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접 공간을 통한 정의
집합
위의 근접 구조(영어: proximity structure, p-structure)는 다음 조건들을 만족시키는, 멱집합 위의 이항 관계
이다.






근접 공간(영어: proximity space, p-space)은 근접 구조를 갖춘 집합이다.
두 근접 공간
와
사이의 근접 함수(영어: proximity map, p-map)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이다.
- 임의의
에 대하여, 만약
라면,
이다.
다음과 같은 3개의 범주를 생각하자.
: 위상 공간과 연속 함수의 범주
: 근접 공간과 근접 함수의 범주. 특히, 근접 함수의 합성은 근접 함수이다.
: 균등 공간과 균등 연속 함수의 범주
근접 공간
위에 다음과 같은 폐포 또는 근방 필터를 정의하여 위상 공간으로 만들 수 있다.


이 경우, 모든 근접 함수는 연속 함수이다. 즉, 이는 충실한 함자

를 이룬다.
임의의 균등 공간
가 주어졌을 때,
위에 다음과 같은 이항 관계
를 정의하자.

그렇다면,
는 근접 공간을 이루며, 그 근접 위상은 균등 위상과 일치한다. 또한, 모든 균등 연속 함수는 근접 함수이다. 즉, 이는 충실한 함자

를 정의하며,
는 균등 공간의 범주와 위상 공간의 범주 사이의 충실한 함자와 일치한다. 근접 공간 또는 균등 공간의 범주론적 곱 위의 위상은 곱위상과 일치하지만, 균등 공간의 곱 위의 접근 구조는 일반적으로 곱 근접 구조가 아니다. 즉,
와
는 곱을 보존하지만,
는 아니다. 특히,
는 왼쪽 수반 함자를 갖지 않는다.
반대로, 임의의 근접 공간
에 대하여, 이 근접 구조를 유도하는 균등 구조가 존재한다. 즉, 근접 공간은 균등 공간들의 근접 동형에 따른 동치류로 여길 수 있다. 또한 임의의 근접 공간
에 대하여, 이 근접 구조를 유도하는 균등 구조 가운데 가장 엉성한 균등 구조가 존재한다. 구체적으로, 이는 다음과 같은 기본계에 의하여 정의된다.

균등 공간에서 위와 같은 꼴의 균등 공간으로 가는 모든 접근 함수는 균등 연속 함수이다. 따라서, 이는 다음과 같은 충실충만한 매장 함자를 정의하며, 또한 이는
의 오른쪽 수반 함자를 이룬다.


이에 따라,
는
의 어떤 충만한 부분 범주
와 동형이다. 또한,
는
의 반사 부분 범주를 이루며, 또한 전반사 부분 범주이자 단반사 부분 범주이다.
의 대상을 완전 유계 공간이라고 한다. 즉, 균등 공간
에 대하여, 만약
가 그와 같은 접근 구조를 유도하는 균등 구조들 가운데 가장 엉성하다면,
를 완전 유계 공간이라고 한다. 이 정의는 균등 공간을 통한 정의와 동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