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AR 하위 유형 |
이전 이름 |
신호전달 |
발현 프로필 |
사람에서 알려진 또는 추정되는 기능[주 1] |
알려진 리간드 |
출처 |
hTAAR1 |
TA1 TAR1 |
Gs, Gq, GIRKs, 어레스틴 β 2 |
중추신경계: 뇌 (광범위), 척수 주변부: 이자의 β 세포 , 위, 십이지장, 장, 백혈구, 기타[주 2] |
• 중추신경계: 모노아민/글루탐산 신경전달의 조절 • 중추신경계: 인지과정 및 기분 상태의 조절 • 주변부: 백혈구 화학주성 • 주변부: 위장관 호르몬 방출 및 혈당의 조절 • 포만감과 체중의 조절 |
• 미량 아민 (예: 티라민, 펜에틸아민, N-메틸펜에틸아민) • 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 (예: 도파민) • 암페타민 및 일부 구조적 유사체 |
[3][13] [15][16] |
hTAAR2 [주 3] |
GPR58 |
Golf, 다른 G 단백질 연결 수용체(불명)[주 4] |
중추신경계: 뇌(제한됨)[주 5] 주변부: 후각상피, 장, 심장, 고환, 백혈구 |
• 주변부: 백혈구 화학주성 • 후각: 휘발성 냄새 물질에 대한 화학 수용체[주 6]
|
|
[9][13] [15][16] [17][18] |
TAAR3 |
GPR57 |
해당 없음 |
해당 없음 |
사람의 위유전자 – 해당 없음 |
해당 없음 |
[12][13] [15] |
TAAR4 |
TA2 |
해당 없음 |
해당 없음 |
사람의 위유전자 – 해당 없음 |
해당 없음 |
[12][13] [15] |
hTAAR5 |
PNR |
Gs, Golf, Gq, G12/13 |
중추신경계: 뇌(제한됨), 척수 주변부: 후각상피, 장, 고환, 백혈구 |
• 후각: 휘발성 및 악취나는 냄새를 맡는 화학 수용체[주 6] |
• 작용제: 트라이메틸아민, N,N-다이메틸에틸아민 • 역작용제: 3-아이오도티로나민 |
[9][13] [15][20] [21][22] [23] |
hTAAR6 |
TA4 TAR4 |
Golf, 다른 G 단백질 연결 수용체(불명) |
중추신경계: 뇌 주변부: 후각상피, 장, 고환, 백혈구, 콩팥 |
• 후각: 휘발성 냄새 물질에 대한 화학 수용체[주 6] |
• 작용제: 푸트레신 및 카다베린[24] |
[9][13] [15][25] |
TAAR7 |
– |
해당 없음 |
해당 없음 |
사람의 위유전자 – 해당 없음 |
해당 없음 |
[9][13] [15] |
hTAAR8 |
TA5 GPR102 |
Golf, Gi/o |
중추신경계: 뇌 주변부: 후각상피, 멜라닌세포,[26] 위, 장, 심장, 고환, 백혈구, 콩팥, 폐, 근육, 지라 |
• 후각: 휘발성 냄새 물질에 대한 화학 수용체[주 6] |
• 작용제: 푸트레신 및 카다베린[24] |
[9][13] [15][27] |
hTAAR9 [주 7] |
TA3 TAR3 |
Golf, 다른 G 단백질 연결 수용체(불명) |
중추신경계: 척수 주변부: 후각상피, 장, 백혈구, 뇌하수체, 골격근, 지라 |
• 후각: 휘발성 냄새 물질에 대한 화학 수용체[주 6] |
• 작용제: N-메틸 피페리딘 (CAS: 626-67-5)[28] |
[9][13] [15][29] |
- 주
2017년 12월을 기준으로 중추신경계와 후각상피 이외의 말초 조직에서 hTAAR2, hTAAR5, hTAAR6, hTAAR8, hTAAR9의 기능은 결정되지 않았다.[13]
hTAAR1은 사람의 후각상피에서 발현되지 않는 유일한 TAAR의 하위 유형이다.[9][14] 따라서 다른 모든 사람 미량 아민 관련 수용체와는 달리 hTAAR1은 사람의 후각 수용체로 기능하지 않는다.[9][14]
hTAAR2는 Gα 단백질과 공동 발현되는 것으로 밝혀졌지만, 정확한 신호전달 메커니즘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13][17]
hTAAR2의 발현은 사람의 소뇌에서 관찰되었다.[18]
사람을 비롯한 다른 동물의 경우 후각상피에서 발현되는 TAAR은 특정 페로몬을 포함한 휘발성 아민 냄새 물질을 감지하는 후각 수용체로 기능한다.[9][15] 이들 TAAR은 사회적 신호의 후각 감지에 관여하는 페로몬 수용체의 한 종류로 기능하는 것으로 추정된다.[9][15] 사람이 아닌 동물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검토한 결과, 후각상피의 TAAR이 작용제에 대한 매력적이거나 혐오스러운 행동 반응을 매개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9] 이 리뷰에서는 또한 TAAR에 의해 유발되는 행동 반응이 종마다 다를 수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9] 예를 들어, TAAR5는 쥐에서 트라이메틸아민에 대한 이끌림을 매개하고, 래트에서 트라이메틸아민에 대한 혐오감을 매개한다.[9] 사람의 경우 hTAAR5는 hTAAR5 작용제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진 트라이메틸아민에 대한 혐오감을 매개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사람에게 혐오감을 주는 역겨운 생선같은 냄새를 가지고 있다.[9][19] 그러나 hTAAR5는 사람의 트라이메틸아민에 대한 후각을 담당하는 유일한 후각 수용체가 아니다.[9][19] 2015년 12월을 기준으로 hTAAR5에 의한 트라이메틸아민 혐오감은 발표된 연구에서 조사되지 않았다.[19]
hTAAR9는 대부분의 개체에서 기능적인 수용체이지만, 사람의 hTAAR9 유전자의 기능상실 돌연변이(특히, 다형성 조기 종결 코돈)는 개체에서 10~30% 정도 발생한다.[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