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다미아노 디펜스
체스 오프닝 중 하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다미아노 디펜스(Damiano Defence)는 다음 수로 시작하는 체스 오프닝이다.
이 디펜스는 16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가장 오래된 체스 오프닝 중 하나이다. 3.Nxe5 이후 백에게 큰 이점을 주는 나쁜 오프닝이다. 백이 이 진행을 선택하지 않더라도, 2...f6은 g8-나이트가 f6로 전개되는 것을 방해하고 흑의 킹사이드를 약화시키므로 간단한 전개만으로도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다미아노 디펜스의 ECO 코드는 C40 (킹스 나이트 오프닝)이다.
Remove ads
3.d4와 3.Bc4
흑의 2...f6?은 흑의 킹을 노출시키고, 킹사이드를 약화시키며, 흑이 나이트를 f6로 전개하는 것을 방해하는 약한 수이다. 3.d4와 3.Bc4는 강력한 대응수이다. I.A. 호로비츠는 (자신의 설명기보법 대신 대수 기보법으로 대체하여) "3.Bc4 d6 4.d4 Nc6 5.c3는 간단하고 강력하며, 그 이후 흑은 질식해 죽는다."라고 썼다.[1]
3.Nxe5!
요약
관점
a | b | c | d | e | f | g | h | ||
8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 |||||||
7 | 7 | ||||||||
6 | 6 | ||||||||
5 | 5 | ||||||||
4 | 4 | ||||||||
3 | 3 | ||||||||
2 | 2 | ||||||||
1 | 1 | ||||||||
a | b | c | d | e | f | g | h |
8...h5 이후 포지션
가장 강력한 수는 나이트 희생 3.Nxe5!이다.[2] 3...fxe5?로 나이트를 잡으면 4.Qh5+ Ke7 (4...g6은 5.Qxe5+로 킹과 룩을 포크하여 흑이 손해보는 교환을 하지만, 다른 선택지는 더 나쁘다) 5.Qxe5+ Kf7 6.Bc4+ d5! (6...Kg6?? 7.Qf5+는 파괴적이며 곧 메이트로 이어진다) 7.Bxd5+ Kg6 8.h4 (8.d4? Bd6!) 8...h5 (그림 참조. 8...h6도 비슷하지만, 흑은 10.Qf5# 때문에 9...Bxb7를 둘 수 없다) 9.Bxb7! Bd6 (9...Bxb7 10.Qf5+ Kh6 11.d4+ g5 12.Qf7!는 빠르게 메이트시킨다) 10.Qa5!로 흑은 치명적인 공격에 노출된다. 이때 흑의 최선은 10...Nc6 11.Bxc6 Rb8이며, 이제 백은 12.Qxa7으로 폰 5개를 추가로 얻을 수 있다. 브루스 판돌피니는 흑의 오프닝이 때때로 "5폰 갬빗"으로 지칭된다고 지적한다.[3] 대안으로 백은 기물 전개를 계속하여 폰 4개 이점을 유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든 백은 명확하게 이기는 포지션을 갖는다.
나이트를 잡는 것이 치명적이므로, 3.Nxe5 이후 흑은 대신 3...Qe7!을 두어야 한다.[4] (3...d5와 같은 다른 흑의 세 번째 수는 4. Qh5+! g6 5. Nxg6!로 이어진다.) 4.Nf3 (4.Qh5+? g6 5.Nxg6 Qxe4+ 6.Be2 Qxg6은 흑이 폰 대신 기물을 앞서게 된다)[4] 4...Qxe4+ 5.Be2 이후, 흑은 폰을 되찾았지만 시간을 낭비하고 킹사이드를 약화시켰으며, 백이 Nc3나 0-0, Re1, 그리고 e2에 있는 비숍의 움직임으로 퀸을 쫓으면 더 많은 시간을 잃게 될 것이다. 닉 드 퍼미언은 모던 체스 오프닝에서 대신 4...d5 5.d3 dxe4 6.dxe4를 분석했는데, 엠마누엘 쉬페르스와 미하일 치고린의 1897년 상트페테르부르크 경기에서 백이 약간의 이점을 가졌다.[5]
흑이 3...Qe7!로만 폰을 되찾을 수 있다는 사실은 2...f6?이 e-폰을 전혀 방어하지 못했음을 보여준다. 실제로 2...a6?!와 같이 비교적 쓸모없는 움직임조차도 2...f6?보다 덜 위험하다. 2...a6?! 3.Nxe5 이후에도 흑은 3...Qe7 4.d4 d6으로 폰을 되찾을 수 있지만, 킹사이드를 약화시키거나 킹스 나이트가 f6로 전개되는 것을 막지 않았다.
Remove ads
역사
쉬페르스 대 치고린, 1897년
a | b | c | d | e | f | g | h | ||
8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 |||||||
7 | 7 | ||||||||
6 | 6 | ||||||||
5 | 5 | ||||||||
4 | 4 | ||||||||
3 | 3 | ||||||||
2 | 2 | ||||||||
1 | 1 | ||||||||
a | b | c | d | e | f | g | h |
10.Ne5! 후의 포지션, 백이 흑의 퀸을 잡는다. 나이트를 잡으면 11.Bh5로 퀸이 킹에 핀되고, 10...Qf5는 11.Bg4로 퀸이 갇히게 된다 (11...Qxe5 12.Qxd7#).
이 오프닝은 포르투갈의 체스 저술가 페드로 다미아노 (1480–1544)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는데, 다미아노가 이 오프닝을 약하다고 비난했으며 이 책이 실제로는 프란체스크 비센트의 저작일 수도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렇다. 1847년, 하워드 스턴턴은 2...f6에 대해 "이 수는 다미아노의 오래된 저서에 나오며, 그는 이에 대한 몇 가지 독창적인 변형을 제시한다. 로페스와 후대 저자들은 이 때문에 이를 '다미아노 갬빗'이라고 명명했다."라고 썼다.[6] 대신 스턴턴의 동시대 인물인 조지 워커는 세 번째 수에서 백이 수행하는 나이트 희생을 "다미아노 갬빗"으로 더 논리적으로 명명했다.(1.e4 e5 2.Nf3 f6 3.Nxe5)[7] 스턴턴은 [1.e4 e5 2.Nf3] 2...Nc6를 "킹스 나이트 오프닝에 대한 다미아노의 방어"라고 언급했는데, 이 수는 당시나 지금이나 매우 존경받는 수이다.[8]
다미아노 디펜스는 오늘날 최고 수준의 경기에서는 전혀 볼 수 없다. 진중한 마스터 대회에서 다미아노를 플레이한 가장 위대한 선수는 치고린이었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그는 1897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쉬페르스와의 경기에서 3...Qe7 라인을 플레이했다. 치고린은 10수에 퀸을 잃었지만 (다이어그램 참조), 쉬페르스가 너무 약하게 플레이하여 치고린은 나중에 훌륭한 강제 메이트를 놓쳤고, 쉬페르스가 이기고 있는 포지션에서 무승부에 동의했을 때에만 겨우 벗어날 수 있었다.[9] 로버트 맥그리거는 1964년 보비 피셔와의 동시 시범 경기에서 다미아노를 플레이하여 3...Qe7 4.Nf3 d5 5.d3 dxe4 6.dxe4 Qxe4+ 7.Be2 Bf5로 진행했고, 비록 피셔가 최선의 수를 두지는 않았지만 무승부를 기록했다.[10]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