이 복원되었다.
서진
서진대에는 9현 42,500호를 거느렸다. 305년(유연 원희 2년), 서하군, 상당군, 태원군일부지역을 점령했던 유연은 진양에서 저항하던 유곤을 격파하고 장안에 수도를 둔 다음, 낙양을 점령해야 한다는 시중 유은과 왕육의 건의를 받아들여 남진을 실시했다. 유연은 장안, 낙양침공을 위해 하동을 점거하고 포판과 평양을 공격, 함락시켰고 수도를 평양군 포자현으로 옮겼다. 이에 하동군과 평양군의 모든 속현들이 한나라의 지배권으로 편입되었다. 이에 옛 상군지역에 살던 4부 선비의 추장 육축연(陸逐延), 기주의 석륵, 왕미 등이 유연에게 귀부했다.[9][10]
Remove ads
북조
북위대에는 진주(秦州)에 속해있었다. 일부 현이 다른 군으로 편입되었다. 안정현, 북해현, 남해현, 포판현, 의씨현의 5현을 두었다.[11]
북주시기에는 포주(浦州)에 속했다.
Remove ads
수
10현 157,078호를 거느렸다.[12]
Remove ads
군수·태수
진
- 왕계(王稽, ? ~ 기원전 255년)[13]
전한
경시 정권
- 양보(楊寶, ? ~ 25년)[18]
후한
서진
- 유백조(劉伯祖)[26]
Remove ads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