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대로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경남대로(慶南大路, 영어: Gyeongnam-daero)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예곡동 현동 교차로와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평촌리 한정1교를 잇는 도로이다. 경남 중부지역을 관통한다고 하여 경남대로라 명명되었다.
일반 국도 국가지원지방도 창원시도 함안군도 창녕군도 | |
---|---|
5 ![]() 67 ![]() | |
경남대로 | |
국도 제5호선의 일부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의 일부 | |
총연장 | 58.89km |
기점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예곡동 |
주요 경유지 |
경상남도 창원시 경상남도 함안군 경상남도 창녕군 대구광역시 달성군 |
종점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평촌리 |
주요 교차도로 |
국도 제2호선 국도 제5호선 국도 제14호선 국도 제77호선 국도 제7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 지방도 제1022호선 지방도 제1034호선 지방도 제1040호선 지방도 제1080호선 |
대부분 구간이 왕복 4차로로 이루어져 있으며, 고속화도로 형식을 취한 구간이 많다. 이 도로는 마산합포구 및 내서읍 구간을 제외한 전 구간이 중부내륙고속도로와 나란히 달린다.
역사
- 2003년 1월 1일 : 성산 ~ 유가간 도로(경상남도 창녕군 대합면 등지리 ~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면 한정리) 5.4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6.8km 구간 폐지[1]
- 2003년 1월 10일 : 영산 ~ 창녕간 도로(창녕군 영산면 죽사리 ~ 창녕읍 퇴천리) 9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5.5km 구간 폐지[2]
- 2003년 12월 30일 : 창녕군 창녕읍 초막리 ~ 대지면 효정리 구간 5.56km 확장 개통[3]
- 2004년 12월 29일 : 창녕 ~ 성산간 도로(창녕군 창녕읍 교리 ~ 대합면 등지리) 구간 5.56km 확장 개통.[4]
- 2004년 12월 29일 : 칠원 ~ 영산간 도로(함안군 칠원면 무기리 ~ 이룡리) 구간 9.94km 확장 개통.[5]
- 2005년 12월 24일 : 남지 ~ 영산간 도로(함안군 칠서면 이룡리 ~ 창녕군 영산면 죽사리) 구간 6.58km 확장 개통.[6]
- 2009년 7월 10일 : 2개 이상 시·도에 걸쳐 있는 도로로 경남대로를 고시[7]
- 2015년 3월 5일 : 내서 ~ 칠원간 도로(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호계리 ~ 함안군 칠원읍 예곡리) 1.53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2km 구간 폐지[8]
- 2017년 11월 27일 : 내서 ~ 칠원간 도로(함안군 칠원읍 예곡리 ~ 구성리) 총 2.2km 구간 확장 개통[9]
- 2018년 1월 10일 : 비슬로 기초번호 정비로 인해 도로구간을 경상남도 창녕군 성산면 대견리에서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평촌리까지 연장함. 이에 따라 총 연장이 58.5km에서 58.89km로 증가[10]
주요 경유지
노선
이름[11]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남해안대로와 직결 | ||||
현동 교차로 | 국도 제2호선 국도 제5호선 국도 제77호선 (남해안대로) 국도 제14호선 국도 제79호선 (밤밭고개로) |
창원시 | 마산합포구 | |
(이름 없음) | 예곡길 | |||
쌀재터널 | 상행 연장 1,465m 하행 연장 1,470m | |||
마산회원구 내서읍 | ||||
감천 교차로 | 감천로 | |||
삼계삼거리 | 광려로 |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과 중복 | ||
삼계사거리 | 삼계로 중리공단로 | |||
롯데마트 삼계점 | ||||
상곡사거리 |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 (광려천서로) 중리공단로1길 | |||
내서교 | 고가도로 | |||
중리 교차로 | 광려천서로 | 상행 진출 불가 하행 진입 불가 | ||
호계사거리 | 호계본동로 | |||
(교량 이름 미상) | ||||
함안군 | 칠원읍 | |||
예곡삼거리 | 호원로 | |||
야촌삼거리 | 오곡로 | |||
석전삼거리 | 석전1길 석전2길 |
|||
갈티곡고개 구성교 |
||||
구성사거리 | 삼칠로 무기새길 |
|||
운서 교차로 | 운무로 | 상행 진입 불가 하행 진출 불가 | ||
무릉1터널 | 상행 연장 470m 하행 연장 480m | |||
칠서면 | ||||
무릉2터널 | 상행 연장 602m 하행 연장 580m | |||
무릉3터널 | 상행 연장 600m 하행 연장 550m | |||
칠북면 | ||||
칠북 교차로 | 유성로 | |||
덕남 교차로 | 계룡로 | |||
광려천교 | ||||
칠서면 | ||||
이룡 교차로 | 지방도 제1040호선 (삼칠로) |
|||
낙동대교 | ||||
창녕군 | 도천면 | |||
우강 교차로 | 지방도 제1022호선 (낙동로) |
|||
논리 교차로 | 치이골길 | |||
영산천교 | ||||
영산면 | ||||
죽사 교차로 | 영산도천로 | 영산 나들목과 연결 | ||
계성 교차로 | 국도 제79호선 (영산장마로) |
계성면 | ||
명리 교차로 | 명리공단길 영산계성로 |
|||
계성 교차로 | 지방도 제1080호선 (계성화왕산로) |
상행 진출만 가능 | ||
신당 교차로 | 영산계성로 | |||
남통고개 | ||||
장마면 | ||||
여초 교차로 | 여초1길 여초3길 |
창녕읍 | ||
초막골 교차로 | 여초길 화전길 초막2길 |
|||
공설운동장삼거리 | 창녕대로 | |||
개산교 | 탐하로 | |||
송곳교 | ||||
대지 교차로 | 지방도 제1080호선 (우포2로) |
대지면 | ||
왕산교 | ||||
왕산사거리 | 억만미산로 | |||
어은삼거리 | 원촌어은길 | |||
모전삼거리 | 대합면 | |||
모전사거리 | 모전로 석실길 |
|||
수장사거리 | 수장퇴산로 수장길 |
|||
장기사거리 | 매탄길 | |||
농공단지삼거리 | 대합공단길 | |||
무솔사거리 | 평지퇴산로 | |||
등지 교차로 | 지방도 제1034호선 (팔문동길) 창한로 |
|||
대견 교차로 | 대견월포로 | 성산면 | ||
한정1교 | 국가산단남로 | 달성군 | 구지면 | |
비슬로와 직결 |
주의사항
- 내서교 구간은 자동차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지 않지만 관할 경찰의 고시에 의해 자동차전용도로의 통행 제한과 유사한 통행 제한(보행자, 자전거, 원동기장치자전거, 긴급자동차로 지정되지 않은 이륜자동차의 통행금지)이 시행되는 구간이다. 이에 대한 대체도로로는 옛 국도 제5호선 구간인 중리공단로, 호원로가 있다.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