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한국철도공사 7100호대 디젤 기관차

대한민국 간선, 지선에서 운행되었던 한국철도공사 소속 여객, 화물 견인용 디젤 기관차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한국철도공사 7100호대 디젤 기관차
Remove ads

7100호대 디젤 기관차한국철도공사의 여객·화물 견인용 전기식 특대형 디젤 기관차이다. 주요 간선 고속화에 맞춰 도입되었다. 현재는 90량 모두 퇴역하였다.

간략 정보 제작 및 운영, 주 용도 ...
Remove ads

역사

7101호부터 7120호까지의 차량은 1975년 12월 미국수출입은행(EXIM) 차관으로 도입하였으며, 7121호부터 7140호까지의 차량은 같은 차관을 통하여 1978년 8월 들여왔다.[3] 이 가운데 일부 차량(7111 ~ 7120)은 한국철도공사 7500호대 디젤 기관차에서 개조·편입되었다.

이후의 차량은 현대차량에서 국산화 제작하여 납품하게 되었다. 1980년 12월에 4량, 이듬해 1981년 12월 5량, 1982년 12월에 9량이 도입되었다.[4] 계속하여 1983년과 이듬해 12월에 각 10량이, 1985년 1월, 12월에 12량이 운행을 개시하였다.[5] 특히 7179~7190호의 12량은 운용과 검수의 문제를 보완하기 위하여 전기 회로의 결선(結線) 구조를 보완하여 도입되었다.[5]

기술적 사양

7100호대 디젤 기관차의 원래 모델명은 GT26CW이다. 이 모델은 본래 미국에서 주로 중단거리 화물에 사용되던 것과 같은 것으로서, 대한민국에서 고속 여객 열차를 끌기 위해 알맞게 조정하여 도입되었다. 2행정 160리터급 16기통 V형 하이브리드 터보 디젤 엔진을 얹어 3000마력의 출력을 내며, 전동기 구성은 2직3병렬로 기동하여 50~60km/h에서 6직렬 회로로 전이된다. 따라서 이 속도대역에서 회로변경으로 인한 전이충격 현상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대차의 차륜배열은 전형적인 C-C축으로 되어 있으며, 제어대는 오른쪽에 직각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시야가 제한되어 부기관사가 반드시 동승하도록 되어 있다. 7124호 이전 차량에는 총괄제어 기능이 없으며, 7125호부터 7190호까지의 차량에는 운전실 부기관사석 앞쪽 출입문을 뒤쪽으로 옮긴 뒤 CCTV 카메라와 난간 가운데의 계단을 설치하는 개량이 이루어졌다. 일부 차량은 앞 문이 없는 형태로 제작되었으며, 앞 문이 있었던 일부 차량들도 개량 작업으로 앞 문이 제거되었다. 그러나 7100호대 디젤기관차는 모두 퇴역하였다.

Remove ads

현황

요약
관점

1975년부터 총 90량이 도입되었다. 현재는 모두 퇴역하였으며 퇴역한 기관차 중 11량은 파키스탄 NLC(국가물류협회)로 수출하였다.[6]퇴역한 기관차 중 7량은 이란으로 수출되었다.[7] 5량이 보존되고 있다.

자세한 정보 차호, 운행 중단 시기 ...
Remove ads

사진

같이 보기

등장 작품

"로이 비쥬얼 '가 제작한 애니메이션'로보카 폴리'는이 차량을 모델로 한 '트리노'라는 이름의 캐릭터가 등장하지만, 차축 배치가 B'o-B'o이 되고있다 바퀴에라드 가있다 등 실차와 다른 부분이 몇개 존재한다.

각주

Loading content...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