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교 (불교)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교 (불교)
Remove ads

(, 산스크리트어: mada, 팔리어: mada, 영어: self-satisfaction, self-infatuation, mental inflation, smugness, conceit)는 설일체유부5위 75법에서 심소법(心所法: 46가지) 중 소번뇌지법(小煩惱地法: 10가지) 가운데 하나이며, 유식유가행파법상종5위 100법에서 심소법(心所法: 51가지)의 수번뇌심소(隨煩惱心所: 20가지) 중 소수번뇌심소(小隨煩惱心所: 10가지) 가운데 하나이다.[1][2]

(憍)는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으로 하여금 자신의 소유물[法]에 집착하여 오만 방자해지게 함으로써 자신을 되돌아보지 않게 하는 마음작용이다.[3][2]

부파불교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품류족론》 제3권에 따르면, (憍)는 심오탄성(心傲誕性) 즉 마음의 오만과 방종의 성질을 말한다. 교취(憍醉) · 극교취(極憍醉) · 미민(迷悶) · 극미민(極迷悶) · 만완(慢緩) · 극만완(極慢緩)을 말한다. 즉, 교만에 취한 마음[憍醉] · 지극히 교만에 취한 마음[極憍醉] · 미혹하여 깨닫지 못하는 마음[迷悶] · 지극히 미혹하여 깨닫지 못하는 마음[極迷悶] · 거만하여 느슨한 마음[慢緩] · 지극히 거만하여 느슨한 마음[極慢緩]을 말한다.[4][5][6]

부파불교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구사론》 제4권에 따르면, (憍)는 무소고성(無所顧性) 즉 되돌아보지 않는 성질을 말한다. 자신이 가진 에 대한 염착발동근거 또는 전제로 하여 일어나는 마음작용으로, 마음으로 하여금 거만[傲]하게 하고 방일[逸]하게 하여 되돌아보는 것[顧]을 하지 않게 하는 마음작용이다.[7][8][9][10]

부파불교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장현종론》 제6권에 따르면, (憍)는 무소고성(無所顧性) 즉 되돌아보지 않는 성질을 말한다. 마음으로 하여금 자신의 용감함이나 건강, 재산, 지위, 도덕규범[戒], 지혜, 친족 등의 존재[法]에 대해 먼저 오염된 집착을 일으키게 하고 그런 후 마음오만방일이 생기게 함으로써 온갖 선본(善本: 선의 원인, 선의 근본)을 되돌아보는 일이 없게 하는 마음작용이다. 그리고 그 결과 온갖 선업(善業)을 닦는 것을 더 이상 즐겨하지 않게 된 마음작용이다.[11][12]

Remove ads

같이 보기

  • 만 (마음작용)
Remove ads

참고 문헌

  •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70(15-465), T.1579(30-279).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55(27-453), T.1558(29-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K.614, T.1585). 성유식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4(17-510), T.1585(31-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K.618, T.1612). 대승오온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8(17-637), T.1612(31-848).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영어) DDB.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電子佛教辭典). Edited by A. Charles Muller.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대정신수대장경. T30, No. 1579.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佛門網. 佛學辭典(불학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612). 대승오온론(大乘五蘊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12,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대정신수대장경. T29, No. 1558,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T.1585). 성유식론(成唯識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585,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Remove ads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