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금호고속의 운행 노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본 문서는 금호고속의 운행 노선을 다루고 있다. 금호고속은 단일 업체로는 KD운송그룹 다음으로 큰 규모인 1214대의 시외버스 433대, 고속버스 781대, 전세버스 등을 보유하고 있다. (2013년 기준)
대한민국
요약
관점
고속버스
2019년 4월 기준이다.[1]
경부선
호남선
영동선
남해선
경인선
88선
이외 노선
아래 노선들은 국토교통부의 고속버스 운행계통표에 인가대수 또는 노선이 없으나, 코버스 전산망 상에서 취급하는 노선이다. 운행 구간은 북에서 남으로, 서에서 동으로 표기하였다.
과거 운행 노선
- 서울남부 - 광양 - 동광양
- 파주(문산) - 운정 - 대전복합
- 파주(문산) - 운정 - 대전청사
- 대전 - 서대구 - 동대구
- 대전 - 천안
- 천안 - 정안휴게소 - 팔봉동 - 익산
- 수원 - 인삼랜드휴게소 - 개양 - 진주
- 광주 - 경주
시외버스
유스퀘어 (광주광역시) 출발 노선
단거리 노선
굵게 표시된 지역으로는 무정차 직통 노선도 별도로 운행한다.
- 동남 방면 : 화순, 곡천, 벌교[5], 과역, 고흥, 녹동, 소록도, 장평[6], 장흥, 회진
- 동북 방면 : 옥과[7], 순천, 여천[8][9], 여수, 광양[10], 동광양[11], 광양제철
- 서남 방면 : 다시, 함평, 무안, 청계[12], 지도, 압해[13], 증도, 점암선착장[14], 목포[15], 무안국제공항
- 서북 방면 : 문장, 영광, 법성[16], 홍농[17]
- 남부 방면 : 나주, 영산포, 신북, 영암, 강진, 성전, 옴천, 병영, 동창, 금정, 안노, 유치, 마량[18], 고금[19], 완도, 해남, 진도, 땅끝[20]
중장거리 노선
전남 지역 출발 노선
기타 지역 출발 노선
Remove ads
해외 노선
금호고속은 1995년 4월에 무한한광공로운수유한공사 (武漢漢光公路運輸有限公司)를 시작으로 중국에 진출하였으며, 2007년 11월에 베트남에 진출하였다.
베트남 노선
- 노이 바이 국제공항 (하노이) - 하노이 대우호텔
중국 노선
- 선전 (深川) - 광저우 (廣州)
- 우한 (武漢) - 이창 (宜昌)
- 청두 (成都) - 충칭 (重慶)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