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인[notes 1] |
연도 |
제목 및 영어 번역본[notes 2] |
학술지, 권, 페이지[notes 3] |
분류 및 주석[notes 4] |
Schilpp 1; CP '2, 1 | 1901 | Folgerungen aus den Kapillaritätserscheinungen
|
물리학 연보 (ser. 4), 4, 513–523, link | 분자간 힘.[64] 아인슈타인이 모든 분자 간의 상호 작용이 중력의 역제곱 법칙과 유사하게 거리에 대한 보편적인 함수라는 (잘못된) 이론을 제안한 두 편의 논문 중 첫 번째. 매개변수화된 그의 이론은 더 무거운 소수성 분자에 대해 합리적으로 정확한 예측을 하지만, 더 가벼운 분자에는 실패한다. |
Schilpp 2; CP 2, 2 | 1902 | Thermodynamische Theorie der Potentialdifferenz zwischen Metallen und vollständig dissoziierten Lösungen ihrer Salze, und eine elektrische Methode zur Erforschung der Molekularkräfte
금속과 그 염의 완전 해리된 용액 간의 전위차에 대한 열역학 이론 및 분자 힘 연구를 위한 전기적 방법 |
|
물리학 연보 (ser. 4), 8, 798–814, link | 분자간 힘.[65] 전해 용액에 적용된 보편적인 분자 에너지 함수에 대한 아인슈타인의 두 번째 논문. 비교할 수 있는 데이터는 없다. 아인슈타인은 1907년에 이 두 논문을 "가치 없다"고 특징지었다.[66] |
Schilpp 3; CP 2, 3 | 1902 | Kinetische Theorie des Wärmegleichgewichtes und des zweiten Hauptsatzes der Thermodynamik
열역학적 평형 및 열역학 제2법칙의 운동론적 이론 |
|
물리학 연보 (ser. 4), 9, 417–433, link | 통계역학.[67] 에너지 등분배법칙 및 온도와 엔트로피의 정의에 대한 연구. |
Schilpp 4; CP 2, 4 | 1903 | Eine Theorie der Grundlagen der Thermodynamik
|
물리학 연보 (ser. 4), 11, 170–187, link | 통계역학.[68] 열역학에서 비가역 과정의 문제. |
Schilpp 5; CP 2, 5 | 1904 | Allgemeine molekulare Theorie der Wärme
|
물리학 연보 (ser. 4), 14, 354–362, link | 통계역학.[69] 요동 및 볼츠만 상수를 결정하는 새로운 방법. |
CP 2, 6 | 1905 | Review of Giuseppe Belluzzo: "Principi di termodinamica grafica"
주세페 벨루초의 논평: "그래픽 열역학 원리" |
|
Beiblätter zu den Annalen der Physik, 29, 78 | 열역학. |
CP 2, 7 | 1905 | Review of Albert Fliegner: "Über den Clausius'schen Entropiesatz"
알베르트 플리그너의 논평: "클라우지우스 엔트로피 법칙에 대하여" |
|
Beiblätter zu den Annalen der Physik, 29, 79 | 열역학. |
CP 2, 8 | 1905 | Review of William McFadden Orr: "On Clausius' Theorem for Irreversible Cycles, and on the Increase of Entropy" |
Beiblätter zu den Annalen der Physik, 29, 79 | 열역학. |
CP 2, 9 | 1905 | Review of George Hartley Bryan: "The Law of Degradation of Energy as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Thermodynamics" |
Beiblätter zu den Annalen der Physik, 29, 80 | 열역학. |
CP 2, 10 | 1905 | Review of Nikolay Nikolayevich Schiller: "Einige Bedenken betreffend die Theorie der Entropievermehrung durch Diffusion der Gase bei einander gleichen Anfangsspannungen der letzteren"
니콜라이 니콜라예비치 실러의 논평: "기체의 초기 압력이 동일할 때 기체의 확산으로 인한 엔트로피 증가 이론에 대한 몇 가지 우려" |
|
Beiblätter zu den Annalen der Physik, 29, 81 | 열역학. |
CP 2, 11 | 1905 | Review of Jakob Johann Weyrauch: "Über die spezifischen Wärmen des überhitzten Wasserdampfes"
야콥 요한 와이라흐의 논평: "과열 수증기의 비열에 대하여" |
|
Beiblätter zu den Annalen der Physik, 29, 82 | 열역학. |
CP 2, 12 | 1905 | Review of Jacobus Henricus van't Hoff: "Einfluss der Änderung der spezifischen Wärme auf die Umwandlungsarbeit"
야코뷔스 헨리퀴스 판트 호프의 논평: "비열 변화가 변환 작업에 미치는 영향" |
|
Beiblätter zu den Annalen der Physik, 29, 82 | 열역학. |
CP 2, 13 | 1905 | Review of Arturo Giammarco: "Un caso di corrispondenza in termodinamica"
아르투로 잠마르코의 논평: "열역학에서 해당 상태의 경우" |
|
Beiblätter zu den Annalen der Physik, 29, 84 | 열역학. |
Schilpp 7; CP 2, 14; Weil *6 | 1905 March 17 | Über einen die Erzeugung und Verwandlung des Lichtes betreffenden heuristischen Gesichtspunkt
빛의 생성 및 변환에 관한 발견적 관점에 대하여 |
|
물리학 연보 (ser. 4), 17, 132–148, link | 광자.[70] 여러 독립적인 주장에 의해 뒷받침되는 에너지 양자로서의 광자 제안.
놀랍게도, 첫 영어 번역은 원본 작업 60주년이 되는 1965년 5월 미국 물리학 저널 33권 5호에 출판될 때까지 나오지 않았다(A.B. Arons와 M.B. Peppard의 영어 번역). |
Schilpp 8; CP 2, 16; Weil *8 | 1905 | Über die von der molekularkinetischen Theorie der Wärme geforderte Bewegung von in ruhenden Flüssigkeiten suspendierten Teilchen
분자 운동론적 열 이론에 의해 요구되는 정지 액체에 현탁된 작은 입자의 운동에 대하여 |
|
물리학 연보 (ser. 4), 17, 549–560, link | 통계역학.[71] 브라운 운동, 즉 병진 확산 유형에 대한 획기적인 연구. |
CP 2, 17 | 1905 | Review of Karl Fredrik Slotte: "Über die Schmelzwärme"
칼 프레드릭 슬로테의 논평: "용해열에 대하여" |
|
Beiblätter zu den Annalen der Physik, 29, 135 | 열역학. |
CP 2, 18 | 1905 | Review of Karl Fredrik Slotte: "Folgerungen aus einer thermodynamischen Gleichung"
칼 프레드릭 슬로테의 논평: "열역학 방정식에서 도출된 결론" |
|
Beiblätter zu den Annalen der Physik, 29, 135 | 열역학. |
CP 2, 19 | 1905 | Review of Emile Mathias: "La constante a des diamètres rectilignes et les lois des états correspondents"
에밀 마티아스의 논평: "직선 지름의 상수 a와 해당 상태의 법칙" |
|
Beiblätter zu den Annalen der Physik, 29, 136 | 열역학. |
CP 2, 20 | 1905 | Review of Max Planck: "On Clausius' Theorem for Irreversible Cycles, and on the Increase of Entropy" |
Beiblätter zu den Annalen der Physik, 29, 29 (1905) 137 | 열역학. |
CP 2, 21 | 1905 | Review of Edgar Buckingham: "On Certain Difficulties Which Are Encountered in the Study of Thermodynamics" |
Beiblätter zu den Annalen der Physik, 29, 137 | 열역학. |
CP 2, 22 | 1905 | Review of Paul Langevin: "Sur une formule fondamentale de la théorie cinétique"
폴 랑주뱅의 논평: "운동 이론의 기본 공식에 대하여" |
|
Beiblätter zu den Annalen der Physik, 29, 138 | 열역학. |
Schilpp 9; CP 2, 23; Weil *9 | 1905 | Zur Elektrodynamik bewegter Körper
|
물리학 연보 (ser. 4), 17, 891–921, link, Wikilivres | 특수 상대성이론.[72] 이 획기적인 논문은 특수 상대성이론(SR)을 탄생시켰다. 특히, SR의 두 가지 가설(균일 운동은 감지할 수 없고, 빛의 속도는 항상 일정하다)과 그 운동학을 기술했다. |
Schilpp 10; CP 2, 24; Weil *10 | 1905 | Ist die Trägheit eines Körpers von seinem Energieinhalt abhängig?
물체의 관성은 그 에너지 함량에 따라 달라지는가? |
|
물리학 연보 (ser. 4), 18, 639–641, link | 특수 상대성이론.[73] 그의 마지막 논문의 후속편으로, 이 논문은 질량이 에너지와 동등하다는 결론을 도출했으며, 이는 E = mc2라는 방정식으로 이어졌다. |
CP 2, 25 | 1905 | Review of Heinrich Birven: Grundzüge der mechanischen Wärmetheorie
하인리히 비르벤의 논평: 열의 역학적 이론의 기초 |
|
Beiblätter zu den Annalen der Physik, 29, 175 | 열역학. |
CP 2, 26 | 1905 | Review of Auguste Ponsot: "Chaleur dans le déplacement de 1'équilibre d'un système capillaire"
오귀스트 퐁소의 논평: "모세관 시스템의 평형 이동에서의 열" |
|
Beiblätter zu den Annalen der Physik, 29, 175 | 열역학. |
CP 2, 27 | 1905 | Review of Karl Bohlin: "Sur le choc, considéré comme fondement des théories cinétiques de la pression des gaz et de la gravitation universelle"
칼 볼린의 논평: "기체 압력 및 만유인력의 운동론적 이론의 기초로서의 충격에 대하여" |
|
Beiblätter zu den Annalen der Physik, 29, 176 | 열역학. |
CP 2, 28 | 1905 | Review of Georges Meslin: "Sur la constante de la loi de Mariotte et GayLussac"
조르주 메슬랭의 논평: "마리오트-게이뤼삭 법칙의 상수에 대하여" |
|
Beiblätter zu den Annalen der Physik, 29, 177 | 열역학. |
CP 2, 29 | 1905 | Review of Albert Fliegner: "Das Ausströmen heissen Wassers aus Gefässmündungen"
알베르트 플리그너의 논평: "용기 입구에서 뜨거운 물의 유출" |
|
Beiblätter zu den Annalen der Physik, 29, 177 | 열역학. |
CP 2, 30 | 1905 | Review of Jakob Johann Weyrauch: Grundriss der Wärmetheorie. Mit zahlreichen Beispielen und Anwendungen
야콥 요한 와이라흐의 논평: "열 이론 개요. 수많은 예시와 응용. 1부" |
|
Beiblätter zu den Annalen der Physik, 29, 178 | 열역학. |
CP 2, 31 | 1905 | Review of Albert Fliegner: "Über den Wärmewert chemischer Vorgänge"
알베르트 플리그너의 논평: "화학 공정의 열 값에 대하여" |
|
Beiblätter zu den Annalen der Physik, 29, 179 | 열역학. |
Schilpp 11; CP 2, 33 | 1906 | Eine neue Bestimmung der Moleküldimensionen
|
물리학 연보 (ser. 4), 19, 289–306, link | 통계역학.[74] 분자 부피의 유체역학적 결정. |
Schilpp 12; CP 2, 32; Weil *11 | 1906 | Zur Theorie der Brownschen Bewegung
|
물리학 연보 (ser. 4), 19, 371–381, link | 통계역학.[75] 회전 확산의 예인 회전 브라운 운동. |
Schilpp 13; CP 2, 34; Weil *12 | 1906 | Theorie der Lichterzeugung und Lichtabsorption
|
물리학 연보 (ser. 4), 20, 199–206, link | 광자.[76] 아인슈타인은 플랑크와 자신의 흑체 공식 E=hν의 '독립적인' 도출을 조화시켰다. 이 공식에 대한 플랑크의 도출은 복사가 물질에 의해 생성되거나 흡수될 때 가능한 에너지 변화에 대한 제한으로 귀인했지만, 이는 물질이나 복사의 에너지에 대한 제한을 의미하지 않았다. 아인슈타인의 1905년 도출은 복사 에너지에만 제한을 두는 것으로 귀인했지만, 이 논문에서 그는 물질과 복사의 에너지가 모두 양자화된다는 현대적 아이디어를 제안했으며, 이는 참조 #16과 같은 양자 비열에 대한 그의 연구로 이어졌다. |
Schilpp 14; CP 2, 35 | 1906 | Prinzip von der Erhaltung der Schwerpunktsbewegung und die Trägheit der Energie
|
물리학 연보 (ser. 4), 20, 627–633, link | 특수 상대성이론.[77] 질량 보존이 에너지 보존의 특수한 경우라는 첫 진술. |
Schilpp 15; CP 2, 36 | 1906 | Eine Methode zur Bestimmung des Verhältnisses der transversalen und longitudinalen Masse des Elektrons
|
물리학 연보 (ser. 4), 21, 583–586, link | 특수 상대성이론.[78] 프랑스어 번역은 학술지 L'Éclairage électrique, 49권, 493–494페이지에 게재되었다. |
CP 2, 37 | 1906 | Review of Max Planck: Vorlesungen über die Theorie der Wärmestrahlung
|
Beiblätter zu den Annalen der Physik, 30, 211 | 통계역학. |
Schilpp 16; CP 2, 38; Weil *15 | 1907 | Plancksche Theorie der Strahlung und die Theorie der Spezifischen Wärme
|
물리학 연보 (ser. 4), 22, 180–190, 800 link and correction and | 비열용량.[79] 고체 내 원자와 분자의 진동에 플랑크 법칙을 적용하는 획기적인 연구. 고전 물리학에서 에너지 등분배법칙의 19세기 역설을 해결하고, 현재 디바이 모형으로 이어진 아인슈타인 고체 모형을 도입했다. 양자역학적 법칙 E = hν가 흑체 복사에만 국한되지 않는 '일반적인' 물리학 법칙임을 보여주었다. |
Schilpp 17; CP 2, 39 | 1907 | Gültigkeit des Satzes vom thermodynamischen Gleichgewicht und die Möglichkeit einer neuen Bestimmung der Elementarquanta
열역학적 평형 법칙의 유효성 한계와 기본 양자의 새로운 결정 가능성 |
|
물리학 연보 (ser. 4), 22, 569–572, link | 통계역학.[80] 축전기의 전압 요동으로부터 볼츠만 상수를 결정하기 위해 그의 요동 이론을 적용했다. 이는 참조 #25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전압 증폭을 위한 새로운 저잡음 기술을 초래했다. |
Schilpp 18; CP 2, 41 | 1907 | Möglichkeit einer neuen Prüfung des Relativitätsprinzips
|
물리학 연보 (ser. 4), 23, 197–198, link | 특수 상대성이론.[81] 아인슈타인의 횡 도플러 효과 발견으로, 파원과 수신기 사이의 선과 파원의 속도가 수직일 때에도 인지되는 주파수가 이동한다. |
Schilpp 19 | 1907 | Bemerkung zur Notiz des Herrn P. Ehrenfest: Translation deformierbarer Elektronen und der Flächensatz
파울 에렌페스트 씨의 노트에 대한 코멘트: 변형 가능한 전자의 병진 운동과 면적 법칙 |
|
물리학 연보 (ser. 4), 23, 206–208, link | 특수 상대성이론.[82] 강체에 로런츠 변환을 적용하는 어려움에 대해 논의한다. |
Schilpp 20; CP 2, 45 | 1907 | Die vom Relativätsprinzip geforderte Trägheit der Energie
|
물리학 연보 (ser. 4), 23, 371–384, link | 특수 상대성이론.[83] 정지 상태의 입자의 총 에너지가 E = mc2와 같다는 첫 진술. 외부 힘의 영향 하에서 에너지와 운동량의 변환을 도출한다(상대론적 동역학). 강체에 로런츠 변환을 적용하는 어려움을 다시 언급한다(참조 #19 참조). 마지막으로, 열역학이 통계역학의 극한적인 경우인 것처럼, 맥스웰 방정식이 다수의 광자에 대한 극한적인 경우가 될 것이라고 추측한다. |
CP 2, 46 | 1907 | Review of Jakob Johann Weyrauch: Grundriss der Wärmetheorie. Mit zahlreichen Beispielen und Anwendungen
야콥 요한 와이라흐의 논평: 열 이론 개요. 수많은 예시와 응용. 2부. |
|
Beiblätter zu den Annalen der Physik, 31, 251 | 열역학. |
Schilpp 21; CP 2, 47; Weil *21 | 1907 | Relativitätsprinzip und die aus demselben gezogenen Folgerungen
|
Jahrbuch der Radioaktivität, 4, 411–462, link | 특수 및 일반 상대성이론.[84] 5권, 98–99페이지에 Berichtigungen라는 제목으로 수정판이 실렸다. 443페이지에 방정식 E = mc2이 처음 등장한다. 이 논문은 또한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이론의 긴 발전의 시작을 알리며, 여기서 그는 등가원리, 중력적색편이, 그리고 빛의 중력적 굴절을 도출한다. 아인슈타인은 1911년에 이러한 주제들로 돌아온다. |
Schilpp 22; CP 2, 40 | 1907 | Theoretische Bemerkungen über die Brownsche Bewegung
|
Zeitschrift für Elektrochemie und angewandte physikalische Chemie, 13, 41–42 | 통계역학.[85] "평균 속도"의 기술적 의미에 대한 짧은 노트. |
Schilpp 23; CP 2, 51 | 1908 | Elektromagnetische Grundgleichungen für bewegte Körper
|
물리학 연보 (ser. 4), 26, 532–540, link | 특수 상대성이론.[86] J. 라우브와 공동 저술. 27권, 232페이지, Berichtigungen에 수정판이 실렸다. #27 출판물도 참조. |
Schilpp 24; CP 2, 52 | 1908 | Die im elektromagnetischen Felde auf ruhende Körper ausgeübten ponderomotorischen Kräfte
전자기장 내 정지 물체에 가해지는 중량 동력학적 힘 |
|
물리학 연보 (ser. 4), 26, 541–550, link | 특수 상대성이론.[87] J. 라우브와 공동 저술. |
Schilpp 25; CP 2, 48 | 1908 | Neue elektrostatische Methode zur Messung kleiner Elektrizitätsmengen
|
Physikalische Zeitschrift, 9, 216–217 | 전자기학.[88] 미세한 양의 전하를 측정하는 새로운 실험 방법으로, 먼저 낮은 용량에서 가변 축전기를 충전한 다음 높은 용량으로 변경하여 다른 축전기로 방전한다. 이 증폭 장치는 요한 콘라트 하비히트와 프란츠 파울 하비히트 형제가 아인슈타인과 공동으로 제작하여 Physikalische Zeitschrift, 11권, 532페이지(1910년)에 발표했다. |
Schilpp 26; CP 2, 50 | 1908 | Elementare Theorie der Brownschen Bewegung
|
Zeitschrift für Elektrochemie, 14, 235–239 | 통계역학.[89] 반대중적 검토. |
Schilpp 27; CP 2, 54 | 1909 | Bemerkungen zu unserer Arbeit: Elektromagnetische Grundgleichungen für bewegte Körper
우리의 논문에 대한 언급: 움직이는 물체를 위한 기본 전자기 방정식에 대하여 |
|
물리학 연보 (ser. 4), 28, 445–447, link | 특수 상대성이론.[86] J. 라우브와 공동 저술. |
Schilpp 28; CP 2, 55 | 1909 | Bemerkung zur Arbeit von Mirimanoff: Die Grundgleichungen...
D. 미리마노프의 논문에 대한 코멘트: 기본 방정식... |
|
물리학 연보 (ser. 4), 28, 885–888, link | 특수 상대성이론.[90] 헤르만 민코프스키의 작업과의 유사점을 언급한다. |
Schilpp 29; CP 2, 56 | 1909 | Zum gegenwärtigen Stande des Strahlungsproblems
|
Physikalische Zeitschrift, 10, 185–193 | 광자.[91] 전자기 복사에 대한 검토 논문이며, #30 출판물의 중요한 선구자이다. |
Schilpp 29b; CP 2, 57 | 1909 | No title |
Physikalische Zeitschrift, 10, 323–324 | 광자.[92] 맥스웰 방정식의 전진 및 후진 해에 대한 그들의 다른 관점에 대한 발터 리츠와 아인슈타인(공동 저자)의 공동 통신문. 아인슈타인은 후진 해에 대한 물리적 제한이 법칙이 아니라 확률적이라고 주장한다. 리츠는 같은 제한이 열역학 제2법칙의 기초라고 말한다. |
Schilpp 30; CP 2, 60 | 1909 | Entwicklung unserer Anschauungen über das Wesen und die Konstitution der Strahlung
복사의 본질과 구성에 대한 우리의 견해의 발전에 대하여 |
|
Physikalische Zeitschrift, 10, 817–825 | 광자.[93] 잘츠부르크에서 개최된 제81차 독일 자연과학자 협회 총회에서 아인슈타인이 광자가 운동량을 가져야 하며 입자로 취급되어야 함을 보여준 중요한 강연. 전자기 복사가 파동과 입자라는 이중성을 가져야 한다고 언급. 학술지 Deutsche physikalische Gesellschaft, Verhandlungen, 11권, 482–500페이지에도 출판되었다. 영어 번역은 위키문헌에서 볼 수 있다. |
Schilpp 31; CP 3, 7 | 1910 | Über einen Satz der Wahrscheinlichkeitsrechnung und seine Anwendung in der Strahlungstheorie
확률 계산의 정리와 복사 이론에서의 응용에 대하여 |
|
물리학 연보 (ser. 4), 33, 1096–1104, link | 광자.[94] L. 호프와 공동 저술. #79 출판물도 참조. |
Schilpp 32; CP 3, 8 | 1910 | Statistische Untersuchung der Bewegung eines Resonators in einem Strahlungsfeld
|
물리학 연보 (ser. 4), 33, 1105–1115, link | 광자.[95] L. 호프와 공동 저술. |
Schilpp 33; CP 3, 9; Weil *36 | 1910 | Theorie der Opaleszenz von homogenen Flüssigkeiten und Flüssigkeitsgemischen in der Nähe des kritischen Zustandes
임계 상태 근처의 균일한 유체 및 액체 혼합물의 오팔색 현상 이론 |
|
물리학 연보 (ser. 4), 33, 1275–1298, link | 통계역학.[96] 임계 오팔색 현상에 대한 획기적인 논문. |
Schilpp 34; CP 3, 2 | 1910 | Principe de relativité et ses conséquences dans la physique moderne
|
Archives des sciences physiques et naturelles (ser. 4), 29, 5–28, 125–244 | 특수 상대성이론.[97] E. 기욤 번역, 그러나 #21 참조와 일치하지 않는다. |
Schilpp 35; CP 3, 5 | 1910 | Théorie des quantités lumineuses et la question de la localisation de l'énergie électromagnetique
|
Archives des sciences physiques et naturelles (ser. 4), 29, 525–528 | 광자. |
Schilpp 36; CP 3, 6 | 1910 | Forces pondéromotrices qui agissent sur les conducteurs ferromagnétiques disposés dans un champs magnétique et parcourus par un courant
자기장 내에 배치되고 전류가 흐르는 강자성 도체에 작용하는 중량 동력학적 힘 |
|
Archives des sciences physiques et naturelles (ser. 4), 30, 323–324 | 전자기학.[98] |
Schilpp 37; CP 3, 12 | 1911 | Bemerkung zu dem Gesetz von Eötvös
|
물리학 연보 (ser. 4), 34, 165–169, link | 분자간 힘 및 유체역학.[99] |
Schilpp 38; CP 3, 13; Weil *39 | 1911 | Beziehung zwischen dem elastischen Verhalten und der Spezifischen Wärme mit einatomigem Molekül
단원자 분자를 가진 고체의 탄성 거동과 비열 사이의 관계 |
|
물리학 연보 (ser. 4), 34, 170–174, link | 비열용량.[100] 아인슈타인은 1907년 비열 이론의 특징적인 주파수를 고체의 탄성적 특성과 연결하려고 시도한다. 590페이지의 "Bemerkung zu meiner Arbeit: 'Eine Beziehung zwischen dem elastischen Verhalten ...'"도 참조. |
Schilpp 39; CP 3, 10 | 1911 | Bemerkungen zu den P. Hertzschen Arbeiten: Mechanische Grundlagen der Thermodynamik
P. 헤르츠의 논문: 열역학의 역학적 기초에 대한 코멘트 |
|
물리학 연보 (ser. 4), 34, 175–176, link | 통계역학.[101] |
Schilpp 40; CP 3, 14 | 1911 | Berichtigung zu meiner Arbeit: Eine neue Bestimmung der Moleküldimensionen
나의 논문 "분자 차원의 새로운 결정"에 대한 수정 |
|
물리학 연보 (ser. 4), 34, 591–592, link | 통계역학.[102] #11 출판물에 대한 수정으로, 아보가드로 상수에 대한 훌륭한 추정치를 제공한다.[103] |
Schilpp 41; CP 3, 21 | 1911 | Elementare Betrachtungen über die thermische Molekularbewegung in festen Körpern
|
물리학 연보 (ser. 4), 35, 679–694, link | 비열용량.[104] 1907년 비열 모형이 매우 낮은 온도에서 부정확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아인슈타인은 이를 개선하려고 시도한다. 정확한 답은 1년 후 디바이 모형으로 나왔다. |
Schilpp 42; CP 3, 23; Weil *43 | 1911 | Einfluss der Schwerkraft auf die Ausbreitung des Lichtes
|
물리학 연보 (ser. 4), 35, 898–908, link | 일반 상대성이론.[105] 이 논문에서 아인슈타인은 1907년 마지막으로 논의된 일반 상대성이론의 발전을 재개한다. 여기서 아인슈타인은 특수 상대성이론과 뉴턴의 중력 이론을 모두 대체할 새로운 이론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닫는다. 그는 또한 특수 상대성이론과 등가원리가 전역적(globally)이 아니라 '국소적(locally)'으로 유효하다는 것을 깨닫는다. |
Schilpp 43; CP 3, 17 | 1911 | Relativitätstheorie
|
Naturforschende Gesellschaft, Zürich, Vierteljahresschrift, 56, 1–14 | 특수 및 (가능하게는) 일반 상대성이론.[106] 취리히 과학자 협회 회의에서 발표된 강연. |
Schilpp 44; CP 3, 22 | 1911 | Zum Ehrenfestschen Paradoxon
|
Physikalische Zeitschrift, 12, 509–510 | 특수 상대성이론.[107] 로런츠 수축에 대한 혼란을 해소한다. |
Schilpp 45; CP 4, 2 and 5 | 1912 | Thermodynamische Begründung des photochemischen Äquivalentgesetzes
|
물리학 연보 (ser. 4), 37, 832–838, link | 통계역학.[108] 38권, 881–884페이지, Nachtrag zu meiner Arbeit: 'Thermodynamische Begründung des photochemischen Äquivalentgesetzes'도 참조. |
Schilpp 46; CP 4, 3 | 1912 | Lichtgeschwindigkeit und Statik des Gravitationsfeldes
|
물리학 연보 (ser. 4), 38, 355–369, link | 일반 상대성이론.[109] 일반 상대성이론의 지속적인 발전에서 두 편의 논문 중 첫 번째(두 번째는 다음 항목 참조) (참조 #42 참조). 이 두 논문은 아인슈타인이 시간을 왜곡시키면서 공간을 평평하게 유지하는 것을 허용한 마지막 논문이다. 이 논문들에서 그는 특수 상대성이론의 로런츠 변환이 일반화되어야 하며, 중력 에너지가 그 자체로 중력을 가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중력 이론이 비선형이어야 한다는 것을 깨닫는다.[110] |
Schilpp 47; CP 4, 4 | 1912 | Theorie des statischen Gravitationsfeldes
|
물리학 연보 (ser. 4), 38, 443–458, link | 일반 상대성이론.[111] 일반 상대성이론의 지속적인 발전에서 두 편의 논문 중 두 번째(첫 번째는 이전 항목 참조). |
Schilpp 48; CP 4, 6 | 1912 | Antwort auf eine Bemerkung von J. Stark: Anwendung des Planckschen Elementargesetzes
J. 스타크의 코멘트에 대한 답변: '플랑크의 기본 법칙의 적용에 대하여...' |
|
물리학 연보 (ser. 4), 38, 888, link | 광자.[112] |
Schilpp 49; CP 4, 8 | 1912 | Relativität und Gravitation: Erwiderung auf eine Bemerkung von M. Abraham
상대성 이론과 중력. M. 아브라함의 코멘트에 대한 반박 |
|
물리학 연보 (ser. 4), 38, 1059–1064, link | 일반 상대성이론.[113] |
Schilpp 50; CP 4, 9 | 1912 | Bemerkung zu Abraham's vorangehender Auseinandersetzung: Nochmals Relativität und Gravitation
아브라함의 이전 논의에 대한 코멘트: 다시 한 번, 상대성 이론과 중력 |
|
물리학 연보 (ser. 4), 39, 704, link | 일반 상대성이론.[114] |
Schilpp 52; CP 4, 7 | 1912 | Gibt es eine Gravitationswirkung die der elektromagnetischen Induktionswirkung analog ist?
전자기 유도 작용과 유사한 중력 작용이 있는가? |
|
Vierteljahrschrift für gerichtliche Medizin (ser. 3), 44, 37–40 | 일반 상대성이론.[115] |
Schilpp 53; CP 4, 13; Weil *58 | 1913 | Entwurf einer verallgemeinerten Relativitätstheorie und eine Theorie der Gravitation. I. Physikalischer Teil von A. Einstein II. Mathematischer Teil von M. Grossmann
일반화된 상대성 이론 및 중력 이론 초안. I. A. 아인슈타인의 물리적 부분 II. M. 그로스만의 수학적 부분 |
|
Zeitschrift für Mathematik und Physik, 62, 225–244, 245–261 | 일반 상대성이론.[116] 마르셀 그로스만과 공동으로 저술한 획기적인 논문으로, 단일 뉴턴식 스칼라 중력장이 대칭적이고 4차원적인 계량 텐서의 성분인 '열 개'의 장으로 대체되었다. 그러나 이 장들을 설명하는 정확한 방정식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68 참조에서 비판적으로 검토되었다. #21, 42, 46 및 47 참조도 참조. |
Schilpp 54; CP 4, 11 | 1913 | Einige Argumente für die Annahme einer molekular Agitation beim absoluten Nullpunkt
절대 영점에서의 분자 동요 가설에 대한 몇 가지 주장 |
|
물리학 연보 (ser. 4), 40, 551–560, link | 비열용량.[117] O. 스턴과 공동 저술. 아인슈타인과 스턴은 분자 수소, H2와 같은 이원자 기체의 비열을 설명하려고 시도한다. 정성적으로는 정확하지만 정량적으로는 부정확하다.[118] |
Schilpp 55; CP 4, 12 | 1913 | Déduction thermodynamique de la loi de l'équivalence photochimique
|
Journal de physique (ser. 5), 3, 277–282 | 통계역학.[119] #45 참조의 번역이 아니라, 1913년 3월 27일 Société Française de Physique에서 발표된 강연이다. |
Schilpp 56; CP 4, 16 | 1913 | Physikalische Grundlagen einer Gravitationstheorie
|
Naturforschende Gesellschaft, Zürich, Vierteljahrsschrift, 58, 284–290 | 일반 상대성이론.[120] 1913년 9월 9일 스위스 과학자 협회에서 발표된 강연. Schweizerische naturforschende Gesellschaft, Verhandlungen, 1913년 (2부), 137–138페이지에 résumé가 인쇄되어 있다. |
Schilpp 57; CP 4, 23 | 1913 | Max Planck als Forscher
|
Naturwissenschaften, 1, 1077–1079 | 물리학의 역사.[121] |
Schilpp 58; CP 4, 17 | 1913 | Zum gegenwärtigen Stande des Gravitationsproblems
|
Physikalische Zeitschrift, 14, 1249–1266 | 일반 상대성이론.[122] 1913년 9월 21일 빈에서 개최된 제85차 Versammlung Deutscher Naturforscher에서 발표된 강연. 아인슈타인의 강연 후 토론이 이 인용문에 포함되어 있다. 이 검토는 Gesellschaft deutscher Naturforscher und Ärzte, Verhandlungen, 1914년, 3–24페이지에도 출판되었다. referat은 학술지 Himmel und Erde, 26권, 90–93페이지에도 출판되었다. |
Schilpp 59; CP 4, 28 | 1914 | Nordströmsche Gravitationstheorie vom Standpunkt des absoluten Differentialkalküls
절대 미분학의 관점에서 노르드스트룀의 중력 이론 |
|
물리학 연보 (ser. 4), 44, 321–328, link | 일반 상대성이론.[123] A. D. 포커와 공동 저술. 군나르 노르드스트룀의 경쟁하는 장 이론이 아인슈타인-그로스만 방정식(#53 참조)의 특수한 경우로 재구성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Schilpp 60 | 1914 | Bases physiques d'une théorie de la gravitation
|
Archives des sciences physiques et naturelles (ser. 4), 37, 5–12 | 일반 상대성이론.[120] E. 기욤 번역. |
Schilpp 61 | 1914 | Bemerkung zu P. Harzers Abhandlung: Die Mitführung des Lichtes in Glas und die Aberration
P. 하르처의 논문 "유리 속의 빛의 끌림과 수차"에 대한 관찰§ |
|
Astronomische Nachrichten, 199, 8–10, link | 전자기학 및 특수 상대성이론.[124] |
Schilpp 62 | 1914 | Antwort auf eine Replik P. Harzers
|
Astronomische Nachrichten, 199, 47–48, link | 전자기학 및 특수 상대성이론.[124] |
Schilpp 63 | 1914 | Zum gegenwärtigen Stande des Problems der spezifischen Wärme
|
Deutsche Bunsengesellschaft, Abhandlungen, 7, 330–364 | 비열용량. #51 참조의 독일어판; 353–364페이지에는 아인슈타인의 강연 후 토론이 포함되어 있다. |
Schilpp 64; CP 6, 5 | 1914 | Beiträge zur Quantentheorie
|
Deutsche physikalische Gesellschaft, Berichte, 1914, 820–828 | 양자역학.[125] 같은 학회 Verhandlungen 16권에 재인쇄되었다. |
Schilpp 65; CP 4, 27 | 1914 | Zur Theorie der Gravitation
|
Naturforschende Gesellschaft, Zürich, Vierteljahrsschrift, 59, 4–6 | 일반 상대성이론.[126] |
Schilpp 66 | 1914 | Review of H. A. Lorentz: Das Relativitätsprinzip
|
Naturwissenschaften, 2, 1018 | 특수 및 (가능하게는) 일반 상대성이론.[127] |
Schilpp 67; CP 4, 24 | 1914 | Nachträgliche Antwort auf eine Frage von Reissner
|
Physikalische Zeitschrift, 15, 108–110 | 일반 상대성이론.[128] 중력장 자체의 질량에 관한 것. |
Schilpp 68; CP 4, 25 | 1914 | Principielles zur verallgemeinerten Relativitätstheorie und Gravitationstheorie
일반화된 상대성 이론 및 중력 이론의 기초에 대하여 |
|
Physikalische Zeitschrift, 15, 176–180 | 일반 상대성이론.[129] 구스타프 미에게 #53 참조와 헤르만 민코프스키의 작업 간의 관계에 대한 답변. |
Schilpp 69; CP 6, 3 | 1914 | Antrittsrede
|
Sitzungsberichte der Preuss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1914 (pt. 2), 739–742 | 일반 상대성이론.[130] |
Schilpp 70; CP 6, 9 | 1914 | Die Formale Grundlage der allgemeinen Relativitätstheorie
|
Preussische Akademie der Wissenschaften, Sitzungsberichte, 1914 (part 2), 1030–1085 | 일반 상대성이론.[131] 일반 상대성이론 발전의 중요한 논문. 아인슈타인은 아직 올바른 장 방정식을 도출하지 못했지만, 점입자의 측지선 운동을 도출하고, 중력장을 회전과 관련시키며, 새로운 계량 텐서 이론을 사용하여 빛의 굴절과 중력적색편이에 대한 1907년 결과를 재도출한다. |
Schilpp 71; CP 4, 31 | 1914 | Zum Relativitätsproblem
|
Scientia (볼로냐), 15, 337–348 link | 특수 및 (가능하게는) 일반 상대성이론.[132] |
Schilpp 72 | 1914 | Physikalische Grundlagen und leitende Gedanken für eine Gravitationstheorie
|
Verhandlungen der Schweizerischen naturforschenden Gesellschaft, 96 (pt. 2), 146 | 일반 상대성이론. 제목만 나열됨; #56 출판물과 동일한 강연. |
Schilpp 73 | 1914 | Gravitationstheorie
|
Verhandlungen der Schweizerischen naturforschenden Gesellschaft, 96 (pt. 2), 136–137 | 일반 상대성이론.[120] 전문은 #56 참조. |
Schilpp 74; CP 6, 1 | 1914 April 26 | Relativitätsprinzip
|
Vossische Zeitung, 33–34 | 특수 및 (가능하게는) 일반 상대성이론.[133] |
Schilpp 75; CP 6, 2 | 1914 | Kovarianzeigenschaften der Feldgleichungen der auf die verallgemeinerte Relativitätstheorie gegründeten Gravitationstheorie
일반화된 상대성 이론에 기반한 중력 이론의 장 방정식의 공변성 특성 |
|
Zeitschrift für Mathematik und Physik, 63, 215–225 | 일반 상대성이론.[134] M. 그로스만과 공동 저술. |
Schilpp 78 | 1915 | Proefondervindelijk bewijs voor het bestan der moleculaire stroomen von Ampère
|
Akademie van Wetenschappen, 암스테르담, Verslag. (ser. 4), 23, 1449–1464 | 아인슈타인-더 하스 효과.[135] WJ 더 하스와 공동 저술. |
Schilpp 79; CP 6, 18 | 1915 | Antwort auf eine Abhandlung M. von Laues: Ein Satz der Wahrscheinlichkeitsrechnung und seine Anwendung auf die Strahlungstheorie
M. 폰 라우에의 논문 "확률 계산의 정리와 복사 이론에서의 응용"에 대한 답변 |
|
물리학 연보 (ser. 4), 47, 879–885, link | 광자.[136] |
Schilpp 80; CP 6, 23; Weil *73 | 1915 | Experimenteller Nachweis des Ampèreschen Molekularströme
|
Verhandlungen der Deutschen Physikalischen Gesellschaft, 17, 152–170, 203 (Berichtigung), 420 | 아인슈타인-더 하스 효과.[137] WJ 더 하스와 공동 저술. |
Schilpp 81 | 1915 | Experimenteller Nachweis des Ampèreschen Molekularströme
|
Naturwissenschaften, 3, 237–238 | 아인슈타인-더 하스 효과.[138] WJ 더 하스와 공동 저술. |
Schilpp 82 | 1915 | Grundgedanken der allgemeinen Relativitätstheorie und Anwendung dieser Theorie in der Astronomie
일반 상대성이론의 기본 사상과 이 이론의 천문학에서의 응용§ |
|
Preussische Akademie der Wissenschaften, Sitzungsberichte, 1915 (part 1), 315 | 일반 상대성이론. 1915년 11월 아인슈타인의 4편의 논문 중 첫 번째.[139] |
Schilpp 83; CP 6, 21 and 22 | 1915 | Zur allgemeinen Relativitätstheorie
|
Preussische Akademie der Wissenschaften, Sitzungsberichte, 1915 (part 2), 778–786, 799–801 | 일반 상대성이론.[140] 1915년 11월 아인슈타인의 4편의 논문 중 두 번째로, 일반 상대성이론의 최종 장 방정식을 도출했다. 첫 번째 논문은 근본적인 오해를 수정하여 아인슈타인이 작업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했지만, 두 번째 논문은 심각한 실수를 도입했다.[141] |
Schilpp 84; CP 6, 24; Weil *76 | 1915 | Erklärung der Perihelbewegung des Merkur aus der allgemeinen Relativitätstheorie
일반 상대성이론에 의한 수성의 근일점 이동 설명 |
|
Preussische Akademie der Wissenschaften, Sitzungsberichte, 1915 (part 3), 831–839 | 일반 상대성이론.[142] 1915년 11월 아인슈타인의 네 편의 논문 중 세 번째. 아인슈타인이 일반 상대성이론이 1859년 이후 천문학자들을 괴롭혔던 행성 수성의 비정상적인 근일점 세차운동을 설명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중요한 논문. 이 논문은 또한 중요한 계산 방법인 후-뉴턴 전개를 도입했다. 아인슈타인은 또한 중력에 의한 빛의 굴절을 (처음으로) 정확하게 계산했다. |
Schilpp 85; CP 6, 25 | 1915 | Feldgleichungen der Gravitation
|
Preussische Akademie der Wissenschaften, Sitzungsberichte, 1915 (part 4), 844–847 | 일반 상대성이론.[143] 1915년 11월 아인슈타인의 네 편의 논문 중 네 번째. 이것은 일반 상대성이론을 정의하는 논문이다. 마침내 아인슈타인은 후속 도출의 기초가 되는 실행 가능한 장 방정식을 찾았다. |
Schilpp 88; CP 6, 14 | 1916 | Experimental proof of the existence of Ampère's molecular currents | Proceedings of the Akademie van Wetenschappen, 암스테르담, 18, 696–711,link | 아인슈타인-더 하스 효과.[144] WJ 더 하스와 공동 저술; #80 참조의 영어 번역. |
Schilpp 89; CP 6, 30; Weil *80 | 1916 | Die Grundlage der allgemeinen Relativitätstheorie
|
물리학 연보 (ser. 4), 49, 769–822, link | 일반 상대성이론. 특히 1915년 11월 그의 4편의 논문을 포함하여 이 주제에 대한 아인슈타인의 여러 논문의 최종 통합.[145] |
Schilpp 90; CP 6, 40 | 1916 | Über Fr. Kottlers Abhandlung: Einsteins Äquivalenzhypothese und die Gravitation
프리드리히 코틀러의 논문: 아인슈타인의 등가 가설과 중력에 대하여 |
|
물리학 연보 (ser. 4), 51, 639–642, link | 일반 상대성이론.[146] |
Schilpp 91; CP 6, 28 | 1916 | Einfaches Experiment zum Nachweis der Ampèreschen Molekularströme
앙페르의 분자 전류를 시연하기 위한 간단한 실험 |
|
Verhandlungen der Deutschen Physikalischen Gesellschaft, 18, 173–177 | 아인슈타인-더 하스 효과.[147] |
Schilpp 92; CP 6, 34; Weil *85 | 1916 | Strahlungs-emission und -absorption nach der Quantentheorie
|
Verhandlungen der Deutschen Physikalischen Gesellschaft, 18, 318–323 | 광자.[148] 아인슈타인이 플랑크의 양자 가설 를 운동률 방정식에서 도출할 수 있음을 보여준 획기적인 논문. 이 논문은 자극 방출 (이는 레이저 및 메이저)의 아이디어를 도입했으며, 아인슈타인의 A 및 B 계수는 현재 가장 정확하게 검증된 물리학 이론인 양자 전기역학의 발전에 지침을 제공했다. 이 연구에서 아인슈타인은 양자역학이 확률과 인과관계의 파괴를 포함하는 것처럼 보인다는 것을 깨닫기 시작한다.[149] |
Schilpp 93; CP 6, 38 | 1916 | Quantentheorie der Strahlung
|
Mitteilungen der Physikalischen Gesellschaft, Zürich, 16, 47–62 | 광자.[150] 1909년 강연(#30 참조)에 이어, 아인슈타인은 플랑크 법칙이 성립하려면 광자가 운동량을 가져야 함을 보여준다. 이는 1923년 콤프턴 산란에 의해 확인되었고, 이는 1927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게 되었으며 광자 개념의 일반적인 수용으로 이어졌다. |
Schilpp 94; CP 6, 36 | 1916 | Review of H. A. Lorentz: Théories statistiques en thermodynamique
H. A. 로런츠의 논평: 열역학의 통계 이론: 다섯 강의... |
|
Naturwissenschaften, 4, 480–481 | 통계역학.[151] |
Schilpp 95; CP 6, 39 | 1916 | Elementare Theorie der Wasserwellen und des Fluges
|
Naturwissenschaften, 4, 509–510 | 유체역학. |
Schilpp 96; CP 6, 29 | 1916 | Ernst Mach | Physikalische Zeitschrift, 17, 101–104 | 물리학의 역사.[152] |
Schilpp 97; CP 6, 27 | 1916 | Neue formale Deutung der Maxwellschen Feldgleichungen der Elektrodynamik
맥스웰의 전기동역학 장 방정식의 새로운 형식적 해석 |
|
Preussische Akademie der Wissenschaften, Sitzungsberichte, 1916 (part 1), 184–187 | 전자기학. |
Schilpp 98 | 1916 | Einige anschauliche Überlegungen aus dem Gebiete der Relativitätstheorie
상대성 이론 분야에서 몇 가지 직관적인 고찰§ |
|
Preussische Akademie der Wissenschaften, Sitzungsberichte, 1916 (part 1), 423 | 일반 상대성이론.[153] 시계와 푸코의 진자의 행동을 다루는 (출판되지 않은) 논문의 초록. |
Schilpp 99; CP 6, 32 | 1916 | Näherungsweise Integration der Feldgleichungen der Gravitation
|
Preussische Akademie der Wissenschaften, Sitzungsberichte, 1916 (part 1), 688–696 | 일반 상대성이론[154] 중력파의 첫 예측. 이러한 중력파는 간접적으로 관측되었고, 이는 1993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며, 2015년 지구에서 직접 관측되었다. |
Schilpp 100 | 1916 | Gedächtnisrede auf Karl Schwarzschild
|
Preussische Akademie der Wissenschaften, Sitzungsberichte, 1916 (part 1), 768–770 | 물리학의 역사.[155] |
Schilpp 101; CP 6, 41 | 1916 | Hamiltonsches Prinzip und allgemeine Relativitätstheorie
|
Preussische Akademie der Wissenschaften, Sitzungsberichte, 1916 (part 2), 1111–1116 | 일반 상대성이론.[156] |
Schilpp 103; CP 6, 45 | 1917 | Zum Quantensatz von Sommerfeld und Epstein
|
Deutsche Physikalische Gesellschaft, Verhandlungen, 19, 82–92 | 양자역학.[157] 고전 시스템을 양자역학적 아날로그로 변환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아인슈타인-브릴루앙-켈러 방법에 대한 획기적인 논문. |
Schilpp 104 | 1917 | Review of H. v. Helmholtz: Zwei Vorträge über Goethe
H. 폰 헬름홀츠의 논평: 괴테에 대한 두 강의 |
|
Naturwissenschaften, 5, 675 | 물리학의 역사.[158] |
Schilpp 105 | 1917 | Marian von Smoluchowski | Naturwissenschaften, 5, 737–738 | 물리학의 역사.[159] |
Schilpp 106; Weil *91 | 1917 | Zur Quantentheorie der Strahlung
|
Physikalische Zeitschrift, 18, 121–128 | 광자.[160] |
Schilpp 107; CP 6, 43 | 1917 | Kosmologische Betrachtungen zur allgemeinen Relativitätstheorie
|
Preussische Akademie der Wissenschaften, Sitzungsberichte, 1917 (part 1), 142–152 | 일반 상대성이론.[161] 이 획기적인 논문은 물리 우주론의 시작을 알린다. 특정 단순화 가설 하에 일반 상대성이론은 우주의 탄생, 팽창, 그리고 궁극적인 운명을 설명한다. |
Schilpp 108; CP 6, 47 | 1917 | Eine Ableitung des Theorems von Jacobi
|
Preussische Akademie der Wissenschaften, Sitzungsberichte, 1917 (part 2), 606–608 | 수리물리학.[162] |
Schilpp 109 | 1917 May 23 | Friedrich Adler als Physiker
|
Die Vossische Zeitung, Morgen Ausgabe, no. 259, 2 | 물리학의 역사.[163] |
Schilpp 112; CP 7, 4 | 1918 | Prinzipielles zur allgemeinen Relativitätstheorie
|
물리학 연보 (ser. 4), 55, 241–244, link | 일반 상대성이론.[164] |
Schilpp 113; CP 7, 6 | 1918 | Lassen sich Brechungsexponenten der Körper für Röntgenstrahlen experimentell ermitteln?
고체의 X선 굴절률을 실험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가? |
|
Verhandlungen der Deutschen Physikalischen Gesellschaft, 20, 86–87 | 전자기학. |
Schilpp 114; CP 7, 15 | 1918 | Bemerkung zu Gehrckes Notiz: Über den Äther
|
Verhandlungen der Deutschen Physikalischen Gesellschaft, 20, 261 | 특수 및 일반 상대성이론. |
Schilpp 115; CP 7, 10 | 1918 | Review of H. Weyl: Raum, Zeit, Materie
헤르만 바일의 논평, 공간-시간-물질: 일반 상대성이론 강의 |
|
Naturwissenschaften, 6, 373 | 특수 및 일반 상대성이론.[165] |
Schilpp 116; CP 7, 13 | 1918 | Dialog über Einwände gegen die Relativitätstheorie
|
Naturwissenschaften, 6, 697–702 | 특수 및 일반 상대성이론.[153] |
Schilpp 117; CP 7, 2 | 1918 | Notiz zu Schrödingers Arbeit: Energiekomponenten des Gravitationsfeldes
E. 슈뢰딩거의 논문 "중력장의 에너지 성분"에 대한 주석 |
|
Physikalische Zeitschrift, 19, 115–116 | 일반 상대성이론.[166] |
Schilpp 118; CP 7, 3 | 1918 | Bemerkung zu Schrödingers Notiz: Lösungssystem der allgemein kovarianten Gravitationsgleichungen
슈뢰딩거의 노트: 일반 공변 중력장 방정식의 해 시스템에 대한 코멘트 |
|
Physikalische Zeitschrift, 19, 165–166 | 일반 상대성이론.[166] |
Schilpp 119; CP 7, 1 | 1918 | Gravitationswellen
|
Preussische Akademie der Wissenschaften, Sitzungsberichte, 1918 (part 1), 154–167 | 일반 상대성이론.[167] 중력파에 대한 두 번째 논문. |
Schilpp 120; CP 7, 5 | 1918 | Kritisches zu einer von Hrn. de Sitter gegebenen Lösung der Gravitationsgleichungen
드 시터 씨가 제시한 중력 방정식 해에 대한 비판적 코멘트 |
|
Preussische Akademie der Wissenschaften, Sitzungsberichte, 1918 (part 1), 270–272 | 일반 상대성이론.[168] |
Schilpp 121; CP 7, 9 | 1918 | Der Energiesatz in der allgemeinen Relativitätstheorie
|
Preussische Akademie der Wissenschaften, Sitzungsberichte, 1918 (part 1), 448–459 | 일반 상대성이론.[169] |
Schilpp 122 | 1919 | Prüfung der allgemeinen Relativitätstheorie
|
Naturwissenschaften, 7, 776 | 일반 상대성이론.[170] |
Schilpp 123; CP 7, 17 | 1919 | Spielen Gravitationsfelder im Aufbau der materiellen Elementarteilchen eine wesentliche Rolle?
중력장이 물질의 기본 입자 구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가? |
|
Sitzungsberichte der Preuss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1919 (pt. 1), 349–356 | 일반 상대성이론.[171] 안정적인 기본 입자를 허용하도록 그의 장 방정식을 수정할 것을 제안한다. |
Schilpp 124; CP 7, 18 | 1919 | Bemerkungen über periodische Schwankungen der Mondlänge, welche bisher nach der Newtonschen Mechanik nicht erklärbar schienen
뉴턴 역학으로는 설명할 수 없었던 달의 경도 주기적 변동에 대한 언급 |
|
Sitzungsberichte der Preuss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1919 (pt. 1), 433–436 | 일반 상대성이론. |
Schilpp 125 | 1919 | Feldgleichungen der allgemeinen Relativitätstheorie vom Standpunkte des kosmologischen Problems und des Problems der Konstitution der Materie
우주론적 문제와 물질 구성 문제의 관점에서 일반 상대성이론의 장 방정식§ |
|
Sitzungsberichte der Preuss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1919 (pt. 1), 463 (제목만) | 일반 상대성이론.[171] |
Schilpp 126; CP 7, 26 | 1919 November 28 | My theory | Times, London, 13 | 일반 상대성이론.[172] 1919년 Optician, the British optical journal, 58권, 187–188페이지에 "시간, 공간 및 중력"으로 재출판되었다. |
Schilpp 127; CP 7, 24 | 1919 | Leo Arons als Physiker
|
사회주의 월간지, 52 (Jahrgang 25, pt. 2), 1055–1056 | 물리학의 역사.[173] |
Schilpp 132 | 1920 | Bemerkung zur Abhandlung von W. R. Hess: Theorie der Viscosität heterogener Systeme
W. R. 헤스의 논문 "이질 시스템의 점성도 이론에 대한 기여"에 대한 코멘트 |
|
Kolloidzeitschrift, 27, 137 | 분자간 힘.[174] |
Schilpp 133; CP 7, 49 |
1920 | Ernst Reichenbächer: Inwiefern lässt sich die moderne Gravitationstheorie ohne die Relativität begründen?
현대 중력 이론은 상대성 이론 없이 어느 정도까지 확립될 수 있는가? |
Einstein: Antwort auf vorstehende Betrachtung
|
Naturwissenschaften, 8, 1010–1011 | 일반 상대성이론.[164] |
Schilpp 134 | 1920 | Trägheitsmoment des Wasserstoffmoleküls
|
Sitzungsberichte der Preuss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1920, 65 | 분자간 힘.[175] 출판되지 않은 논문의 초록. |
Schilpp 135; CP 7, 39 | 1920 | Schallausbreitung in teilweise dissoziierten Gasen
|
Sitzungsberichte der Preuss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1920, 380–385 | 분자간 힘. 수정이 포함된 페이지 교정본에 대한 노트.[176] |
Schilpp 136; CP 7, 45 | 1920 August 27 | Meine Antwort über die antirelativitätstheoretische G.m.b.H.
|
Berliner Tageblatt und Handelszeitung, no. 402, 1–2 | 특수 및 일반 상대성이론.[177] |
Schilpp 147; CP 7, 53 | 1921 | A brief outline of the development of the theory of relativity | 네이처, 106, 782–784 | 물리학의 역사.[178] R. W. 로슨 번역. |
Schilpp 148 | 1921 | Geometrie und Erfahrung
|
Sitzungsberichte der Preuss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1921 (pt. 1), 123–130 | 일반 상대성이론.[179] |
Schilpp 149; CP 7, 54 | 1921 | Eine naheliegende Ergänzung des Fundaments der allgemeinen Relativitätstheorie
일반 상대성이론의 기초에 대한 자연스러운 추가 |
|
Sitzungsberichte der Preuss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1921 (pt. 1), 261–264 | 일반 상대성이론.[180] |
Schilpp 150; CP 7, 68 | 1921 | Ein den Elementarprozess der Lichtemission betreffendes Experiment
|
Sitzungsberichte der Preuss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1921 (pt. 2), 882–883 | 광자.[181] |
Schilpp 151 | 1921 | Report of a lecture at King's College on the development and present position of relativity, with quotations | Nation and Athenaeum, 29, 431–432 | 특수 및 일반 상대성이론. 독일어 텍스트는 Mein Weltbild (215–220페이지)에 재현되어 있으며, 전체 번역은 내가 보는 세상에서 찾을 수 있다. 또한 네이처 (107권, 504페이지)와 타임스 (런던, 6월 14일, 8페이지)에도 보도되었다. |
Schilpp 159 | 1922 | Bemerkung zur Seletyschen Arbeit: Beiträge zum kosmologischen Problem
셀레티의 논문 "우주론적 문제에 대한 기여"에 대한 관찰§ |
|
물리학 연보 (ser. 4), 69, 436–438, link | 일반 상대성이론.[182] |
Schilpp 160 | 1922 | Review of W. Pauli: Relativitätstheorie
|
Naturwissenschaften, 10, 184–185 | 특수 및 일반 상대성이론.[183] |
Schilpp 161 | 1922 | Emil Warburg als Forscher
|
Naturwissenschaften, 10, 823–828 | 물리학의 역사.[184] |
Schilpp 162 | 1922 | Theorie der Lichtfortpflanzung in dispergierenden Medien
|
Sitzungsberichte der Preuss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Phys.-math. Klasse, 1922, 18–22 | 전자기학.[185] |
Schilpp 163 | 1922 | Bemerkung zu der Abhandlung von E. Trefftz: Statische Gravitationsfeld zweier Massenpunkte
E. 트레프츠의 논문 "두 점 질량의 정적 중력장"에 대한 관찰§ |
|
Sitzungsberichte der Preuss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Physikalisch-mathematische Klasse, 1922, 448–449 | 일반 상대성이론. |
Schilpp 164 | 1922 | Quantentheoretische Bemerkungen zum Experiment von Stern und Gerlach
슈테른과 게를라흐의 실험에 대한 양자 역학적 관찰§ |
|
Zeitschrift für Physik, 11, 31–34 | 양자역학.[186] 파울 에렌페스트와 공동 저술. |
Schilpp 165 | 1922 | Bemerkung zu der Arbeit von A. Friedmann: Über die Krümmung des Raumes
A. 프리드만 논문 "공간의 곡률에 대하여"에 대한 관찰§ |
|
Zeitschrift für Physik, 11, 326 | 일반 상대성이론.[187] 아인슈타인은 1922년 같은 학술지 Zeitschrift für Physik, 16권, 228페이지에서 이 자기비판을 철회했다. |
Schilpp 170 | 1923 | Bemerkung zu der Notiz von W. Anderson: Neue Erklärung des kontinuierlichen Koronaspektrums
W. 앤더슨의 노트 "연속 코로나 스펙트럼의 새로운 설명"에 대한 관찰§ |
|
Astronomische Nachrichten, 219, 19 | 태양물리학. |
Schilpp 171 | 1923 | Experimentelle Bestimmung der Kanalweite von Filtern
|
Deutsche medizinische Wochenschrift, 49, 1012–1013 | 유체역학.[188] H. 뮈삼과 공동 저술. |
Schilpp 172 | 1923 | Beweis der Nichtexistenz eines überall regulären zentrisch symmetrischen Feldes nach der Feldtheorie von Kaluza
칼루차의 장 이론에 따른 모든 곳에서 정규적이고 중심 대칭적인 장의 비존재 증명§ |
|
Jerusalem University, Scripta, 1 (no. 7), 1–5 | 고전 통일장 이론.[189] J. 그로머와 공동 저술; 히브리어로도 제공됨. |
Schilpp 173 | 1923 | Theory of the affine field | 네이처, 112, 448–449 | 고전 통일장 이론.[190] RW 로슨 번역, 그러나 #175 출판물과 일치하지 않는다. 비교적 비수학적이다. |
Schilpp 174 | 1923 | Zur allgemeinen Relativitätstheorie
|
Sitzungsberichte der Preuss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Physikalisch-mathematische Klasse, 1923, 32–38, 76–77 | 일반 상대성이론.[191] |
Schilpp 175; Weil *132 | 1923 | Zur affinen Feldtheorie
|
Sitzungsberichte der Preuss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Physikalisch-mathematische Klasse, 1923, 137–140 | 고전 통일장 이론.[192] |
Schilpp 176 | 1923 | Bietet die Feldtheorie Möglichkeiten für die Lösung des Quantenproblems?
장 이론이 양자 문제를 해결할 가능성을 제공하는가?§ |
|
Sitzungsberichte der Preuss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Physikalisch-mathematische Klasse, 1923, 359–364 | 고전 통일장 이론.[193] |
Schilpp 177 | 1923 | Théorie de relativité
|
Société française de philosophie, Bulletin, 22, 97–98, 101, 107, 111–112 | 특수 및 일반 상대성이론.[194] 네이처, 112권, 253페이지에 전문 인용됨. |
Schilpp 178 | 1923 | Quantentheorie des Strahlungsgleichgewichts
|
Zeitschrift für Physik, 19, 301–306 | 광자.[195] 파울 에렌페스트와 공동 저술. |
Schilpp 181 | 1924 | Antwort auf eine Bemerkung von W. Anderson
|
Astronomische Nachrichten, 221, 329–330 | |
Schilpp 182 | 1924 April 20 | Komptonsche Experiment
|
Berliner Tageblatt, 1. Beiblatt | 광자.[196] 광자가 운동량을 전달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실험; 많은 물리학자들에게 이 실험은 광자가 입자라는 결정적인 증거였다. |
Schilpp 184 | 1924 | Zum hundertjährigen Gedenktag von Lord Kelvins Geburt
|
Naturwissenschaften, 12, 601–602 | 물리학의 역사.[197] |
Schilpp 185; Weil *142 | 1924 | Quantentheorie des einatomigen idealen Gases
|
Sitzungsberichte der Preuss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Physikalisch-mathematische Klasse, 1924, 261–267 | 광자 및 통계역학.[198] 아인슈타인이 양자역학에서 동일한 입자 이론을 창시한 두 편의 획기적인 논문 중 첫 번째(두 번째는 #194 참조). 1924년, 사티엔드라 나트 보스는 위상 공간의 거친 계수를 수정하여 플랑크의 흑체 복사 법칙을 도출했다.[199] 아인슈타인은 이 수정이 광자가 엄격하게 동일하다고 가정하는 것과 동등하며, 이는 결맞는 상태 개념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아인슈타인은 또한 보스의 형식을 물질 입자(보손)로 확장하여, 충분히 낮은 온도에서 응축될 것을 예측했으며, 이는 실험적으로 검증되었다.[200] |
Schilpp 186 | 1924 | Über den Äther
|
Verhandlungen der Schweizerischen naturforschenden Gesellschaft, 105 (pt. 2), 85–93 | 물리학의 역사.[201] 역사적 개요. |
Schilpp 187 | 1924 | Theorie der Radiometerkräfte
|
Zeitschrift für Physik, 27, 1–6 | 통계역학. 방사계 물리학 연구, 과학 장난감. |
Schilpp 188 | 1924 | [Note appended to a paper by Bose entitled "Wärmegleichgewicht im Strahlungsfeld bei Anwesenheit von Materie"]
|
Zeitschrift für Physik, 27, 392–392 | 광자.[202] |
Schilpp 193 | 1925 | Elektron und allgemeine Relativitätstheorie
|
Physica, 5, 330–334 | 일반 상대성이론.[203] |
Schilpp 194; Weil *144 | 1925 | Quantentheorie des einatomigen idealen Gases. 2. Abhandlung
|
Sitzungsberichte der Preuss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베를린), Physikalisch-mathematische Klasse, 1925, 3–14 | 광자 및 통계역학.[204] 동일한 입자, 보손 및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에 대한 두 편의 획기적인 논문 중 두 번째; 첫 번째는 #185 참조. |
Schilpp 195 | 1925 | Quantentheorie des idealen Gases
|
Sitzungsberichte der Preuss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베를린), Physikalisch-mathematische Klasse, 1925, 18–25 | 광자 및 통계역학.[205] |
Schilpp 196 | 1925 | Einheitliche Feldtheorie von Gravitation und Elektrizität
|
Sitzungsberichte der Preuss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베를린), Physikalisch-mathematische Klasse, 1925, 414–419 | 고전 통일장 이론.[206] |
Schilpp 197 | 1925 | Bemerkung zu P. Jordans Abhandlung: Theorie der Quantenstrahlung
P. 요르단의 논문 "양자 복사 이론"에 대한 관찰§ |
|
Zeitschrift für Physik, 31, 784–785 | 광자.[207] |
Schilpp 199 | 1926 | W. H. Julius, 1860–1925 | 천체물리학 저널, 63, 196–198 | 물리학의 역사.[208] |
Schilpp 200 | 1926 | Ursache der Mäanderbildung der Flussläufe und des sogenannten Baerschen Gesetzes
강 유로의 뱀행성 형성 원인 및 소위 바에르의 법칙§ |
|
Naturwissenschaften, 14, 223–224 | 지구과학.[209] 뱀행성 강 물리학. |
Schilpp 201 | 1926 | Vorschlag zu einem die Natur des elementaren Strahlungs-emissions-prozesses betreffenden Experiment
빛 방출의 기본 과정의 본질에 관한 실험에 대한 제안§ |
|
Naturwissenschaften, 14, 300–301 | 광자.[210] |
Schilpp 202 | 1926 | Interferenzeigenschaften des durch Kanalstrahlen emittierten Lichtes
|
Sitzungsberichte der Preuss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Physikalisch-mathematische Klasse, 1926, 334–340 | 광자.[211] 학술지 후속 논문(341–351페이지)에서 루프에 의해 실험적으로 검증되었다고 주장됨; 나중에 루프가 사기꾼임이 밝혀졌다. |
Schilpp 203 | 1926 | Geometría no euclídea y física
|
Revista matemática Hispano-americana (ser. 2), 1, 72–76 | 일반 상대성이론. |
Schilpp 205 | 1927 | Einfluss der Erdbewegung auf die Lichtgeschwindigkeit relativ zur Erde
지구 운동이 지구에 대한 빛의 속도에 미치는 영향§ |
|
Forschungen und Fortschritte, 3, 36–37 | 특수 상대성이론.[212] |
Schilpp 206 | 1927 | Formale Beziehung des Riemannschen Krümmungstensors zu den Feldgleichungen der Gravitation
리만 곡률 텐서와 중력장 방정식의 형식적 관계§ |
|
Mathematische Annalen, 97, 99–103 link | 일반 상대성이론.[213] |
Schilpp 207 | 1927 | Isaac Newton | Manchester Guardian Weekly, 16, 234–235 | 물리학의 역사. 맨체스터 가디언 (1927년 3월 19일); Observatory, 50권, 146–153페이지; 스미스소니언 연구소, 1927년 보고서, 201–207페이지에 재인쇄됨. |
Schilpp 208 | 1927 | Newtons Mechanik und ihr Einfluss auf die Gestaltung der theoretischen Physik
뉴턴 역학과 그것이 이론 물리학 형성에 미친 영향§ |
|
Naturwissenschaften, 15, 273–276 | 물리학의 역사.[214] |
Schilpp 209 | 1927 | Zu Newtons 200. Todestage
|
Nord und Süd, Jahrg. 50, 36–40 | 물리학의 역사. |
Schilpp 210 | 1927 | [Letter to the Royal Society on the occasion of the Newton bicentenary] | 네이처, 119, 467 | 물리학의 역사.[215] 사이언스, 65권, 347–348페이지에도 출판됨. |
Schilpp 211 | 1927 | Establishment of an international bureau of meteorology | 사이언스, 65, 415–417 | 기상학.[216] |
Schilpp 212 | 1927 | Kaluzas Theorie des Zusammenhanges von Gravitation und Elektrizität
|
Sitzungsberichte der Preuss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Physikalisch-mathematische Klasse, 1927, 23–30 | 고전 통일장 이론.[217] |
Schilpp 213 | 1927 | Allgemeine Relativitätstheorie und Bewegungsgesetz
|
Sitzungsberichte der Preuss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Physikalisch-mathematische Klasse, 1927, 2–13, 235–245 | 일반 상대성이론.[218] 첫 번째 부분(2–13페이지)은 J. 그로머와 공동 저술. |
Schilpp 214 | 1927 | Theoretisches und Experimentelles zur Frage der Lichtentstehung
빛의 발생 문제에 대한 이론적 및 실험적 [측면]§ |
|
Zeitschrift für angewandte Chemie, 40, 546 | 광자.[219] |
Schilpp 216 | 1928 | H. A. Lorentz | Mathematisch-naturwissenschaftliche Blätter, 22, 24–25 | 물리학의 역사.[220] 레이던 대학교 추모식에서 발표된 강연 초록. Mein Weltbild (내가 보는 세상), 25페이지에 재인쇄됨. |
Schilpp 217 | 1928 | Riemanngeometrie mit Aufrechterhaltung des Begriffes des Fern-Parallelismus
|
Sitzungsberichte der Preuss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Physikalisch-mathematische Klasse, 1928, 217–221 | 고전 통일장 이론.[221] |
Schilpp 218 | 1928 | Neue Möglichkeit für eine einheitliche Feldtheorie von Gravitation und Elektrizität
|
Sitzungsberichte der Preuss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Physikalisch-mathematische Klasse, 1928, 224–227 | 고전 통일장 이론.[222] |
Schilpp 219 | 1928 | À propos de "La déduction relativiste" de M. E. Meyerson
M. E. 메이어슨의 "상대론적 추론"에 관하여§ |
|
Revue philosophique de la France, 105, 161–166 | 특수 및 일반 상대성이론.[223] |
Schilpp 222 | 1929 | Ansprache an Prof. Planck [bei Entgegennahme der Planckmedaille]
플랑크 교수에게 드리는 말씀 [플랑크 메달 수상 시]§ |
|
Forschungen und Fortschritte, 5, 248–249 | 물리학의 역사.[224] |
Schilpp 223 | 1929 | [Quotation from an interview with (London) Daily Chronicle (January 26, 1929) on the unitary field theory, in advance of publication #226] | 네이처, 123, 175 | 고전 통일장 이론. |
Schilpp 224 | 1929 | [Note appended to a reprinting of Arago's Memorial address on Thomas Young before the French Academy] | Naturwissenschaften, 17, 363 | 물리학의 역사.[225] |
Schilpp 225 | 1929 February 4 | The new field theory | Times (런던) | 고전 통일장 이론. L. L. 와이트 번역. Observatory, 52권, 82–87, 114–118페이지(1930년)에 재인쇄되었다. |
Schilpp 226; Weil *165 | 1929 | Einheitliche Feldtheorie
|
Sitzungsberichte der Preuss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Physikalisch-mathematische Klasse, 1929, 2–7 | 고전 통일장 이론.[226] |
Schilpp 227 | 1929 | Einheitliche Feldtheorie und Hamiltonsches Prinzip
|
Sitzungsberichte der Preuss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Physikalisch-mathematische Klasse, 1929, 156–159 | 고전 통일장 이론.[227] |
Schilpp 228 | 1929 | Sur la théorie synthéthique des champs
|
Revue générale de l'électricité, 25, 35–39 | 고전 통일장 이론. 테오필 드 돈더르와 공동 저술. |
Schilpp 229 | 1929 | Appreciation of Simon Newcomb | 사이언스, 69, 249 | 물리학의 역사.[228] 1926년 7월 15일자 뉴컴의 딸에게 보낸 편지의 번역. |
Schilpp 230 | 1929 | Sesión especial de la Academia (16 abril 1925)
|
Sociedad científica Argentina, Anales, 107, 337–347 | 특수 및 일반 상대성이론. 아인슈타인의 질량-에너지 등가에 대한 RG 로야르테와의 토론 및 제안된 "화학장"에 대한 상대성 이론의 관련성에 대한 H. 다미아노비치와의 토론. |
Schilpp 232 | 1930 November 9 | Über Kepler
|
Frankfurter Zeitung, p. 16, col. 3–4 | 물리학의 역사.[229] 텍스트는 Mein Weltbild와 그 영어 번역본 내가 보는 세상 (각각 독일어와 영어)에 재인쇄되어 있다. |
Schilpp 233 | 1930 | Raum-, Feld- und Äther-problem in der Physik
|
World power conference, 2nd, 베를린, 1930. Transactions, 19, 1–5 | 특수 및 일반 상대성이론. 예를 들어 Dinglers polytechnisches journal, 345권, 122페이지에 널리 보도된 강연. |
Schilpp 234 | 1930 | Raum, Äther und Feld in der Physik
|
Forum Philosophicum, 1, 173–180 | 특수 및 일반 상대성이론.[230] ES 브라이트만의 영어 번역본은 같은 권, 180–184페이지에 제공되었다. #233과 유사하지만, Mein Weltbild (내가 보는 세상), 229–248페이지에 재인쇄된 "Das Raum-, Äther-, und Feld-problem der Physik" 기사와는 다르다. |
Schilpp 235 | 1930 | Théorie unitaire du champ physique
|
Annales de l'Institut H. Poincaré, 1, 1–24 | 고전 통일장 이론.[231] |
Schilpp 236 | 1930 | Auf die Riemann-Metrik und den Fern-Parallelismus gegründete einheitliche Feldtheorie
리만 계량과 원거리 평행에 기반한 통일장 이론§ |
|
Mathematische Annalen, 102, 685–697 link | 고전 통일장 이론.[232] |
Schilpp 237 | 1930 | Das Raum-Zeit Problem
|
디 코랄레, 5, 486–488 | 특수 및 일반 상대성이론.[233] |
Schilpp 238 | 1930 | Review of S. Weinberg: Erkenntnistheorie
|
Naturwissenschaften, 18, 536 | 물리학의 역사.[234] |
Schilpp 239 | 1930 | Kompatibilität der Feldgleichungen in der einheitlichen Feldtheorie
|
Sitzungsberichte der Preuss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Physikalisch-mathematische Klasse, 1930, 18–23 | 고전 통일장 이론.[235] |
Schilpp 240 | 1930 | Zwei strenge statische Lösungen der Feldgleichungen der einheitlichen Feldtheorie
통일장 이론의 장 방정식에 대한 두 가지 엄밀한 정적 해§ |
|
Sitzungsberichte der Preuss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Physikalisch-mathematische Klasse, 1930, 110–120 | 고전 통일장 이론.[236] W. 마이어와 공동 저술. |
Schilpp 241 | 1930 | Theorie der Räume mit Riemannmetrik und Fernparallelismus
리만 계량 및 원거리 평행을 가진 공간 이론§ |
|
Sitzungsberichte der Preuss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Physikalisch-mathematische Klasse, 1930, 401–402 | 고전 통일장 이론.[237] |
Schilpp 242 | 1930 | Address at University of Nottingham | 사이언스, 71, 608–610 | 특수 및 일반 상대성이론.[238] 상대성 이론(특수 및 일반)과 일반적인 장 이론에 대한 개요. 강연의 précis는 네이처, 125권, 897–898페이지에 "공간 개념"이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
Schilpp 243 | 1930 | Über den gegenwärtigen Stand der allgemeinen Relativitätstheorie
|
Yale University Library, Gazette, 6, 3–6 | 일반 상대성이론.[239] 예일 대학교 리 페이지 교수의 영어 번역본이 7–10페이지에 제공되었다. 이것은 과학 강연이나 전형적인 과학 논문이 아니었다; 오히려 예일 대학원생이 아인슈타인에게 손으로 요약본을 쓰도록 설득했다; 원고는 여전히 예일 대학교에 보관되어 있다. |
Schilpp 247 | 1931 | Theory of Relativity: Its Formal Content and Its Present Problems | 네이처, 127, 765, 790, 826–827 | 특수 및 일반 상대성이론. 1931년 5월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진행된 로즈 강연. |
Schilpp 248; Weil *178 | 1931 | Knowledge of past and future in quantum mechanics | 피지컬 리뷰 (ser. 2), 37, 780–781, link | 양자역학.[240] 리처드 C. 톨먼과 보리스 포돌스키와 공동 저술. |
Schilpp 249 | 1931 | Zum kosmologischen Problem der allgemeinen Relativitätstheorie
|
Sitzungsberichte der Preuss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Physikalisch-mathematische Klasse, 1931, 235–237 | 일반 상대성이론.[241] "우주상수"를 제안했다. |
Schilpp 250 | 1931 | Systematische Untersuchung über kompatible Feldgleichungen welche in einem Riemannschen Raume mit Fern-Parallelismus gesetzt werden können
원거리 평행을 가진 리만 공간에 설정될 수 있는 일관된 장 방정식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 |
|
Sitzungsberichte der Preuss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Physikalisch-mathematische Klasse, 1931, 257–265 | 고전 통일장 이론.[242] W. 마이어와 공동 저술. |
Schilpp 251; Weil *182 | 1931 | Einheitliche Feldtheorie von Gravitation und Elektrizität
|
Sitzungsberichte der Preuss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Physikalisch-mathematische Klasse, 1931, 541–557 | 고전 통일장 이론.[243] W. 마이어와 공동 저술. |
Schilpp 252 | 1931 | Thomas Alva Edison, 1847–1931 | 사이언스, 74, 404–405 | 물리학의 역사.[244] |
Schilpp 253 | 1931 | Gravitational and electromagnetic fields [Translation of a preliminary report for the Josiah Macy, Jr. foundation] | 사이언스, 74, 438–439 | 고전 통일장 이론.[245] |
Schilpp 254 | 1931 | [Reply to congratulatory addresses at a dinner given by the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on January 15, 1931] | 사이언스, 73, 379 | 물리학의 역사.[246] |
Schilpp 255 | 1931 | Gedenkworte auf Albert A. Michelson
|
Zeitschrift für angewandte Chemie, 44, 658 | 물리학의 역사.[247] |
Schilpp 258 | 1932 | On the relation between the expansion and the mean density of the universe | 미국 국립 과학원 회보, 18, 213–214 | 일반 상대성이론.[248] 빌럼 더시터르와 공동 저술. |
Schilpp 259 | 1932 | Zu Dr. Berliners siebzigstem Geburtstag
|
Naturwissenschaften, 20, 913 | 물리학의 역사.[249] Mein Weltbild (내가 보는 세상), 29–32페이지에 재인쇄됨. |
Schilpp 260 | 1932 | Gegenwärtiger Stand der Relativitätstheorie
|
Die Quelle (현재 Paedogogischer Führer), 82, 440–442 | 일반 상대성이론.[250] |
Schilpp 261; Weil *185 | 1932 | Einheitliche Feldtheorie von Gravitation und Elektrizität, 2. Abhandlung
|
Sitzungsberichte der Preuss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Physikalisch-mathematische Klasse, 1932, 130–137 | 고전 통일장 이론.[251] W. 마이어와 공동 저술. |
Schilpp 262 | 1932 | Semi-Vektoren und Spinoren
|
Sitzungsberichte der Preuss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Physikalisch-mathematische Klasse, 1932, 522–550 | 수학.[252] W. 마이어와 공동 저술. |
Schilpp 263 | 1932 | Unbestimmtheitsrelation
|
Zeitschrift für angewandte Chemie, 45, 23 | 양자역학.[253] |
Schilpp 267 | 1933 | Dirac Gleichungen für Semi-Vektoren
|
Akademie van wetenschappen (암스테르담), Proceedings, 36 (pt. 2), 497–? | 양자역학.[254] W. 마이어와 공동 저술. |
Schilpp 268 | 1933 | Spaltung der natürlichsten Feldgleichungen für Semi-Vektoren in Spinor-Gleichungen vom Diracschen Typus
디랙 유형 스피너 방정식으로 반벡터에 대한 가장 자연스러운 장 방정식 분할§ |
|
Akademie van wetenschappen (암스테르담), Proceedings, 36 (pt. 2), 615–619 | 양자역학.[255] W. 마이어와 공동 저술. |
Schilpp 270 | 1934 | Darstellung der Semi-Vektoren als gewöhnliche Vektoren von besonderem Differentiations Charakter
특이한 미분 특성을 가진 일반 벡터로서의 반벡터 표현§ |
|
Annals of mathematics (ser. 2), 35, 104–110 | 수학.[256] W. 마이어와 공동 저술. |
Schilpp 271 | 1934 | Review of R. Tolman: Relativity, thermodynamics and cosmology | 사이언스, 80, 358 | 특수 및 일반 상대성이론.[257] |
Schilpp 272 | 1935 | Elementary derivation of the equivalence of mass and energy | 미국 수학회 회보, 41, 223–230, link | 특수 상대성이론.[258] |
Schilpp 273; Weil *195 | 1935 | Can quantum-mechanical description of physical reality be considered complete? | 피지컬 리뷰 (ser. 2), 47, 777–780, link | 양자역학.[259] 양자역학의 비국소적 효과(얽힘)에 대한 획기적인 논문. B. 포돌스키와 N. 로젠과 공동 저술. 이는 아인슈타인의 가장 많이 인용된 출판물이다.[260] |
Schilpp 274 | 1935 | The particle problem in the general theory of relativity | 피지컬 리뷰 (ser. 2), 48, 73–77 | 일반 상대성이론.[261] N. 로젠과 공동 저술. |
Schilpp 275 | 1936 | Physik und Realität
|
프랭클린 연구소 저널, 221, 313–347 | 양자역학.[262] 영어 번역본(J. 피카르)은 349–382페이지에 제공된다. 또한 Zeitschrift für freie deutsche Forschung, 1권, 1호, 5–19페이지 및 2호, 1–14페이지(1938년)에 재인쇄되었다. |
Schilpp 276 | 1936 | Two-body problem in general relativity theory | 피지컬 리뷰 (ser. 2), 49, 404–405 | 일반 상대성이론.[263] N. 로젠과 공동 저술. |
Schilpp 277 | 1936 | Lens-like action of a star by deviation of light in the gravitational field | 사이언스, 84, 506–507 | 일반 상대성이론.[264] |
Schilpp 278; Weil *200 | 1937 | On gravitational waves | 프랭클린 연구소 저널, 223, 43–54 | 일반 상대성이론.[265] N. 로젠과 공동 저술. 이 중요한 논문은 아인슈타인 방정식의 비선형성에도 불구하고 중력파가 가능하다는 것을 확립했다. 아인슈타인과 로젠은 원래 반대 결론에 도달했다. |
Schilpp 283; Weil *202 | 1938 | Gravitational equations and the problems of motion | 수학 연보 (ser. 2), 39, 65–100 | 일반 상대성이론.[266] L. 인펠드와 B. 호프만과 공동 저술. |
Schilpp 284 | 1938 | Generalization of Kaluza's theory of electricity | 수학 연보 (ser. 2), 39, 683–701 | 고전 통일장 이론.[267] P. 베르그만과 공동 저술. |
Schilpp 285; Weil *204 | 1939 | Stationary system with spherical symmetry consisting of many gravitating masses | 수학 연보 (ser. 2), 40, 922–936 | 일반 상대성이론.[268] |
Schilpp 286; Weil *205 | 1940 | Gravitational equations and the problems of motion. II | 수학 연보 (ser. 2), 41, 455–464 | 일반 상대성이론.[269] L. 인펠드와 공동 저술. |
Schilpp 287 | 1940 | Considerations concerning the fundamentals of theoretical physics | 사이언스, 91, 487–492 | 물리학의 역사.[270] 네이처, 145권, 920–924페이지에 부분 재인쇄됨. |
Schilpp 290 | 1941 | Demonstration of the non-existence of gravitational fields with a non-vanishing total mass free of singularities | 투쿠만 대학교, Revista (ser. A), 2, 11–16 | 일반 상대성이론.[271] |
Schilpp 292 | 1942 | The work and personality of Walter Nernst | 과학 월간, 54, 195–196 | 물리학의 역사.[272] |
Schilpp 293 | 1943 | Non-existence of regular stationary solutions of relativistic field equations | 수학 연보 (ser. 2), 44, 131–137 | 일반 상대성이론.[273] 볼프강 파울리와 공동 저술. |
Schilpp 295 | 1944 | Bivector fields, I | 수학 연보 (ser. 2), 45, 1–14 | 수학.[274] V. 바르그만과 공동 저술. |
Schilpp 296 | 1944 | Bivector fields, II | 수학 연보 (ser. 2)296, 45, 15–23 | 수학.[275] |
Schilpp 298 | 1945 | On the cosmological problem | American Scholar, 14, 137–156, 269 (수정) | 일반 상대성이론. #297 출판물 부록의 사전 인쇄본. |
Schilpp 299 | 1945 | Generalization of the relativistic theory of gravitation | 수학 연보 (ser. 2), 46, 578–584 | 고전 통일장 이론.[276] |
Schilpp 300 | 1945 | Influence of the expansion of space on the gravitation fields surrounding the individual stars | 현대 물리학 리뷰, 17, 120–124 | 일반 상대성이론.[277] E. G. 스트라우스와 공동 저술. 수정 및 추가, ibid., 18권, 148–149페이지(1946년). |
Schilpp 301 | 1946 | Generalization of the relativistic theory of gravitation, II | 수학 연보 (ser. 2), 47, 731–741 | 고전 통일장 이론.[278] E. G. 스트라우스와 공동 저술. |
Schilpp 302 | 1946 | Elementary derivation of the equivalence of mass and energy | Technion Journal, 5, 16–17, link | 특수 상대성이론.[279] 하이파에 있는 히브리 공과대학교의 미국 기술 증진 학회 연감에 실린 새롭고 간소화된 도출. 1947년 히브리 기술 대학(공과대학교)의 과학 출판물에 히브리어로도 출판됨. |
Schilpp 307 | 1948 | Quantenmechanik und Wirklichkeit
|
Dialectica, 2, 320–324 | 양자역학.[280] |
Schilpp 308; Weil *222 | 1948 | Generalized theory of gravitation | 현대 물리학 리뷰, 20, 35–39 | 고전 통일장 이론.[281] |
Schilpp 309 | 1949 | Motion of particles in general relativity theory | 캐나다 수학 저널, 1, 209–241 | 일반 상대성이론.[282] L. 인펠드와 공동 저술. |
Schilpp 310 | 1949 | Dem Gedächtnis Max Plancks
|
Angewandte Chimie, 61, U114 | 물리학의 역사. |
Schilpp 311 | 1950 | The Bianchi Identities in the Generalized Theory of Gravitation | 캐나다 수학 저널, 2, 120–128 | 고전 통일장 이론.[283] |
Schilpp 313 | 1950 | On the Generalized Theory of Gravitation |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182, 13–17 | 고전 통일장 이론.[284] |
Schilpp 314 | 1951 | The Advent of the Quantum Theory | 사이언스, 113, 82–84 | 양자역학. |
Schilpp 316 | 1953 | A Comment on a Criticism of Unified Field Theory | 피지컬 리뷰, 89, 321 | 고전 통일장 이론.[285] |
Schilpp 317 | 1954 | Algebraic Properties of the Field in the Relativistic Theory of the Asymmetric Field | 수학 연보, 59, 230–244 | 고전 통일장 이론.[286] B. 카우프만과 공동 저술. |
Schilpp 318 | 1955 | An Interview with Einstein |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193, 69–73 | 물리학의 역사. I. B. 코헨과 공동 저술. |
Schilpp 319 | 1955 | A New Form of the General Relativistic Field Equations | 수학 연보, 62, 128–138 | 고전 통일장 이론.[287] 일반적인 아핀 접속 대신 보조장을 사용한 단순화된 도출. B. 카우프만과 공동 저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