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소유 (불교)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소유 (불교)
Remove ads

대승불교유식유가행파의 논서 《유가사지론》 제8권에 따르면, 소유(所有)는 번뇌다른 이름(結) · (縛) · 수면(隨眠) · 수번뇌(隨煩惱) · (纏) · 폭류(暴流) · (軛) · (取) · (繫) · (蓋) · 주올(株杌) · (垢) · 상해(常害) · (箭) · 소유(所有) · (根) · 악행(惡行) · (漏) · (匱) · (燒) · (惱) · 유쟁(有諍) · (火) · 치연(熾然) · 조림(稠林) · 구애(拘礙) 가운데 하나이다.[1][2]

소유(所有)는 능섭의사(能攝依事)를 뜻한다. 즉, 번뇌가 자신의 의사(依事)들을 즉 자신의 의지처 또는 발동근거가 되는 개별적인 들을 능히 거두어 지닌다는 것을 뜻한다.[3][4]

소유(所有)는 특히 (貪) · (瞋) · (癡)의 3소유(三所有)를 말한다. 즉, 3불선근(三不善根)을 말한다.[5][6]

Remove ads

같이 보기

Remove ads

참고 문헌

Remove ads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