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1986년 한국시리즈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1986년 프로야구 한국시리즈는 10월 19일부터 25일까지 모두 5차전을 치러서, 해태 타이거즈가 삼성 라이온즈를 4승 1패로 누르고 우승을 차지했다. 한국시리즈 MVP는 이 시리즈에서 3승을 거둔 해태의 김정수가 차지했다.
Remove ads
정규 시즌
후기 리그에서는 OB 베어스와 해태 타이거즈가 공동 1위를 차지하는 일이 벌어졌다. 이때문에 후기 리그 우승 결정전이 치러졌는데, 2전 2승으로 OB가 후기 리그 우승의 영예를 안았다. 하지만 이와는 상관없이 전기와 후기 모두 2위 안에 든 해태는 한국시리즈에 직행하였고, 전기 1위의 삼성 라이온즈와 후기 1위의 OB 베어스가 플레이오프를 치르게 되었다.
Remove ads
플레이오프 결과
삼성 라이온즈가 OB 베어스와 플레이오프를 치렀다. 5차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삼성이 먼저 3승을 하면서 한국시리즈에 진출하였다.
한국시리즈 경기 결과
요약
관점
1차전
양 팀의 선발투수로 해태는 선동열을, 삼성은 양일환을 출격시켰다. 6회까지 1피안타 무실점으로 삼성 타선을 잘 막던 선동열은 7회에 터진 김성래의 2점 홈런에다가 9회에 1점을 추가로 내주며 패전투수가 될 위기에 몰렸었다. 반면 삼성은 양일환, 성준, 진동한이 이어 던지며 7회말까지 무실점으로 막아 나갔다. 하지만 4회 구원등판해 호투하던 진동한은 관중석에서 던진 소주병에 머리를 맞아 8회에 등판할 수 없게 된다.
이후 해태가 8회에 구원으로 등판한 김시진을 상대로 김성한의 2루타와 뒤이어 터진 김봉연의 적시타로 1점을 만회하였고, 다시 2점차로 벌어진 9회말에는 김일권의 적시 3루타와 김성한의 밀어내기 볼넷 등에 힘입어 2점을 추가하며 동점을 이루며 승부를 연장전으로 끌고 갔다.
승부는 결국 김성한의 연장 11회 끝내기 적시타로 해태가 승리를 거두었다. 당시 신인 투수였던 김정수는 연장 10회에 구원투수로 등판, 행운의 승리투수가 되었다.
2차전
1차전 진동한 소주병 사건으로 다 이긴 경기를 놓친 삼성은 선발인 김일융이 해태 타선을 6피안타 1실점으로 잘 막으면서 승리투수가 되었다. 1-1 동점이던 7회초 1사 1·3루 상황에서 배대웅이 유격수 플라이를 쳤지만, 3루 주자였던 이해창이 과감하게 홈으로 파고들며 결승점을 만들어냈다. 이로써 양팀은 1승 1패가 되며 3차전을 맞이하게 된다.
3차전
4차전
5차전
- 궁지에 몰린 삼성은 선발투수로 팀 에이스인 김시진을 등판시켰다. 이에맞선 해태는 지난 1·3차전 승리투수였던 김정수를 선발투수로 올렸다. 먼저 기세를 올린 쪽은 1회초부터 2점을 올린 삼성이었다. 장효조의 1타점 희생플라이에 이어서 터진 이만수의 솔로포로 승리에 대한 가능성을 높였다.
Remove ads
방송 중계
TV
라디오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