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대한지질학회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사단법인 대한지질학회(大韓地質學會,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GSK)는 지질과학의 기초 및 그 응용에 관한 학술과 기술의 발전 및 보급을 목적으로 1947년 4월 10일에 설립된 대한민국의 지질학 학술단체이다. 지질학 학술대회를 비롯한 각종 행사를 개최, 학술지 및 관련 분야의 서적을 발행, 국내외 단체와의 교류 등을 활동하고 있다. 1964년에 창간된 학술지 《지질학회지》를 발행하고 있다.[1][2]
Remove ads
개요
대한지질학회는 현존하는 대한민국의 지질학 학회 중 가장 규모가 크고 역사가 오래된 학회로, 주로 지질학과 한국의 지질에 대해 연구하며 지질학회지를 비롯한 학술지를 통해 논문을 발간한다. 1963년 4월에 사단법인으로 설립 허가되었으며, 사무실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한국과학기술회관 1관 1010-1011호 (06130)에 위치한다.[1]
주요 사업
- 학술대회, 심포지움, 강연회, 야외답사 및 강습회 개최
- 학술회지, 간행물 및 도서의 발간
- 학술의 국제교류
- 학계, 산업계 및 연구기관과의 협력 강화
-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
- 기타 본회의 목적달성에 적합한 사업
임원
- 회장
- 부회장
- 총무이사
- 재무이사
- 기획이사
- 학술이사
- 섭외·홍보이사
- 국제협력이사
- 감사
학술지
- 《지질학회지》 - 1964년 창간
- 《Geosciences Journal》 - 1997년 창간
- 《Episodes》
Remove ads
역사
요약
관점
다음은 한국의 지질과 관련된 대한지질학회의 역사와 지질학회지의 주요 논문이다.
- (■): 층서 설정 등 지질학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논문
- (■): 화석 산지, 지질유산 등의 최초 발견
- 분류: 퇴적암(지층, 층서, 화석, 환경), 화성암(화산암, 심성암), 변성암(변성퇴적암), 특별암석, 지질시대(절대연령), 지질구조(단층, 습곡, 절리), 지질재해(지진, 화산, 산사태), 지하자원(광상), 지질유산, 기타
일제 강점기~광복
일본 제국은 한반도의 광물자원을 수탈하기 위해 1918년 조선총독부 식산국 산하에 지질조사소를 설치하고 고토 분지로, 타테이와 이와오 등 일본인 지질학자들로 하여금 한국의 지질을 조사하게 하였다. 일부 제국대학에는 지질학과가 설치되어 있어 극소수의 한국인들이 일본 제국 내 제국대학에서 지질학을 전공하였고, 광복 당시 지질학을 전공한 한국인 지질학자는 박동길을 포함해 불과 10명, 지질학을 전공한 학생은 7명으로, 그 명단은 다음과 같았다.[2]
- 지질학 전공 교수
- 박동길(朴東吉, 1897~1983): 도호쿠 제국대학 졸업(1930), 광물학 전공, 교수
- 김종원(金鍾遠, ~1947): 도쿄 제국 대학 졸업(1932), 고생물학 전공, 교수
- 김한태(金漢台): 경성 제국대학 졸업(1935), 광상학 전공, 지질기사
- 최유구(崔裕久): 홋카이도 제국대학 졸업(1940), 층서학 전공, 지질기사
- 손치무(孫致武): 홋카이도 제국대학 졸업(1941), 광상학 전공, 지질기사
- 홍만섭(洪萬燮): 도호쿠 제국대학 졸업(1942), 광상학 전공, 지질기사
- 김옥준(金玉準): 도호쿠 제국대학 졸업(1943), 광상학 전공, 지질기사
- 정병존(丁炳尊): 홋카이도 제국대학 졸업(1943), 광상학 전공, 지질기사
- 정창희(鄭昌熙, 1920~2022): 홋카이도 제국대학 졸업(1944), 층서학 전공, 기수5급
- 주수달(朱洙達, ~1950): 경성 제국대학 졸업(1944), 광물학 전공, 연구원
- 지질학 전공 학생 (1945년 8월 광복 당시)
이들 10명의 지질학자들은 한국 지질학계의 원로이자 선구자로 해방 후 대학교 지질학과, 지질조사소와 광업 회사에서 활동하였으며, 1946년 9월에는 서울대학교 지질학과과 있던 청량리역 부근에서 한국 최초의 지질학자이자 한국 지질학계의 제1원로 교수인 박동길이 지질학자들을 소집하여 지질학회의 창립을 결정하고 박동길이 초대 지질학회 회장으로 추대되었다. 준비작업 후 1947년 4월 10일 서울 교외 정릉의 숲속에서 대한지질학회 창립총회가 개최되어 대한지질학회가 정식으로 창립하였다.[2]
광복 후~1950년대
대한지질학회 창립 초기에는 광복 후의 혼란스러운 사회 상황과 한국전쟁 등으로 인해 학회지를 발간하지 못하였고, 1947년부터 1950년 초까지 연 2회 야외에서 총회를 개최하였다. 1950년 6월 25일 한국 전쟁으로 지질학계는 다시 침체되었는데, 지질학회 회원 중에는 입대하거나 행방불명된 사람도 있었고, 지질학자 중 주수달, 노수원, 김봉균이 북한으로 납치되어 주수달은 사망하고 김봉균은 대한민국으로 돌아왔다. 1·4 후퇴 당시에는 정창희 지질과장이 16개 지질도폭을 가지고 인천에서 미군 LST에 승선하다가 모두 떨어뜨려 눈물을 흘린 일화가 전해진다.[2]
1960년대
1960년 6월 4일 제15차 총회에서 학회지의 발간이 정식으로 보고되었으며, 같은 해 10월 21일 제13차 이사회에서 학회지의 이름이 지질학회지(The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로 결정되었다. 1961년 4월의 제18회 임원회에서 학회지의 구체적인 세부 사항이 논의되었고, 1962년 4월 제24회 임원회에서 발간 계획이 확정되었으니 재정 문제로 미뤄져 1964년 8월 대한지질학회 최초의 논문, 지질학회지 제1권 1호로 발간을 시작하였다.[2] 1960년대의 논문 저자들로는 대한민국 지질학계의 원로 교수인 서울대학교의 정창희(鄭昌熙), 경북대학교의 장기홍, 이대성(李大聲), 김봉균(金鳳均), 이상만 등이 있다. 판 구조론이 공식화되기 전이라 이 시기의 논문에는 지향사 등 오래된 용어들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1960년대는 지질학회지의 첫 발간과 함께 지질학 분야 연구가 활발해지기 시작한 발전기로, 1961년 경북대학교 지질학과 신설, 1962년 태백산지구지하자원조사단(Geological Investigation Corps of Taebaeksan Region, GICTR)에 의한 태백산분지 지역 조선 누층군과 평안 누층군의 층서 결정, 1965년 연세대학교 지질학과 신설, 1969년 고려대학교 지질학과 신설 및 정창희에 의한 평안 누층군의 층서 결정 등 중요한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1962년부터 시작된 1:5만 지질도폭 사업은 국립지질조사소(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가장 중요한 사업이었으며 대부분의 지질도폭 제작에 대한지질학회의 주관 하에 학회 회원들이 참여하였다.[2]
자세한 정보 논문 제목 및 url, 날짜 ...
논문 제목 및 url | 날짜 | 호 | 쪽 (수) | 저자 | 범주 | 내용 | |
---|---|---|---|---|---|---|---|
1권 (1964년) | |||||||
카나다 쾌백주 동하드슨만 남호-프웰해협지역의 화강암과 미그마타이트 Granites and Migmatites in the South Hopewell Sound Area, East of Hudson Bay, Province of Quebec, Canada |
1964. 8 | 1 | 1-23 (23) | 이상만 | 화성암/화강암 지역/캐나다 |
캐나다 퀘백 주의 화강암과 미그마타이트(혼성암). 지질학회지 최초 논문 | |
강원도 동점의 소위 「충식석회암」에 대하여 The so-called "Worm-eaten Limestone" at Dongjeom, Kangweon-do |
1964. 8 | 1 | 24-34 (11) | 정창희 | 퇴적암/석회암 지역/태백 |
동점동 조선 누층군 화절층의 충식석회암 | |
2권 (1966년) | |||||||
상동광산 및 그 부근의 지질구조와 중석광산의 광화작용과의 관계 Relations of Structural Pattern and Tungsten Deposition in the Sangdong Mine and its Vicinity |
1966. 6 | 1 | 1-16 (16) | 윤석규 | 지하자원 지역/영월 |
![]() | |
낙동아층군(하부백악계)의 층서 및 퇴적 Stratigraphy and Sedimentation of Naktong Subgroup (Lower Cretaceous), Gyeongsang Province, Southern Korea |
1966. 6 | 1 | 17-51 (35) | 장기홍 | 퇴적암/지층 퇴적암/화석 |
경상 누층군 낙동아층군 낙동층, 하산동층, 진주층, 칠곡층의 암상과 화석 | |
달성광산부근의 지질과 광화작용에 대하여 On the Geology and Mineralization in Dalsung Mine Area |
1966. 6 | 1 | 52-69 (18) | 원종관 김기태 |
지하자원 지역/대구 |
대구광역시 달성광산의 광화작용 | |
제주도의 화산암류 Volcanic Rocks in Cheju Island |
1966. 12 | 2 | 1-7 (7) | 이상만 | 화성암/화산암 지역/제주 |
제주도의 화산암 | |
강릉탄전 동부의 지질구조 Geologic Structure in the Eastern Part of Gangreung Coal Field |
1966. 12 | 2 | 8-17 (11) | 손치무 | 퇴적암/층서 지질구조/습곡 지역/강릉 |
강릉탄전 동부의 층서와 습곡구조 | |
묘곡층과 후대동계 지각운동 The Myogog Formation and Its Tectonic Significance |
1966. 12 | 2 | 21-35 (16) | 정창희 이하영 |
퇴적암/화석 | 묘곡층의 식물화석 | |
3권 (1967년) | |||||||
경북 옥방중석광산의 지질 및 성인 Geology and Ore Deposits at the Okbang Scheelite Mine, North Gyeongsang Province, Korea |
1967.3 | 1 | 1-19 (19) | 이상만 | 지하자원 지역/울진 |
봉화군-울진군 옥방광산의 지질 | |
사동통 사암의 퇴적암석학적 연구 Petrographic Study of the Sadong Sandstones |
1967.3 | 1 | 21-35 (15) | 정창희 | 퇴적암/사암 | 평안 누층군 사동층 | |
장군망간광산의 지질과 광상 Geological Study of Janggun Manganese Mine |
1967.3 | 1 | 51-59 (9) | 이대성 | 지하자원/광상 지역/봉화 |
봉화군 장군 망가니즈광산의 지질과 광상 | |
펀치볼의 생성원인 The Origin of the so-called Punch Bowl |
1967.3 | 1 | 61-66 (6) | 김봉균 박용안 |
지형/침식 지역/양구 |
![]() | |
백악기 화석빗자국의 한 산출 An Occurrence of Late Cretaceous fossil rain prints in Korea |
1967.3 | 1 | 67-70 (4) | 장기홍 | 지질유산 지역/의령 |
||
신라역암층의 퇴적환경과 층서관계 Sedimentary Environments and Stratigraphic Relations of the Silra Conglomerate Tongue, Gyeongsang Province, Southern Korea |
1967.6 | 2 | 101-112 (12) | 장기홍 | 퇴적암/환경 | 경상 누층군 신라 역암층의 퇴적환경 | |
강원도 양양광업소 부근 섬장암내의 퍼어사이트의 형성작용 Formation of the Perthite in the Syenite at the Yangyang Mining District, Kangwon Province, Korea |
1967.6 | 2 | 113-125 (13) | 김형식 | 특별암석 지역/양양 |
양양광업소 부근 섬장암 내 퍼사이트 | |
4권 (1968년) | |||||||
안양천지역의 지하수자원에 대하여 Summary Report on the Ground-Water Resources of the Anyang Chon Basin |
1968.5 | 1 | 1-21 (21) | Joseph T. Callahan 외 | 지하수 지역/안양 |
경기도 안양천의 지하수 | |
경상층군의 층서개요 An Introduction to the Stratigraphy of Gyeongsang (Kyongsang) Group, Gyongsang Province, Southern Korea |
1968.5 | 1 | 41-44 | 장기홍 | 퇴적암/층서 | 경상 누층군의 전반적인 층서와 암상 | |
장군광산의 산화망간 광물에 관하여 Manganese Oxide Minerals From Janggun Manganese Mine, Korea |
1968.8 | 2 | 57-76 (20) | 김수진 | 지하자원/광물 | 장군 망가니즈광산의 광물 | |
경상분지 북서부의 백악기 고수류 및 퇴적 Cretaceous Paleocurrent and Sedimentation in Northwestern Part of Gyeongsang Basin, Southern Korea |
1968.8 | 2 | 77-97 (21) | 장기홍 김항묵 |
퇴적암/환경 | 경상 분지 북서부의 고수류(古水流; Paleocurrent)와 연흔 | |
중생대 현무암중의 자연동광상 성인연구 Genesis of the Native Copper Deposits in Mesozoic Basalt Flows in the Yongyang Basin, Korea |
1968. 10 | 3 | 111-162 (52) | 이정환 | 지하자원 화성암/화산암 지역/영양 |
영양군 지역 경상 누층군 도계동층 내 세천동 현무암 내 자연구리 | |
5권 (1969년) | |||||||
장성탄전 일대의 지질구조 Geologic Structure of Jangseong Coal Field and its Vicinity |
1969.3 | 1 | 1-11 (11) | 손치무 김형식 |
지하자원/석탄 | 삼척탄전 장성광업소 일대의 지질 | |
강원도 삼척탄전의 층서 및 고생물 Stratigraphy and Paleontology of the Samcheog Coalfield, Gangweondo, Korea (I) |
1969. 3 | 1 | 13-55 (43) | 정창희 | 퇴적암/층서 | 이 논문에서 정창희는 삼척탄전을 평안 누층군의 표식지로 삼고, 그 층서를 밑에서부터 만항층, 금천층, 장성층, 함백산층, 도사곡층, 고한층, 동고층으로 새로 설정하였다. 정창희가 설정한 이 층서는 오늘날에도 사용된다. | |
경상계내의 광화작용에 관하여 On the Mineralization within the Gyeongsang System |
1969.3 | 1 | 68-70 (3) | 이상만 | 지하자원/광상 | 경상 분지 내 발달하는 금-은, 동-아연, 철, 중석-휘수연, 납석(蠟石)광상에 대한 대략적인 설명 | |
닫기
1970년대
1970년대에는 안정기에 접어들고 회원들의 연구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매년 학회지가 발간되었으며 이때부터 외국의 저명한 지질학자를 초청하여 강연회를 가지고 국제적인 학술대회에 참여하는 일이 많아졌다. 또한 1973년 2월 7일에 대한지질학회는 국제지질과학연합(IUGS)에 가입하여 정식 회원국이 되었다. 1976년 11월 11일 한국의 지질의 주요 쟁점인 옥천 누층군에 대한 제1차 심포지엄이 개최되어 김옥준, 장기홍, 이하영, 이대성 회원이 발표하고 열띤 토론을 개최하여 학회에 관심을 가지게 하였으며 다음 해의 같은 날짜에 제2차 심포지엄이 개최되었다. 이 옥천 누층군(옥천계) 심포지엄은 학술적으로 매우 성공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2]
한국의 원로 지질학자인 정창희는 1974년 4월부터 1976년 4월까지 대한지질학회의 회장으로 재임했다. 1970년대의 중요한 연구로, 경북대학교의 장기홍은 1975년을 기점으로 그때까지 사용되던 타테이와 이와오(1924)의 경상계 지층(낙동통, 신라통, 불국사통)를 폐지하고, 경상 분지 경상 누층군의 층서를 화산 쇄설물의 포함 정도에 근거하여 신동층군, 하양층군, 유천층군으로 재설정하였고 하양층군에서 대구층을 분리해 함안층과 반야월층을 처음으로 설정하였으며 경상 누층군으로 명명된 이 층서는 오늘날까지 유효하다. 김형식, 김진섭, 김항묵은 1979년 12월 부산광역시에서 부산 전포동 구상반려암을 발견하였으며, 이 노두는 오늘날 부산국가지질공원의 지질명소로 지정되어 있다. 윤선(1975, 1976, 1979)는 포항 분지의 연일층군과 울산 분지의 화봉리층에서 신생대 마이오세의 화석을 기재하였으며, 이하영(1971, 1975, 1976, 1979)은 조선 누층군의 여러 지층에서 코노돈트 화석을 기재하였다.
1970년대 대한지질학회의 주요 논문 저자는 아래와 같다. 1970년대에는 한국의 지진을 연구하고 《모든 사람을 위한 지진 이야기》(2015)를 저술한 서울대학교의 이기화 교수, 경상 누층군에서 여러 화석을 발견한 경북대학교의 양승영 교수, 1971년 서울대학교 지질학과를 졸업하고 《한반도 형성사》(2015)를 저술한 최덕근 교수가 처음으로 등장한다. 손치무는 1976년 6월 한국의 지질학 발전 역사를 서술한 지질학회지 12권 2호 논문에서 지질학회지가 창간된 1964년과 연세대학교에 지질학과가 설치된 1965년을 한국 지질학계의 전환기라고 평하였다.
- 김봉균(金鳳均): 지질학계 원로, 서울대학교 지질학과
- 김옥준(金玉準): 지질학계 원로, 연세대학교 지질학과
- 김항묵(金恒默): 서울대학교 지질학과
- 김형식(金亨植): 서울대학교 지질학과
- 나기창(羅基昌): 충북대학교 지구과학부
- 박병권(朴炳權): 육군사관학교 지구과학부
- 소칠섭(蘇七燮): 고려대학교 지질학과
- 손치무(孫致武): 서울대학교 지질학과
- 양승영(梁承榮):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지학과
- 윤선(尹先): 부산대학교 지질학과
- 이대성(李大聲): 연세대학교 지질학과
- 이하영(李河榮): 연세대학교 지질학과, 조선 누층군 코노돈트 화석 기재, '71년 6월 7권 2호 최초 등장
- 이영길(李永吉): 경북대학교 지질학과
- 원종관(元鍾寬): 건국대학교 문이과대학
- 장기홍(章基弘): 경북대학교 지질학과, 경상 누층군 층서 재설정
- 정창희(鄭昌熙): 지질학계 원로, 서울대학교 지질학과
- 최덕근(崔德根): 서울대학교 지질학과, '77년 9월 13권 3호 최초 등장
자세한 정보 논문 제목 및 url 링크, 날짜 ...
논문 제목 및 url 링크 | 날짜 | 호 | 쪽 (수) | 저자 | 범주 | 내용 | |
---|---|---|---|---|---|---|---|
6권 (1970년) | |||||||
경상북도에 있어서의 상부중생대층의 지질 (I) Geology of Upper Mesozoic Strata, N. Gyeongsang Province, Southern Korea (I) |
1970.3 | 1 | 1-12 (12) | 장기홍 | 퇴적암/지층 퇴적암/층서 지역/경북 |
경상북도 북부의 경상 누층군 지층과 층서 | |
강원탄광 장성층에서 발견된 식물화석 수 종 Some Fossil Plants from the Jangseong Formation of the Gangweon Coal Mine, Korea |
1970.3 | 1 | 13-28 (16) | 정창희 이하영 |
퇴적암/화석 | 삼척탄전 강원탄광 평안 누층군 장성층에서 식물 화석이 발견되었다. | |
한국의 신 제3기 퇴적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eogene Tertiary Deposits in Korea |
1970.6 | 2 | 77-96 (20) | 김봉균 | 퇴적암/퇴적분지 | 제3기 퇴적분지(길주-명천 분지, 북평 분지, 영해 분지, 포항 분지, 어일 분지, 울산 분지)의 암석과 화석 | |
경정동층과 묘곡층의 층위 Stratigraphic Position of Gyeongjeongdong and Myogog Formations |
1970.6 | 2 | 129-133 (5) | 장기홍 양승영 |
퇴적암/대비 | 경정동층은 경상 누층군 낙동층에 대비된다. | |
한국의 지질계통과 부정합 Unconformity and Geological Sequences of Korea |
1970.9 | 3 | 187-198 (12) | 손치무 | 지질구조/부정합 | 예미각력석회암의 존재, 정선 석회암층과 막골층은 부정합 | |
義林吉 부근의 지질―특히 예미각력석회암층에 관하여 Geology of Euirimgil and its Vicinity―Special Emphasis on the so-called "Yemi Limestone Breccia Bed" |
1970.12 | 4 | 213-220 (8) | 김옥준 권영직 |
퇴적암/지층 | 예미각력석회암은 여러 층준에 흩어져 있으며 기저 역암이 아니다. | |
7권 (1971년) | |||||||
한국의 광상생성시기와 광상구 Metallogenic Epochs and Provinces of South Korea |
1971.3 | 1 | 37-59 (23) | 김옥준 | 지하자원/광상 지질시대 |
한국 광상의 형성시기 | |
단양탄전의 층서 및 고생물학적 연구 Stratigraphy and Paleontology of the Danyang Coalfield, N. Chungcheong-do, Korea |
1971.6 | 2 | 63-85 (21) | 정창희 | 퇴적암/층서 퇴적암/화석 지역/단양 |
단양탄전 지역 평안 누층군(만항층~동고층) 및 대동 누층군 반송층군(사평리층, 현천리층, 덕천리층)의 층서, 암상 및 화석 | |
강원도 삼척군 동점부근에 분포된 대석회암통의 Conodont 화석군과 그의 층서학적 의의 Conodont Fauna from the Great Limestone Series in Dongjeom District, Samcheog-Gun, Gangweon-Do and its Stratigraphical Significance |
1971.6 | 2 | 89-101 (13) | 이하영 이종덕 |
퇴적암/화석 지역/태백 |
태백시 동점동에 분포하는 조선 누층군(대기층, 화절층, 두무골층, 막골층, 두위봉층)에서 산출된 코노돈트 화석과 층서 대비 | |
평창북서부의 지질 Geology of the Northwestern Part of Pyeongchang District, Gangweon-do, Korea |
1971.9 | 3 | 143-152 (10) | 손치무 정지곤 |
퇴적암/층서 지역/평창 |
평창군 북서부 방림층군, 안미리층군, 조선 누층군 평창층군 및 지질구조 | |
한국 중부 옥천 지향사대에 있어서의 화성활동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Igneous Activity in the Middle Ogcheon Geosynclinal Zone, Korea |
1971.9 | 3 | 153-216 (64) | 이대성 | 화성암 | 옥천 지향사(→옥천 습곡대)의 화성 활동 | |
단양탄전 지구의 고생대 및 중생대의 고수류 Paleozoic and Mesozoic Paleocurrents of the Danyang Coalfield District, Korea |
1971.12 | 4 | 257-276 | 김항묵 | 퇴적암/환경 지역/단양 |
단양탄전의 고수류는 서북서 (방위각 295°) 방향으로 흘렀으며 쇄설성 퇴적물의 공급지는 동쪽 | |
8권 (1972년) | |||||||
서울 화강암의 Rb-Sr방법에 의한 암석연대 측정 Whole-rock Rubidium-Strontium Age of the Seoul Granite |
1972.9 | 3 | 156-162 (7) | 박병권 | 지질시대/절대연령 | 서울특별시 서울 화강암의 루비듐-스트론튬 전암 연대측정 결과는 160±10 Ma (중기 쥐라기) | |
율리통과 원남통과의 관계에 대하여 Relation between Yulri and Weonnam Series |
1972.9 | 3 | 174 (1) | 최유구 | 퇴적암/지층 지역/봉화 |
선캄브리아기 율리층군 고선리층, 각화사층, 두음리층 | |
고한층의 고방산식물군 산출과 그 층서적 의의 Occurrence of Gobangsan Flora in the Gohan Formation and its Stratigraphic Significance |
1972.9 | 3 | 175-176 (2) | 장기홍 | 퇴적암/화석 | 삼척탄전 평안 누층군 고한리층에서의 식물 화석 산출 | |
문경탄전 일대의 지질구조 Geologic Structure of the Mungyeong Coalfield |
1972.12 | 4 | 181-190 (10) | 손치무 백광호 |
퇴적암/층서 지질구조/습곡 |
문경탄전의 층서와 습곡 구조 | |
옥천계내 향산리돌로마이트층에서의 Archaeocyatha의 발견과 그 의의 Discovery of Archaeocyatha from Hyangsanri Dolomite Formation of the Ogcheon System and its Significance |
1972.12 | 4 | 191-197 (8) | 이대성 장기홍 이하영 |
퇴적암/화석 | 옥천 누층군 향산리 돌로마이트층에서 발견된 고배류(Archaeocyatha) 화석에 대한 논문으로 장기홍은 향산리 돌로마이트층을 고생대 지층으로 정하였다. 그러나 나중에 최덕근 외(2012)는 이 화석이 고배류 화석이 아니라고 하였다. | |
영월도폭 북서부 지역 삼방산층의 층서 Stratigraphy of Sambangsan Formation in the Northwestern Area of Yeongweol Quadrangle |
1972.12 | 4 | 211-216 (7) | 김항묵 | 퇴적암/지층 | 조선 누층군 삼방산층을 하부층원, 상부층원으로 구분하고 '삼방산층의 최하부는 암질상으로는 선평안계-후캄브리아기에 속함을 암시한다.' (아직 삼방산층에서 캄브리아기 화석이 발견되기 전이라 학자들은 태백산지구지하자원조사단에서 정해진 대로 삼방산층이 조선 누층군 이후의 지층이라고 생각했다.) | |
상동 광산 Bi광의 분포 조사 The Distribution of Bi-minerals in the Sangdong Mine |
1972.12 | 4 | 217-221 (5) | 문건주 | 지하자원/광상 | 상동광산의 비스무트 광상 분포 상태 | |
9권 (1973년) | |||||||
한국 지하수 자원 개발을 위한 지질학적 연구의 필요성 The Need of Geological Investig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Ground Water Resources of the Republic of Korea |
1973.3 | 1 | 24-29 (6) | Joseph T. Callahan 최승일 |
지하수 | 지하수 개발을 위한 지질학적 연구와 지질학자 육성의 필요성 | |
삼척탄전 방추충의 고생물학적 연구 A Paleontological Study of the Fusulinids from the Samcheog Coalfield, Korea |
1973.6 | 2 | 47-88 (42) | 정창희 | 퇴적암/층서 | 삼척탄전 층서와 방추충 화석 | |
경상분지 북서부지역 경상누층군의 퇴적구조 Sedimentary Structures of the Gyeongsang Supergroup in Northwestern Part of the Gyeongsang Basin, Southeastern Korea |
1973.9 | 3 | 125-147 (23) | 김항묵 | 퇴적암/환경 | 경상 분지 북서부 경상 누층군의 퇴적환경은 호성, 하성 환경 | |
한국 전주-목포일대의 미그마타이트에 관한 연구 On Migmatites in the Jeonju-Mogpo Area, Korea |
1973.12 | 4 | 207-234 (28) | 김형식 | 기타암석/혼성암 | 전라도 전주-목포지역 변성암으로부터 유래한 미그마타이트(혼성암)와 화학성분 | |
10권 (1974년) | |||||||
한국 영동층군의 고수류 분석 Paleocurrent Analysis of the Yeongdong Group, Southern Korea |
1974.3 | 1 | 1-24 (24) | 김항묵 | 퇴적암/환경 퇴적암/대비 |
옥천대 영동 분지 영동층군의 고수류와 퇴적 환경, 경상 분지 신라층군과의 대비 | |
한반도의 지체구조상의 위치 플래이트구조와 관련하여 The Tectonic Setting of Korea, with Relation to Plate Tectonics |
1974.3 | 1 | 25-36 (23) | 이상민 | 지체구조 | 한반도의 경기 육괴와 소백산 육괴(→영남 육괴)는 중국의 산둥 및 복건 육괴에 대비되며 1960년대 말 공식화된 판 구조론을 적용하여 한반도는 남동아시아 대륙판과 태평양판의 중간에 놓여 있고 한반도 동해안을 따라 고대에 해구가 형성되었다고 추정하였다. | |
한국산 신속 Xenostaffella와 수종의 신종 방추충 화석 Some New Forms of FUSULININAE, including a New Genus Xenostaffella, from Korea |
1974.6 | 2 | 59-88 (30) | 정창희 | 퇴적암/화석 | 석탄기의 평안 누층군 만항층과 금천층에서 산출된 방추충 화석 | |
문경탄전의 층서와 지질구조 Stratigraphy and Geologic Structure of the Mun-gyeong Coalfield, Gyeongsang-bug-do, Korea |
1974.9 | 3 | 129-148 (20) | 박정자 | 퇴적암/층서 지질구조 지역/문경 |
문경탄전의 새로운 층서 구분과 습곡, 단층, 부정합, 화석, 석탄층 | |
춘천부근에 분포하는 각섬암의 성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rigin of Amphibolites in Chuncheon Area |
1974.9 | 3 | 149-168 (20) | 이문원 | 변성암 지역/층서 |
춘천시 부근 각섬암의 광물과 화학, 성인에 대한 연구 | |
낙동층군의 퇴적암석학적 연구 (1) Sedimentary Petrology of Nagdong Group (1) |
1974.12 | 4 | 207-224 (18) | 고인석 | 퇴적암/사암 | 경상 누층군 낙동층군(낙동층, 하산동층, 진주층, 칠곡층) 사암의 구성성분, 조직, 퇴적환경 | |
한국 영동층군의 퇴적 Sedimentation of the Yeongdong Group, Southern Korea |
1974.12 | 4 | 225-241 (17) | 김상묵 | 퇴적암/층서 지역/영동 |
영동 분지 영동층군의 퇴적암 조합, 층서 | |
11권 (1975년) | |||||||
한반도 동남부의 백악계 층서 Cretaceous Stratigraphy of Southeast Korea |
1975.3 | 1 | 1-23 (23) | 장기홍 | 퇴적암/층서 | 경상 누층군이 신동층군, 하양층군, 유천층군으로 재설정되고 하양층군에서 함안층과 반야월층이 처음으로 정해졌다. | |
충북 단양 부근의 쥬라기 사평리 역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Jurassic Sapyeongri Conglomerate in the Vicinity of Danyang, N. Chungcheongdo, Korea |
1975.3 | 1 | 24-37 (14) | 박인수 정창희 |
퇴적암/지층 퇴적암/환경 지역/단양 |
단양군에 분포하는 대동 누층군 반송층군 사평리 역암층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와 퇴적환경 | |
두무동층으로부터 산출된 코노돈트화석군 Conodonts from the Dumugol Formation (Lower Ordovician), South Korea |
1975.6 | 2 | 75-98 (24) | 이하영 | 퇴적암/화석 | 삼척시와 영월군의 두무골층에서 산출된 20종 7속의 코노돈트 화석 | |
한국 포항ㆍ감포일대 신제3기층의 화석규조군 Neogene Diatoms of Pohang and Gampo areas, Kyongsangbug-Do, Korea |
1975.6 | 2 | 99-113 (15) | 이영길 | 퇴적암/화석 지역/포항 |
포항 분지 눌대리 조면암질응회암층, 이동층, 대곡층 및 감포 지역 어일층의 제3기 지층에서 발견된 51속 130종의 규조류 화석 | |
갑산층의 지질시대 The Age of the Gabsan Formation |
1975.6 | 2 | 139-143 (5) | A. J. Reedman | 퇴적암/지층 퇴적암/대비 지질시대 |
단양군 북동부 갑산층의 지질시대는 홍점층, 석탄기에 대비된다. | |
영춘부근의 지질구조 Geological Structure in the vicinity of Yeongchun |
1975.9 | 3 | 145-165 (21) | 손치무 | 지질구조 지역/단양 |
단양군 영춘면 일대의 지질구조 | |
남한, 강원도지역의 상부캠브리아계에서 산출된 코노돈트 화석군 Conodonts from the Upper Cambrian formations, Kangweon-Do, South Korea |
1975.9 | 3 | 172-185 (14) | 이하영 | 퇴적암/화석 지역/태백 |
태백시 동점동의 화절층과 영월군 마차리의 마차리층에서 발견된 5속 8종의 코노돈트 화석 | |
한국 포항지역 제3기 포항분지의 지질과 고생물 제1부-지질 Geology and Paleontology of the Tertiary Pohang Basin, Pohang District, Korea Part Ⅰ. Geology |
1975.12 | 4 | 187-214 (28) | 윤선 | 퇴적암/층서 지역/포항 |
포항 분지 연일층군 층서 | |
한국 결정질 암층의 지하수 Ground Water from Fractured Crystalline Rocks in Korea |
1975.12 | 4 | 215-232 (18) | 최승일 | 지하수 | 한국의 지하수 | |
암석역학적으로 고찰한 서울화강암의 절리에 관한 연구 Rock Mechanical Analysis of the Granite Joints in Seoul Area |
1975.12 | 4 | 233-239 | 소칠섭 최병렬 |
지질구조/절리 화성암/심성암 |
서울특별시 서울 화강암의 절리의 방향과 생성 원인 | |
경북 연일지구에 발달하는 갈탄층의 층서적 연구 Stratigraphic Studies on the Lignite-bearing Strata Distributed in the Yeongil District, North Gyeongsang-Do, Korea |
1975.12 | 4 | 240-252 (13) | 김봉균, 정창희, 김수진 | 퇴적암/갈탄 지하자원/석탄 |
포항시 장기 분지의 지질(연일층군, 장기층군, 범곡리층군) | |
12권 (1976년) | |||||||
한국 포항지역 제3기 포항분지의 지질과 고생물 제2부 고생물 (연체동물) 제1부 쌍각류의 기재 Geology and Paleontology of the Tertiary Pohang Basin, Pohang District, Korea : Part 2, Paleontology (Mollusca) No. 1, Systematic Description of Bivalvia |
1976.3 | 1 | 1-21 (21) | 윤선 | 퇴적암/화석 지역/포항 |
의창층군(→연일층군)에서 산출된 31종의 쌍각류(雙殼類; 조개류) 화석 기재 | |
경상누층군 화석에 관하여: 특히 수종의 연체동물화석을 중심으로 On Fossils from the Gyeongsang Group : Especially on some of the molluscan fauna |
1976.3 | 1 | 23-30 (8) | 양승영 | 퇴적암/화석 | 경상 누층군 내 연체동물 화석(Trigonioides 및 Nagdongia 속)과 연구 역사 | |
한국 포항지역 제3기 포항분지의 지질과 고생물 제2부 고생물(연체동물), 제2편 굴족류 및 복족류의 기재와 화석산지의 기재 Geology and Paleontology of the Tertiary Pohang Basin, Pohang District, Korea : Part 2, Paleontology(Mollusca), No. 2, Systematic Description of Scaphopoda and Gastropoda, with descriptions of fossil localities |
1976.6 | 2 | 63-78 (16) | 윤선 | 퇴적암/화석 | 의창층군(→연일층군)에서 산출된 1종의 굴족류(掘足類) 화석과 9종의 복족류 화석 기재 | |
LANDSAT-1 영상에 의한 영남지역 지질구조와 광상과의 관계 연구 A Study of the Relation between Geologic Structures and Ore Deposits in Ryeongnam Province using Landsat-1 Images |
1976.6 | 2 | 79-89 (11) | 김종환 강필종 김정웅 |
지질구조 | 영남 지방 선구조(Tecto-lineament)와 선구조가 수계, 해안, 광상에 미치는 영향 | |
한국 지질학 발전의 발자취 A Historical Sketch of Geology of Korea |
1976.6 | 2 | 101-102 (2) | 손치무 | 기타 | 한국의 지질학 발전 역사. 지질학회지가 창간된 1964년과 연세대학교에 지질학과가 설치된 1965년을 한국 지질학계의 전환기라고 평하였다. | |
옥천층군의 틸라이트와 그 층서학적 의의 Tillites of the Ogcheon group and their Stratigraphic Significance |
1976.9 | 3 | 107-112 (6) | 리드먼 플레처 |
퇴적암/대비 | 옥천 누층군의 빙력암(氷礫岩, tillite)으로 중국, 북한지역과의 대비를 통해 옥천 누층군이 선캄브리아기 지층이라는 증거다. | |
충남탄전의 지질 및 고생물학적 연구 Geological and Paleontological Studies of Chungnam Coalfield |
1976.9 | 3 | 124-143 (20) | 김봉균 | 퇴적암/화석 | 보령시 충남탄전의 암석과 대동 누층군 식물화석 | |
남한 강원도에 분포된 막동석회암과 정선석회암(오오도비스기)으로부터 산출된 코노돈트 화석군 Conodonts from the Maggol- and the Jeongseon Formation(Ordovician), Kangweon-Do, South Korea |
1976.12 | 4 | 151-181 (31) | 이하영 | 퇴적암/화석 | 조선 누층군 막골층과 정선 석회암층에서 산출된 코노돈트 화석 | |
창동터널의 지질 The Geology of the Changdong Tunnel, Chungcheongnamdo |
1976.12 | 4 | 183-188 (6) | 토마스 박석환 |
지역/보령 지질구조 |
충청남도 보령시에 위치한 연장 3,340 m의 급수용 터널 창동터널의 내부 지질로 쥐라기 퇴적암류와 선캄브리아기 편마암이 충상단층으로 접하고 습곡이 발달한다. 터널 내부의 석탄층들은 모두 단층파쇄되었고 대개 화강암류에 의해 관입당했다. | |
옥천-괴산 일대의 니질변성암중의 흑운모에 관한 연구 Biotites from Metapelites of the Ogcheon-Goesan District, Korea |
1976.12 | 4 | 189-206 (18) | 김형식 | 퇴적암/구성 | 옥천군-괴산군 일대 옥천 누층군 니질변성퇴적암의 흑운모에 대한 화학, 변성도 연구 | |
김해부근 산성화성암류에 관한 암석학적 연구 A Petrologic study on the Acidic Igenous Rocks, Kimhae Area |
1976.12 | 4 | 227-241 (15) | 이창진, 박희연 | 지역/김해 화성암 |
김해시 지역에 발달하는 산성 화성암류(유문암, 각섬석반려암, 불국사 화강암류, 마산암류)와 그 화학성분 | |
13권 (1977년) | |||||||
북평층내의 화석규조군에 대하여 On the Fossil Diatoms in the Bukpyeong Formation, Bukpyeong area, Gangweon-do, Korea |
1977.3 | 1 | 23-40 | 이영길 | 퇴적암/화석 | 삼척시 북평 분지 북평층의 규조류 화석 | |
Landsat-1 영상에 의한 태백산지역 지질구조와 암석분포 상태에 관한 연구 (I) A Study on Geologic Structure and Rocks in Mt. Taebaek Area using Landsat-1 Image (I) |
1977.6 | 2 | 53-70 (18) | 강필종, 김의홍, 임정웅 | 지질구조 | Landsat-1 영상에 의한 선형구조(lineament) 판독과 보고된 단층, 암석 분포, 수계와의 관계. 충상단층은 거의 추적되지 않는다. | |
한국 경상분지 산내 및 일광광산의 광화작용 시기 Age of Mineralization at Sannae and Ilkwang Mines, Gyeongsang Basin, Republic of Korea |
1977.6 | 2 | 71-75 (6) | 플레처 런들 |
지하자원/광상 | 일광 동-중석광상 내 각력파이프에서 채취한 견운모의 칼륨-아르곤 연대 측정 결과는 69±2.6 Ma이다. 일광 광산의 광화작용 시기는 백악기 후기~제3기 전기에 일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 |
경상분지 상부중생계의 층서퇴적 및 지구조 Late Mesozoic Stratigraphy, Sedimentation and Tectonics of Southeastern Korea |
1977.6 | 2 | 76-90 (15) | 장기홍 | 퇴적암/층서 | 경상 분지 경상 누층군의 전반적인 층서와 지질시대, 하양층군의 층서, 지층대비 | |
한반도, Gondwanaland 및 Pangaea에 관한 소고 Discussion on the Korean Peninsula, Gondwanaland and Pangaea |
1977.6 | 2 | 91-96 (6) | 박병권 | 지체구조 | 중생대 이전 한반도는 북중국 강괴의 일부였고 곤드와나의 일부분으로 판게아의 연변부에 위치했던 것으로 추정 | |
Conodont 화석군에 의한 문곡층(삼태산층)의 시대와 층서대비 Age and Biostratigraphy of the Mungog(Samtaesan) Formation by means of the Conodont fauna |
1977.6 | 2 | 97-107 (11) | 원문주 이하영 |
퇴적암/화석 | 문곡층의 코노돈트 화석군 | |
포항지역 제3기층 저서성유공충의 species diversity Species Diversity of Benthonic Foraminifera in the Tertiary Strata of Pohang Basin, Korea |
1977.9 | 3 | 111-120 (10) | 김봉균 최덕근 |
퇴적암/화석 | 포항 분지 저서성(底棲性) 유공충 화석의 종다양성과 환경적 의미 | |
남한 강원도에 분포된 직운산세일과 두위봉석회암으로부터 산출된 코노돈트 화석군 Conodonten aus den Jigunsan-und den Duwibong-Schichten (Mittelordovizium) von Kangweon-Do, Südkorea |
1977.9 | 3 | 121-150 (30) | 이하영 | 퇴적암/화석 | (독일어) 삼척군 장성동과 영월군 상동광산의 조선 누층군 직운산층과 두위봉층에서 산출된 68개체의 코노돈트 화석 | |
영월탄전 해성퇴적암(석탄기)의 퇴적환경 및 방추충에 관한 연구 Fusulinids and Depositional Conditions of the Marine Sediment (Carboniferous) of the Yong-weol Coalfield, Korea |
1977.9 | 3 | 151-178 (28) | 정창희 박용안 |
퇴적암/화석 | 영월탄전 지역 평안 누층군 요봉층, 판교층, 밤치층의 해석 석회암층에서 산출되는 방추충 연구 | |
울산철산부근의 지질구조와 광화작용에 관한 지질학 및 지구물리학적 연구 Geolgical and Geophysical Studies on the Geologic Structures and Mineralization in the Ulsan Iron Mine Area |
1977.9 | 3 | 179-189 (11) | 최광선 박희인 정봉일 |
지하자원/광상 | 울산광역시 울산철광상의 지질과 광물, 지질구조 | |
한국 선캠부리아기의 철광상의 성인에 관한 광물암석학적 연구 Mineralogy and Petrology of the Precambrian Iron Deposits, Korea |
1977.9 | 3 | 191-212 (22) | 김형식 | 지하자원/광상 | 한반도 양양, 충주, 포천, 서산 지역의 선캄브리아기 철광상의 성인 | |
옥천군 시대미상 암회색저도변성니질암에서의 흔적화석 콘드라이트의 산출과 의의 Occurrence and significance of trace fossil Chondrite from age-debated dark gray low-grade metamorphic argillaceous rock of Ogcheon Supergroup, southern Korea |
1977.12 | 4 | 263-266 (4) | 장기홍 박봉순 |
퇴적암/화석 | 괴산군 청천면 옥천 누층군 백봉리층군 운교리층의 암회색 저도변성니질암에서 흔적 화석 콘드리테스(Chondrites)의 화석을 발견하였다. 콘드리테스의 범세계적인 산출 시기 범위는 (캄브리아기~)오르도비스기의 해성층이므로 운교리층의 지질시대는 고생대 전기일 가능성만 유효하다. | |
14권 (1978년) | |||||||
경상분지의 구조해석과 Igneous Pluton에 관한 硏究 Study on the Tectonic Interpretation and Igneous Pluton in the Gyeongsang Basin |
1978.9 | 3 | 79-92 (14) | 원종관 강필종 이상훈 |
지질구조 | Landsat-1 영상에 의한 선형구조(lineament)와 단층, 화성암의 화학성분. 양산 단층을 비롯한 북북동 주향의 단층을 따라 대규모 화강암체의 관입이 있었다. | |
옥천계 함우라늄 변성지층의 광물학적 지구화학적 연구 Mineralogy and Geochemistry of Uranium-bearing black Slates in the Ogcheon Group, Korea |
1978.9 | 3 | 93-102 (10) | 소칠섭 강정극 |
지하자원/우라늄 | 옥천 누층군 내 탄질셰일층에 부존된 우라늄, 조성광물과 화학 | |
홍제사 화강암의 암석화학 연구 Petrological Study of Hongjesa Granite |
1978.9 | 3 | 103-112 | 나기창 이동진 |
화성암/심성암 | 홍제사 화강암의 주 변성작용은 원생대(1880±32.4 Ma), 최후 변성작용은 쥐라기 초기에 발생하였다. | |
옥천계 함우라늄 지층 주변에 관입·분포하는 화강암류의 지구화학 Geochemical Study of Granite Intrusions in the Area of Uranium Bearing Formation of the Ogcheon System |
1978.9 | 3 | 113-119 (7) | 이민성 | 화성암/심성암 지하자원/우라늄 |
괴산군 옥천 누층군 함우라늄 지층 주변에 분포하는 청주 화강암(대보 화강암류), 속리산 화강암(불국사 화강암류)의 화학, 우라늄 분포상태 | |
경상분지의 층서, 퇴적 및 지구조 (II) (퇴적환경과 구조해석-에너지자원 부존검토를 겸하여) Late Mesozoic Stratigraphy, Sedimentation and Tectonics of Southeastern Korea(II) - with discussion on petroleum possibility |
1978.9 | 3 | 120-135 (16) | 장기홍 | 퇴적암/환경 | 경상 분지의 퇴적 중 서북서 방향의 단층이 활동, 화산성 구조함몰, 경상 누층군 내 무연탄과 석유 산출은 없음, 석유 저류층이 될 만한 사암 지층도 없음 | |
연화광산 지역에 있어서의 조선계누층의 구조암석, 화학성분 및 퇴적환경 Petrography, Chemical Composition, and Depositional Environments of the Cambro-Ordovician Sedimentary Sequence in the Yeonhwa I Mine Area, Southeastern Taebaegsan Region, Korea |
1978.12 | 4 | 145-174 (30) | 윤석규 | 퇴적암/암상 퇴적암/환경 |
제1연화광산의 조선 누층군 묘봉층과 풍촌 석회암층의 암상과 화학 | |
한국 울산지역 마이오세 화봉리층산 Dasybatus nipponensis Hatai and Kotaka Dasybatus nipponensis Hatai and Kotaka from the Miocene Hwabongri Formation, Ulsan District, Korea |
1978.12 | 4 | 186-194 (9) | 윤선 코타카 권명미 |
퇴적암/화석 지역/울산 |
울산광역시 신생대 마이오세 화봉리층에서 발견된 화석 Dasybatus nipponensis Hatai and Kotaka | |
15권 (1979년) | |||||||
울산분지의 제3기층 2. 연체동물화석 The Tertiary Deposits of the Ulsan Basin No. 2. Molluscan Fossils |
1979.3 | 1 | 1-35 (35) | 윤선 | 퇴적암/화석 지역/울산 |
울산광역시 울산 분지 제3기 마이오세 신현층과 화봉리층의 화석과 대비 | |
한국의 중부 오오도비스계에서 산출된 코노돈트 화석군의 생층서 대비와 생물구 특성에 관한 연구 - 영흥층의 코노돈트 화석군을 중심으로 A Study on Biostratigraphy and Bioprovince of the Middle Ordovician Conodonts from South Korea :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Conodonts from the Yeongheung Formation |
1979.3 | 1 | 37-60 (24) | 이하영 | 퇴적암/화석 | 조선 누층군 영흥층에서 산출된 코노돈트 화석 | |
경기육괴에서의 변성작용 및 연천변성대와 옥천변성대와의 비교(II): 경기육괴의 변성작용 및 변성상 Regional Metamorphism in Gyeonggi Massif with Comparative Studies between Yeoncheon and Ogcheon Metamorphic Belts(II) : On the Metamorphism and Metamorphic Facies of Gyeonggi Massif |
1979.3 | 1 | 67-88 (22) | 나기창 | 변성암 | 경기 육괴 내 경기변성암복합체와 연천층군의 변성상 | |
연화-울진 연·아연 광산지대 화성암류의 K-Ar 연대에 대하여 K-Ar Geochronology of Igneous Rocks in the Yeonhwa-Ulchin Zinc-Lead District and Southern Margin of the Taebaegsan Basin, Korea |
1979.3 | 1 | 89-99 (11) | 윤석규 실버만 |
지질시대/절대연령 화성암 |
연화광산~울진군 지역 알칼리계 화성암류의 칼륨-아르곤 연대 측정값 | |
충북 단양 부근의 쥬라기 사평리층의 석회암력에서 산출되는 방추충에 관한 연구 Fusulinids from the Limestone Gravels of the Jurassic Sapyeongri Formation, Danyang Coalfield, Korea |
1979.6 | 2 | 168-182 (15) | 정창희 박인수 |
퇴적암/화석 | 대동 누층군 반송층군 사평리층의 역암을 구성하는 석회암력에서 발견된 방추충 화석 | |
갑산층에서 발견된 식물화석 Linopteris neuropteroides와 Linopteris sp. cf. L. neuropteroides Some Plant Fossils, Linopteris neuropteroides and Linopteris sp. cf. L. neuropteroides, from the Gabsan Formation, Korea |
1979.9 | 3 | 192-200 | 전희영 | 퇴적암/화석 | 갑산층 하부 층준에서 발견되어 Neuropteris sp.로 발표되었던 식물화석이 Linopteris neuropteroides로 밝혀졌다. 지질시대는 홍점층에 대비된다. | |
광주단층 일대의 지질과 지연대 Geology and Geochronology of Gwangju Fault Area |
1979.9 | 3 | 201-208 (8) | 백광호 윤건신 김의홍 Michael H. Freeland |
지질구조/단층 | 광주광역시 서쪽 약 20 km를 지나는 광주 단층의 생성 연대와 해당 지역의 층서, 암석 | |
한반도의 지각구조에 관한 연구 On Crustal Structure of the Korean Peninsula |
1979.12 | 4 | 253-258 (6) | 이기화 | 지질재해/지진 | 한반도의 지체구조 분석을 위해 지리산 쌍계사 지진의 주시 자료를 분석하고, 지각의 두께는 약 35 km, P파 및 S파의 속도는 각각 초속 5.8 km 및 3.5 km이다. | |
부산 황령산 일대의 구상 반려암질암에 대한 연구 Orbicular Gabbroic Rocks from the Hwangryeong Mountain District, Pusan, Korea |
1979.12 | 4 | 295-313 (19) | 김형식 김진섭 김항묵 |
지질유산 지역/부산 |
![]() | |
닫기
1980년대
1980년대는 지질학회의 성숙기로 1970년대와 마찬가지로 1:5만 지질도폭 조사에 여러 지질학자들이 참여하였다. 또한 1980년대를 시작으로 대한지질학회를 모체로 하는 학회들이 지질학의 각 분야들로 독립해 나갔는데, 한국고생물학회(1984년 6월), 한국제4기학회(1985년 3월)가 있다. 1987년에는 대한지질학회 창립 40주년을 기념하여 영문판 《Geology of Korea》(한국의 지질)을 발간하였다. 국제지질과학연합(IUGS)의 학술총회 IGC에도 꾸준히 참석했는데, 1980년 7월 프랑스 파리(제26차), 1984년 월 소련 모스크바(제27차), 1988년 7월 미국 워싱턴 D.C.(제28차)에 이상만, 김봉균, 이대성, 김종수, 김수진 등 여러 회원이 참여했다.[2] 한국의 원로 지질학자이자 대한지질학회 초대 회장인 박동길이 1983년 2월 작고하여, 이정환(李正煥) 당시 대한지질학회장은 1983년 6월 지질학회지 19권 2호에서 박동길을 한국 지질학계의 선구자이자 지질학자들과 광산기술자의 존경의 대상이 된다고 논평하였다.
1980년대의 중요한 연구로, 1982년 1월 경북대학교의 양승영은 경상남도 고성군 덕명리 해안의 경상 누층군 진동층에서 국내에서 손꼽히는 공룡 발자국 화석 산지이자 세계 최대의 새발자국 화석 산지인 고성 덕명리 공룡과 새발자국 화석산지를 발견하여 공룡 발자국 화석을 기재하였다. 이기화(1983, 1985, 1986)는 한국의 지진을 연구했으며, 한국의 역사 지진을 분석하고, 1978년 홍성 지진이 발생한 홍성읍 지역에서 단층을 발견하였으며, 양산 단층의 미소 지진 활동을 처음으로 보고하였다. 박병권과 한상준(1986, 1987)은 조선 누층군 풍촌 석회암층의 암상에 대해 집중적으로 연구하였다. 김인수와 강희철(1989)은 제3기 분지에서 고지자기 연구를 실시하여, 포항 이남 제3기 분지의 지층들이 1600만 년 전 중기 마이오세 이후 시계방향으로 평균 약 55°회전하였고 이러한 회전 운동은 양산 단층의 우수향 주향이동을 일으켰으며 이는 동해의 확장에 기인한 것이라고 설명하였다.
1980년대 대한지질학회의 주요 논문 저자는 아래와 같다. (가나다순)
- 경재복(慶在福): 서울대학교 지질과학과[3], '87년 9월 23권 3호 최초 등장
- 김영기(金永琪): 경북대학교 지질학과
- 김영화(金永和): 강원대학교 지질학과
- 김인수(金): 부산대학교 지질학과, '88년 9월 24권 3호 최초 등장
- 김정률(金正律): 서울대학교 지질과학과
- 김정환(金貞煥): 서울대학교 지질과학과
- 김항묵(金恒默): 서울대학교 지질과학과
- 박병권(朴炳權): 육군사관학교 환경학과, 조선 누층군 풍촌 석회암층, 세송층, 화절층 연구
- 백인성(白仁成): 부산대학교 지질학과
- 소칠섭(蘇七燮): 고려대학교 지질학과
- 양승영(梁承榮): 경북대학교 지질학과
- 원종관(元鍾寬): 건국대학교 문이과대학
- 윤선(尹先): 부산대학교 지질학과
- 이기화(李基和): 서울대학교 지질과학과, 한국의 지진 및 양산 단층 연구
- 이상만(李商萬): 서울대학교 지질과학과
- 이용일(李): 서울대학교 지질과학과
- 이종혁(李鍾革): 강원대학교 지질학과
- 장기홍(章基弘): 경북대학교 지질학과
- 장태우(張泰雨): 경북대학교 지질학과, '85년 9월 21권 3호 최초 등장
- 정봉일(鄭鳳日): 지질학계 원로, 서울대학교 지질과학과
- 정창희(鄭昌熙): 지질학계 원로, 서울대학교 지질과학과
- 진명식(陳明植):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의 화강암 연구
- 최덕근(崔德根): 서울대학교 지질과학과, 한국의 화석 연구
- 최현일(崔現日):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홍영국(洪永國):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자세한 정보 논문 제목 및 url 링크, 날짜 ...
논문 제목 및 url 링크 | 날짜 | 호 | 쪽 (수) | 저자 | 범주 | 내용 | |
---|---|---|---|---|---|---|---|
16권 (1980년) | |||||||
남한의 쥬라기 화강암질암과 백악기 화강암질암의 지구화학 및 동위원소 비교 Geological and Isotopic Contrasts of the Jurassic and the Cretaceous Granites in South Korea |
1980.12 | 4 | 205-215 (11) | 진명식 | 화성암/심성암 | 쥐라기 대보 화강암과 백악기 불국사 화강암의 화학, 동위원소비, 광화작용 | |
17권 (1981년) | |||||||
강원도에 분포하는 풍촌 및 화절층에 관한 퇴적학적 연구 Sedimentological Study on the Pungchon and the Hwajeol Formations, Gangweon-do, Korea |
1981.12 | 4 | 225-240 (16) | 김정률 박용안 |
퇴적암/환경 | 삼척탄전 지역 풍촌 석회암층과 화절층의 퇴적환경 | |
한국의 고지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istorical Earthquakes in Korea |
1981.12 | 4 | 257-268 (12) | 정봉일 | 지질재해/지진 | 서기 0년부터 1900년까지 한반도에서 총 1766회의 지진이 발생 | |
덕산온천지구의 지열상태에 관한 지질학적 및 지구물리학적 조사연구 Geological and Geophysical Studies on the Geothermal State in the Duksan Hot Spring Area |
1981.12 | 4 | 269-280 (12) | 정봉일 이기화 |
지하수/온천 | 덕산온천의 지온, 방사선량, 선구조 | |
포항지역의 단열현상에 대한 지질공학적 고찰 Studies in the Viewpoint of Engineering Geology on Active Faults in Pohang Area |
1981.12 | 4 | 281-293 (13) | 김영기 | 지질구조/절리 지질구조/단층 지역/포항 |
포항시 괴동동, 동촌동, 장흥동 지역의 절리와 단층 | |
18권 (1982년) | |||||||
상부경상층군에서 발견된 백악기 공룡의 족흔화석에 관하여 On the Dinosaur's Footprints from the Upper Cretaceous Gyeongsang Group, Korea |
1982.3 | 1 | 37-48 (12) | 양승영 | 퇴적암/화석 지역/고성 |
경상남도 고성군 하이면 덕명리 해안가 경상 누층군 진동층에서 발견된 공룡 발자국 화석 | |
한국 제3기 포항분지에서의 Vicarya의 발견 Discovery of Vicarya from the Tertiary Pohang Basin, Korea |
1982.3 | 1 | 49-52 (4) | 윤선 이상훈 |
퇴적암/화석 지역/포항 |
포항 분지의 천곡사층에서 발견된 바카르야(Vicarya) 화석 | |
Trigonioidcs(s.s) kodairai의 모식지 일대의 지질과 낙동아층군의 지질시대 Geology around the Type-Locality of Trigonioides(s.s.) kodairai and Age of the Nagdong Subgroup |
1982.6 | 2 | 67-72 (6) | 양승영 | 퇴적암/화석 지역/하동 |
하동군 금남면의 경상 누층군 하산동층에서 발견된 이매패류 화석 | |
구조선 예상지역에 있어서의 물리조사 상용례 An Example of a Geophysical Survey in an Inferred Fault Area |
1982.6 | 2 | 73-82 (10) | 김영화 | 지하수 지역/거제 |
거제시 장승포동 옥명리 일대에서 지하수 조사를 위한 지구물리탐사 | |
남한에 분포하는 화강암류의 암석화학적 연구 The Petrochemical Study of the Granitoids in South Korea |
1982.9 | 3 | 132-148 (17) | 박미령 김규한 |
화성암/심성암 | 대한민국의 쥐라기 대보 화강암류와 백악기 불국사 화강암류에 대한 산출 상태와 분포, 암석화학, 광상 | |
지천면 일대에 분포하는 진주층의 분리면에 대한 역학적 고찰 Kinematic Consideration on the Discontinuous Plane of Jinju Formation in Jicheon-Myeon |
1982.9 | 3 | 156-166 (11) | 김영기 석종기 정교철 |
지질구조/절리 지역/칠곡 |
칠곡군 지천면 경상 누층군 진주층에 발달한 불연속면(절리)에 대한 역학적 연구 | |
한국 어일분지의 제3기 층서 Tertiary Stratigraphy of the Eoil Basin, Korea |
1982.12 | 4 | 173-180 (8) | 윤선 | 퇴적암/층서 | 어일 분지의 제3기 지층 층서 | |
의성군 탑리 부근의 공룡지골화석 Occurrence of a Dinosaur Limb Bone near Tabni, Southern Korea |
1982.12 | 4 | 195-202 (8) | 장기홍 서승조 박순옥 |
퇴적암/화석 지역/의성 |
의성군 금성면 탑리와 청로동 사이 경상 누층군 후평동층 구계동층원 하부에서 발견된 공룡 뼈 화석 | |
19권 (1983년) | |||||||
추가령열곡의 지구조적해석 Geotectonic Interpretation of Choogaryong Rift Valley, Korea |
1983.3 | 1 | 19-38 (20) | 이대성 유기주 백광호 |
지질시대/절대연령 화성암/화산암 지질구조 |
추가령 구조곡 현무암의 지질시대(플라이스토세에 분출)와 고지자기 | |
한국의 댐 기초지반과 그 처리 Basements of Dams and Dam Building in Korea |
1983.6 | 2 | 85-100 (16) | 양재만 | 기타 | 대한민국의 댐의 기초지반과 기반암 불량의 문제 | |
한국지질학계의 선구자 운암 박동길 박사(1897년 8월~1983년 2월) | 1983.6 | 2 | 112-113 (2) | 이정환 | 기타 | 대한민국의 지질학자 박동길에 대한 평가와 이력 | |
한국에서 발견된 백악기 공룡화석과 그 층서 Cretaceous Dinosaurs from Korea |
1983.9 | 3 | 115-126 (12) | 김항묵 | 퇴적암/화석 | 한국의 공룡화석 산지(의성군 탑리, 합천군 지릿재, 고성군 하이면 해안)의 층서와 공룡화석의 기재 | |
양산단층의 미진활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f Microearthquake Activity of the Yangsan Fault |
1983.9 | 3 | 127-135 (9) | 이기화 나성호 |
지질재해/지진 지질구조/단층 |
양산 단층에서 발생한 미소 지진 | |
한반도에서의 제4계 화산활동에 관한 연구 - 추가령구조곡 내에서 A Study on the Quarternary Volcanism in the Korean Peninsula - in the Choogaryong Rift Valley |
1983.9 | 3 | 159-168 (10) | 원종관 | 화성암/화산암 지질구조/단층 |
추가령 구조곡 지역 현무암의 구성 광물, 화학 | |
단양·영춘지역에 분포된 흥월리층에 관한 퇴적암석학적 연구 Sedimentary Petrological Study on the Heungwolri Formation |
1983.9 | 3 | 190-202 (13) | 이원국 | 퇴적암/지층 지역/단양 |
조선 누층군 흥월리층의 암상, 퇴적구조, 층서적 위치, 화학성분 돌로마이트의 산출상태 | |
영월탄전 밤치층의 석회암에서 산출되는 페름기 방추충 Permian Fusulinids from the Limestones of the Bamchi Formation, Yeongweol Coalfield, Korea |
1983.12 | 4 | 203-226 | 정창희 김봉균 이창진 |
퇴적암/화석 지역/영월 |
영월탄전의 평안 누층군 밤치층 석회암 지층에서 산출된 방추충 화석 | |
한국 포항분지에서 발견된 마이오세 Archaeomondas 화석 Miocene Archaeomonads from Pohang Area, Korea |
1983.12 | 4 | 247-251 (5) | 신이링 김봉균 |
퇴적암/화석 지역/포항 |
포항 분지 송학동층과 이동층에서 발견된 마이오세 Archaeomonads 화석 | |
신제3기 포항분지 동부 연변(칠포부근)의 층서 Stratigraphy of East Margin of the Pohang Tertiary Basin near Chilpo |
1983.12 | 4 | 252-257 (6) | 윤혜수 김봉균 |
퇴적암/지층 지역/포항 |
흥해읍 칠포리~오도리 일대의 '두호층'은 백악기 지층과 천북 역암층, 학림층으로 재분류되어 포항 분지의 동부 경계가 발견되었다고 주장 | |
20권 (1984년) | |||||||
화왕산 및 영추산일대 화강암류의 암석학적 연구 Petrology of Granitoid in Mt. Hwawang and Mt. Youngchu Area |
1984.3 | 1 | 1-14 (14) | 김중욱 이윤종 |
화성암/심성암 지역/창녕 |
화왕산과 영추산 일대 화강암류의 구성성분과 화학 | |
한국묘곡층산 연체동물화석군에 관한 고생물학적 연구(이부) Paleontological Study on the Molluscan Fauna from Myogog Formation, Korea. (pt. 2) |
1984.3 | 1 | 15-27 (13) | 양승영 | 퇴적암/화석 | 묘곡층에서 발견된 이매패, 소라류 화석 | |
경상속 유천층군 기저의 부정합 Unconformity at the Base of the Late Cretaceous Yucheon Group |
1984.3 | 1 | 41-50 (10) | 장기홍 외 | 퇴적암/층서 | 경상 누층군 하양층군과 유천층군의 광역적 부정합 관계, 유천층군 고성층의 층서 | |
쥬라기 서울 및 안양화강암의 암석지화학적 연구 Petrology and Geochemistry of Jurassic Seoul and Anyang Granites, Korea |
1984.3 | 1 | 51-71 (21) | 홍영국 | 화성암/심성암 지역/서울 |
쥐라기 서울 화강암 및 안양 화강암의 암석 구성성분, 화학, 광물, 미량 및 희유원소 | |
남한의 동위원소 수문학에 관한 연구 Studies on Isotope Hydrology in South Korea |
1984.3 | 1 | 72-84 (13) | 한정상 안종성 이창근 |
지하수 | 방사성 동위원소을 이용한 지하수와 지표수의 상관관계 분석 (한강 하류, 서울특별시와 교외, 한강 상류 석회암지대, 제주도 지역) | |
장기지역의 제3기 응회암질 암석에 부존하는 불석 및 스멕타이트에 관한 성인적 연구 Genesis of Zeolites and Smectites from the Tertiary Tuffaceous Rocks in Janggi Area |
1984.6 | 2 | 97-114 (18) | 노진환 | 지하자원/광물 | 장기 분지 지역에서의 비석(沸石, zeolite)과 녹점토(綠粘土, smectite) 산출 | |
소위 율리층군 및 원남층군의 변성암석학적 연구 Metamorphic Studies on the so-called Yulri and Weonnam Groups in the Mt. Taebaeg Area |
1984.9 | 3 | 195-214 (20) | 이상만 김형식 |
퇴적암/암상 지역/봉화 |
봉화군 북부 선캄브리아기 변성퇴적암 율리층군과 원남층군의 일반지질, 화학조성, 광물, 변성작용 | |
한국 이동 및 포항층(마이오세세산 타스마니티드) Tasmanitids from Idong and Pohang (Miocene) Formations of Korea |
1984.9 | 3 | 215-221 (7) | 최덕근 봉필윤 김봉균 |
퇴적암/화석 지역/포항 |
포항 분지의 이동층과 포항층에서 산출된 2종의 Tasmanitids 화석 기재 | |
양산단층지역의 지구물리학적 연구 A Geophysical Study of the Yangsan Fault Area |
1984.9 | 3 | 222-240 (19) | 이기화 정봉일 김영화 양승진 |
지질재해/지진 지질구조/단층 |
경상 분지 내 가장 높은 지진활동은 양산 단층과 연관되어 발생했으며 1982년 8~12월 사이 100여 차례의 미소 지진들이 양산 단층, 동래 단층에서 발생했다. | |
엔트로피 극대법에 의한 한반도 고지진 시계열의 스펙트럼 분석 Maximum Entropy Spectral Analysis for Ancient Earthquake Records in Korean Peninsula |
1984.9 | 3 | 241-251 (11) | 홍순복 | 지질재해/지진 | 서기 1029년에서 1879년까지 발생한 한국의 지진 기록을 분석하고 1년 주기의 절정기(peak)가 나타났으나 그 원인은 알지 못하였다. | |
한국 제3기 포항분지의 고환경 - 1. 고해안선 Paleoenvironments of the Tertiary Pohang Basin, Korea : No. 1. The paleocoastal line |
1984.9 | 3 | 252-255 (4) | 윤선 | 퇴적암/화석 | 포항 분지 천곡사층에서 산출되는 화석 대비로 마이오세 포항 분지의 고(古)해안선을 설정하였다. | |
남한에 분포되어 있는 쥬라기 및 백악기 화강암류에 함유되어 있는 인회석의 휫션트랙 연대측정에 대하여 Fission Track Dating of Apatite from the Jurassic and Cretaceous Granites in South Korea |
1984.12 | 4 | 257-265 (9) | 진명식 글래도 로버링 |
지질시대/절대연령 | 대보 화강암과 불국사 화강암에서 인회석을 채취하여 피션트랙(Fission Track) 절대연령 측정을 실시. 연대와 시료 채취지점의 고도와의 관계는 한반도가 제3기 중 100만 년에 약 20 m 상승했음을 지시 | |
부암스카른광상의 광물지화학 및 유체포유물 연구 Mineral Geochemistry and Fluid Inclusion Study On the Buam Skarn Deposit |
1984.12 | 4 | 266-281 (16) | 문건주 | 지하자원/광상 지역/청주 |
청주시 부근 부암 회중석 스카른광상의 지질, 광체(Orebody), 구성 광물과 화학조성, 유체포유물 | |
한국 산내중석광산의 유황동위원소, 유체포유물 및 희유원소 연구와 그의 탐사에의 활용 S Isotope, Fluid Inclusion and Trace Element Studies of the Sannae Tungsten Deposit and its Application to the Ore Prospecting |
1984.12 | 4 | 282-295 (14) | 소칠섭 | 지하자원/광상 지역/밀양 |
밀양시 산내면 중석광상의 지질, 광물, 광화시기, 유체포유물 | |
울릉도의 화산활동과 암석학적 특성 The Volcanism and Petrology of alkali Volcanic rocks, Ulrung Island |
1984.12 | 4 | 296-305 (10) | 원종관 이문원 |
화성암/화산암 지역/울릉도 |
울릉도의 화산활동과 화산암의 화학과 기원 | |
제주화산암류에 함유된 mafic 포획암 Petrology of mafic inclusion in Jeju volcanic rocks |
1984.12 | 4 | 306-313 (8) | 이문원 | 화성암/화산암 기타암석/포획암 지역/제주도 |
제주도 화산암에 포획된 고철질암의 화학조성과 성인 | |
부산 화강암지역의 지반응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arth stress of the granite area in Pusan, Korea |
1984.12 | 4 | 314-325 (12) | 최재우 김정진 김영기 |
화성암/심성암 지질구조/절리 지역/부산 |
부산광역시 금정산 남측 화강암체의 절리와 지반 응력 | |
영월탄전 요봉층 하부에서 산출된 바쉬키리안 방추충 Bashkirian Fusulinids from the Lower Part of the Yobong Formation, Yeongweol Coalfield, Korea |
1984.12 | 4 | 345-359 (15) | 이창진 | 퇴적암/화석 지역/영월 |
영월탄전 지역 요봉층에서 산출된 방추충 화석 | |
21권 (1985년~1986년 1월) | |||||||
삼보광산산 주광석광물의 특성연구 Physical properties of Major Ore Minerals from the Sambo Lead-Zinc-Barite Mine |
1985.3 | 1 | 1-25 (25) | 박맹언 성우현 최상훈 |
지하자원/광상 지역/화성 |
경기도 남양군 봉담읍에 소재한 삼보 연-아연-중석광상 | |
백악기 경상분지의 퇴적과 그의 층서분류와의 연관성 Sedimentology and Its Implications for Stratigraphic Classifications of the Cretaceous Gyeongsang Basin |
1985.3 | 1 | 26-37 (12) | 최현일 | 퇴적암/층서 | 경상 누층군의 층서와 퇴적 구조 | |
양산단층의 활성문제에 관하여 On the Seismic Activity of the Yangsan Fault |
1985.3 | 1 | 38-44 (7) | 이기화 | 지질재해/지진 지질구조/단층 |
양산 단층의 활동성과 관련하여, 김성균과 조동행(1984)의 주장을 반박하였다. | |
남한 강원도 평창 삼방산 지역에 분포하는 삼방산층에서 산출된 삼엽충화석군 Trilobites from the Sambangsan Formation in the eastern side of the Pyeongchang Area, Kangweon-Do, South Korea |
1985.3 | 1 | 45-49 (5) | 김인석 정창희 이하영 |
퇴적암/화석 | 조선 누층군 삼방산층에서 산출된 캄브리아기의 삼엽충 화석의 보고 | |
부산 영도일대의 구상호온펠스에 대한 연구 Orbicular Hornfelses from the Yeongdo District, Pusan, Korea |
1985.3 | 1 | 50-62 (13) | 김형식 김영균 정호종 김항묵 |
기타암석/특이암석 지역/부산 |
부산광역시 영도 지역의 응회암질 지층에서 발견된 구상(球狀) 혼펠스 | |
남한에 분포되어 있는 백악기 화강암류의 화학조성과 구조적환경에 대하여 A Relationship between Tectonic Setting and Chemical Composition of the Cretaceous Granitic Rocks in Southern Korea |
1985.6 | 2 | 67-73 (7) | 진명식 | 화성암/심성암 | 한반도 남부 경상 분지에 분포하는 백악기~제3기 화강암에서 134개의 시료를 채취하여 화학분석을 실시, 마그마가 진화하는 동안 지각의 두께는 30 km 내외 | |
한국 주변 지역의 지열류량과 환산지열류량에 관하여 On the Regional Heat Flow around Korea and Reduced Heat Flow |
1985.6 | 2 | 74-78 (5) | 한욱 채프맨 |
기타 | 한국의 지열류량의 상승현상은 지표에 분포하는 방사능과 관련 있음 | |
양산단층지역의 지구물리학적 연구 (II) A Geophysical Study of the Yangsan Fault Area (II) |
1985.6 | 2 | 79-89 (11) | 이기화 정봉일 김영화 |
지질구조/단층 지역/울산 |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서면에서 중력, 지전기, 방사능 탐사를 실시하였고 양산 단층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 |
한굮 동남부에 분포하는 백악기 언양 및 유천화강암의 지구화학 연구 Geochemistry of the Cretaceous Eonyang and Yoocheon granites in the Southeastern Korea |
1985.6 | 2 | 90-108 (19) | 홍영국 | 심성암/화성암 | 경상 분지에 분포하는 백악기 언양 화강암 및 유천 화강암의 지화학, 원소 함량 | |
홍성일대의 중력탐사 A Gravity Survey of the Hongsung Area |
1985.9 | 3 | 127-132 (6) | 이기화 장태우 |
지질재해/지진 지질구조/단층 지역/홍성 |
홍성군 홍성읍 일대에서 중력 탐사를 실시한 결과 홍성읍을 통과하는 동북동 주향의 단층이 발견되었다. 중력 이상은 단층과 같은 방향으로 향하며 단층 지역의 쇄설성 퇴적물은 40 m 깊이까지 연장된다. | |
전남 영광 부근 화강석 mylonite 미구조의 순차적 발달 Sequential Development of the Microstructures of Granite Mylonite in the Vicinity of Yŏngguang-ŭp, Chŏllanam-do |
1985.9 | 3 | 133-146 (14) | 장태우 | 기타암석/압쇄암 지역/영광 |
영광군 영광읍 부근 쥐라기 화강암체 내 발달한 연성 전단대에서 발견된 압쇄암(Mylonite) | |
조선누층군 상부 캠브리아계 화절층 Rhythmite의 성인 Genesis of the Rhythmite of Upper Cambrian Hwajeol Formation, Joseon Supergroup, Korea |
1985.9 | 3 | 184-195 (12) | 박병권 | 기타암석/특이암석 | 조선 누층군 화절층 상부에 발달하는 리듬암(rhythmite)의 특성과 성인(成因) | |
강원도 장성의 조선계 막골층에서 산출되는 증발잔류암 광물의 캐스트 Evaporite Mineral Casts in the Maggol Formation(Ordovician), Jangseong, Kangweondo |
1986.1 | 4 | 219-226 (8) | 백인성 | 기타암석/증발암 지역/태백 |
태백시 장성동 조선 누층군 막골층 상부에서 발견된 증발잔류암의 캐스트 | |
한반도의 지진위험도에 관한 연구 (I) Studies on the Seismic Risk of the Korean Peninsula (I) |
1986.1 | 4 | 227-240 (14) | 이기화 이민성 권병두 양우선 |
지질재해/지진 | 서기 2년부터 1982년까지 한반도와 그 인근 지역에서 발생한 지진 중 MM 진도 V 이상의 923개 지진을 분석하여 한국의 지진위험도를 평가하였다. | |
중부 캠브리아계 조선 누층군 세송스레이트층의 퇴적환경 : 고기 해저 선상지 퇴적층 Depositional environments of the Middle Cambrian Sesong Slate Formation, Joseon Supergroup, Korea: and ancient submarine fan deposits |
1986.1 | 4 | 241-259 (19) | 박병권 오재경 윤호일 |
퇴적암/암상 퇴적암/환경 |
조선 누층군 세송층의 암상과 퇴적환경 | |
한반도 남부의 제4기 화산암류와 이들의 tectonic한 환경 Study on the Quaternary Volcanics and their Tectonic Environment of Southern Korea |
1986.1 | 4 | 260-280 (21) | 이민성 전용원 |
화성암/화산암 | 한반도 추가령 구조곡, 울릉도, 제주도 지역 제4기 화산암의 화학조성 및 마그마 발생 심도 | |
한국 동남해안과 그 해역에서의 백악기-신제3기 층서변이와 경상퇴적 이후의 조구조석 발전 Cretaceous/Neogene Stratigraphic Transition and Post-Gyeongsang Tectonic Evolution Along and off the Southeast Coast,, Korea |
1986.1 | 4 | 281-296 (16) | 최현일 박관순 |
퇴적암/층서 지질구조 |
한반도 남동부 해안과 연근해역에서의 제3기 층서, 지질구조 | |
22권 (1986년 3월~12월) | |||||||
한반도 지각의 진화에 관한 연구 : 태백산 동부지역을 중심으로 - I 편: 삼척탄전 동부의 층서, 고생물 및 지질구조 Crustal Evolu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eastern part of Mt. Taebaeg Area : Part I: Stratigraphy, Paleontology and the Geologic Structure in the Eastern Part of the Samcheog Coalfield |
1986.3 | 1 | 21-39 (19) | 김봉균 정창희 백광호 김정환 김정률 |
퇴적암/화석 지질구조 지역/삼척 |
조선 누층군 두위봉층에서 발견된 두족류 화석과 도계 지역의 지질구조 | |
중부 캠브리아계 풍촌석회암층의 탄소 및 산소 동위원소 성분 Carbon and Oxygen Isotopic Composition of the Middle Cambrian Pungchon Limestone Formation, Korea |
1986.3 | 1 | 40-52 (13) | 박병권 우경식 |
퇴적암/환경 | 풍촌 석회암층 탄산염암의 탄소, 산소 동위원소 값과 퇴적환경 | |
강원도 영월-평창간에 분포하는 삼방산층과 이에 인접한 퇴적층의 퇴적, 층서 및 고생물학적 연구 Sedimentological, Stratigraphical and Paleontological Study on the Sambangsan Formation and Its Adjacent Formations in the Yeongweol-Pyeongchang Area, Kangweondo |
1986.3 | 1 | 69-86 (18) | 이하영 유강민 이종덕 |
퇴적암/화석 | 조선 누층군 삼방산층의 암상과 화석 | |
경북 부구지역 화강편마암내의 지하수 유동 The Flow of Ground Water in Granite Gneisses of the Buku Area, Korea |
1986.3 | 1 | 87-100 (14) | 김영기 성익환 |
지하수 지역/울진 |
울진군 부구리 화강편마암 내 지하수 유동 상태 | |
중부 캠브리아계 풍촌석회암층의 미량 원소 Trace Elements of the Middle Cambrian Pungchon Limestone Formation, Korea |
1986.6 | 2 | 105-122 (18) | 박병권 한상준 |
퇴적암/환경 | 조선 누층군 풍촌 석회암층의 미량원소 함량과 퇴적환경 | |
문경탄전 오정산 일대의 지질구조 Structures of the Ojeongsan Area, Mungyeong Coalfield, South Korea |
1986.6 | 2 | 135-145 (11) | 김정환 | 지질구조/단층 지역/문경 |
문경탄전 오정산 하부의 스러스트 단층 | |
한반도의 지진활동(I): 홍성 일대의 지진활동 eismicity of the Korean Peninsula (I): Seismicity of the Hongsung Area |
1986.6 | 2 | 164-175 (12) | 이기화 정봉일 김광호 |
지질재해/지진 | ||
중부 캠브리아기 우이드 여울 퇴적층 : 풍촌석회암층 하부의 어란상 탄산염암 Middle Cambrian Ooid Shoal Deposits: The Oolitic Carbonate Rocks of Lower Pungchon Limestone Formation, Korea |
1986.9 | 3 | 183-199 (17) | 박병권 한상준 |
퇴적암/탄산염암 | 조선 누층군 풍촌 석회암층의 어란상 탄산염암 | |
경상분지 남서부 신동층군 사암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Sandstone Petrology of the Sindong Group, Southwestern Part of the Gyeongsang Basin |
1986.9 | 3 | 212-223 (12) | 최현일 | 퇴적암/사암 | 경상 누층군 신동층군(낙동층, 하산동층, 진주층)의 사암의 유형과 퇴적물 공급지, 구성 광물 | |
낙동층군의 기원암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ource Rocks of the Nagdong Group |
1986.9 | 3 | 233-256 (24) | 고인석 | 퇴적암 | 경상 누층군 낙동층군(낙동층, 하산동층, 진주층, 칠곡층)의 기원암 | |
삼척-죽변일대 선캠브리아기 편마암류에 관한 변성암석학적 연구 Metamorphic Petrology of Precambrian Gneisses in Samcheok-Jukbyeon Area |
1986.9 | 3 | 257-277 (21) | 이상만 김형식 오인석 |
변성암/편마암 지역/삼척 |
삼척시 선캄브리아기 편마암류의 변성시기, 암석화학 | |
한국산 옥에 대한 광물학적 및 보석학적 연구 A Mineralogical and Gemological Characterization of the Korean Jade from Chuncheon, Korea |
1986.9 | 3 | 278-288 (11) | 김수진 이동진 장세원 |
지하자원/보석 지역/춘천 |
춘천시 옥에 대한 광물학, 화학, 보석학적 연구 | |
23권 (1987년) | |||||||
풍촌석회암층 내에 협재된 캠브리아기 조간대 이암층 Cambrian Peritidal Mudstone Deposits Interbedded in the Pungchon Limestone Formation, Korea |
1987.3 | 1 | 60-66 (7) | 박병권 한종환 한상준 |
퇴적암/이암 퇴적암/환경 |
조선 누층군 풍촌 석회암층 하부에 협재된 이암의 화학성분과 퇴적환경 | |
중부 캠브리아계 풍촌석회암층에 함유된 적색 니질 성분의 기원 Origin of Red Argillaceous Composition in the Middle Cambrian Pungchon Limestone Formation, Korea |
1987.6 | 2 | 97-108 (12) | 박병권 한상준 |
퇴적암 | ||
하부 경상층군에 발달하는 분리면의 특성 연구 Mechanical Properties of Discontinuous Rocks in Lower Kyeongsang Group |
1987.6 | 2 | 120-135 (16) | 김영기 | 지질구조/절리 | 경상 누층군 하부에 발달하는 불연속면(절리)의 연구 | |
삼척탄전 황지일대의 지질구조연구 Structural Analysis of Hwangji-area, Samcheog Coalfield, Korea |
1987.6 | 2 | 136-144 (9) | 김정환 원종호 |
지질구조/단층 지역/태백 |
삼척탄전 태백시 황지동 지역의 지질구조(혈암, 황지, 서북 스러스트 단층) | |
강원도 동점 단층 동부에서의 선캠브리아-캠브리아계의 경계 The Precambrian-Cambrian Boundary in the East of the Dongjeom Fault, Gangweon-do, Korea |
1987.6 | 2 | 145-158 (14) | 김정률 정창희 |
퇴적암/지층 지역/태백 |
태백시 동점 단층 동부에서 선캄브리아기 암석과 캄브리아기 조선 누층군 사이에 있는 면산층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 |
충주일원 활석광상의 성인에 관한 암석학적 연구: 원암의 종류 및 성인 Origin of Talc Deposit in the Chungju Area: Origin and Types of Initial Rocks and their Origin |
1987.6 | 2 | 173-188 (16) | 이종혁 | 지하자원/광상 지역/충주 |
충주시 옥천 누층군 증평층 내 활석광상의 원암과 성인 | |
풍촌석회암층 상부의 중부 캠브리아계 탄산염 초 전사면 퇴적층 Middle Cambrian Carbonate Fore-reef Slope Deposits of the Upper Part of Pungchon Limestone Formation, Korea |
1987.9 | 3 | 195-215 (21) | 박병권 한상준 |
퇴적암/암상 퇴적암/환경 |
조선 누층군 풍촌 석회암층의 암상과 퇴적 환경 해석 | |
한반도의 지진위험도 분석 An Analysis of Seismic Hazard in the Korean Peninsula |
1987.9 | 3 | 229-241 (13) | 경재복 이기화 |
지질재해/지진 | 지진의 분포는 지체구조구의 경계와 지체구조구 내에 발달한 단층들과 연관된다. | |
한반도의 지진활동: 3. 경기육괴의 지진활동 Seismicity of the Korean Peninsula : 3. Seismicity of the Kyeonggi Massif |
1987.9 | 3 | 257-276 (20) | 이기화 권병두 장태우 |
지질재해/지진 | 경기 육괴 지역에서의 지진 활동 | |
포항지역에 분포하는 신제3기 연일층군의 유기지구화학적 연구 Organic Geochemical Study of the Neogene Yeonil Group in Pohang Area, Korea |
1987.9 | 3 | 277-284 (8) | 송요헌 장호완 곽영훈 |
지하자원/석유 지역/포항 |
포항 분지 신생대 연일층군의 유기물질과 석유 부존 가능성 연구 | |
남한에서의 상원계 분포와 그 의의 Geological Significance of the Sangwon System in South Korea |
1987.9 | 3 | 285-286 (2) | 원종관 나기창 이문원 |
퇴적암 | 철원군 김화읍 암정리와 백령도에서 발견된 선캄브리아기 변성퇴적암 상원계 | |
중부 캄브리아계 초 후사면 퇴적층 : 하부 풍촌석회암층에 협재된 탄산염 퇴적층 Middle Cambrian Back-Reef Deposits: Carbonates Interbedded in the Lower Part of Pungchon Limestone Formation, Korea |
1987.12 | 4 | 287-305 (19) | 박병권 한상준 |
퇴적암/암상 퇴적암/환경 |
조선 누층군 풍촌 석회암층의 탄산염 각력암층의 암상과 퇴적 환경 | |
태백시 동점역부근의 하부 오오도비스기 두무골층의 퇴적학 예비연구 Sedimentology of the Dumugol Formation (Lower Ordovician) in the Vicinity of the Dongjeom Station, Taebaeg City: a preliminary study |
1987.12 | 4 | 331-337 (7) | 이용일 최덕근 |
퇴적암/암상 퇴적암/환경 |
조선 누층군 두무골층의 암상과 퇴적환경 | |
남한의 백악기~제3기 화성활동과 지구조적 의의 Igneous Activities of the Cretaceous to the Early Tertiary and their Tectonic Implications in South Korea |
1987.12 | 4 | 338-359 (22) | 이상만 김상욱 진명식 |
화성암/심성암 | 백악기 불국사 화강암류의 분출 및 관입이 백악기 초(120 Ma)에 시작되어 제3기 초까지 단속적으로 진행되었고 이때 한반도와 일본 열도는 인접해 있었으며 마그마의 형성 심도는 180~260 km, 침강하는 해양 지각의 경사는 30°정도이다. | |
백운산 향사지역 남부에 분포하는 중부 오오도비스계 막골층의 퇴적환경 Depositional Environments of the Middle Ordovician Maggol Formation, Southern Part of the Baegunsan Syncline Area |
1987.12 | 4 | 360-373 (14) | 백인성 | 퇴적암/암상 퇴적암/환경 |
백운산 향사대 남측 조선 누층군 막골층의 암상과 화학, 퇴적 환경 | |
태백산 일대 두위봉층(오오도비스계)의 개형충 군집 Ostracodes from the Duwibong Formation (Ordovician) in Taebaek City, Korea |
1987.12 | 4 | 374-380 (7) | 백광호 김봉균 정창희 |
퇴적암/화석 | 조선 누층군 두위봉층에서 발견된 개형충 군집화석의 기재 | |
구룡포에 분포하는 진주암의 생성과 변질작용 Formation and Alteration of Perlite in Guryongpo Area |
1987.12 | 4 | 381-390 (10) | 원종관 노진환 이문원 |
기타암석/특이암석 지역/포항 |
포항시 구룡포 지역에 분포하는 진주암(眞珠岩, perlite) | |
24권 (1988년) | |||||||
구룡포지역에 분포하는 신생대 화산암의 지질과 암석학적 연구 Geology and Petrology of Volcanic Rocks in Guryongpo, Korea |
1988.3 | 1 | 1-15 (15) | 이문원 원종관 백광호 노진환 |
화성암/화산암 지역/포항 |
구룡포 지역 화산암류의 지질, 광물조성, 절대연령측정, 고지자기 측정 | |
한국 포항지역 신제3기층의 연구 - 퇴적암석학적, 고생물학적 및 광물학적 연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Neogene Deposits in the Pohang Basin, Korea: With Emphasis on Sedimentological, Paleontological and Mineralogical Studies |
1988.3 | 1 | 16-30 (15) | 이유대 이재영 이영길 |
퇴적암/사암 지역/포항 |
포항 분지 사암의 광물조성과 퇴적 환경, 규조 화석 | |
경주 남쪽을 중심으로 한 양산단층의 구조에 관한 지전기학적 연구 A Geoelectric Study on the Structure of the Yangsan Fault in the South of Kyeongju |
1988.3 | 1 | 47-61 (15) | 김영화 이기화 |
지질구조/단층 지역/울산 |
울주군 두동면 봉계리-언양읍 간 양산 단층의 조사 | |
한반도 지진위험도의 확률론적 분석(I) A Probabilistic Analysis of the Seismic Risk in Korea (I) |
1988.3 | 1 | 62-70 (9) | 이기화 노명현 |
지질재해/지진 | 한국의 지진위험도 평가 | |
상동지역 금천층의 코뉴라리드 A Conulariid from the Geumcheon Formation (Upper Carboniferous), Sangdong Area, Korea |
1988.6 | 2 | 87-92 | 최덕근 | 퇴적암/화석 | 평안 누층군 금천층의 암회색 셰일에서 발견된 한국 최초의 코뉴라리드 화석 Paraconularia geumcheonensis | |
경북 감포지역 제3기층에 산출되는 불석광물 및 점토광물의 산상 및 분포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Zeolites and Clay Minerals from the Tertiary Rocks in the Gampo Area, Kyeongbuk |
1988.6 | 2 | 105-112 (8) | 황진연 | 지하자원/광물 지역/경주 |
경주시 감포읍 제3기 지층에서 산출되는 변질광물의 광물과 성질 | |
해남 백악기 우항리층의 비투멘(II) : 오조커라이트의 생성 및 이동에 관하여 The Bitumen of the Cretaceous Uhangri Formation (II) : On the Generation and Migration of the Ozocerite |
1988.6 | 2 | 113-126 (14) | 김홍렬 앨런 쿡 |
지하자원/석유 지역/해남 |
우항리층의 역청(bitumen) | |
부산지역 백악기 다대포층에 대한 고자기학적 연구 : 그의 층서적, 지구조적 의의 Palaeomagnetism of Cretaceous Tadaepo Formation, Pusan Area: Its Stratigraphic and Tectonic Significances |
1988.9 | 3 | 211-233 (23) | 김인수 | 퇴적암/대비 | 경상 누층군 다대포층의 고지자기를 조사하고 다대포층이 유천층군이 아니라 하양층군에 대비된다고 주장 | |
태백시남부에 분포하는 중부 오오도비스기 두위봉층의 폭풍의 퇴적작용 Storm Sedimentation in the Middle Ordovician Duwibong Formation, Southern Taebaeg City |
1988.9 | 3 | 234-242 (9) | 이용일 | 퇴적암/환경 | 조선 누층군 두위봉층의 폭풍하 퇴적작용 | |
화산 환상화성암복합체의 발달사 및 콜드른구성 Development and the Structure of Its Cauldron of the Hwasan Ring Igneous Complex, Northern Kyeongsang Basin, Korea |
1988.9 | 3 | 267-288 (22) | 윤성효 | 화성암/화산암 지역/군위 |
대구광역시 군위군 삼국유사면-영천시 화산면 화산 칼데라의 발달 역사와 지질구조 | |
동점지역 두무골층(하부 오오도비스계)의 무척추동물 화석 Invertebrate Fossils from the Dumugol Formation (Lower Ordovician) of Dongjeom Area, Korea |
1988.9 | 3 | 289-305 (17) | 최덕근 이용일 |
퇴적암/화석 지역/태백 |
태백시 구문소 인근 두무골층에서 산출된 12종의 무척추동물 화석 | |
25권 (1989년) | |||||||
황강리층의 석회암력에서 산출된 미화석과 그의 층서적 의의 Discovery of Microfossils from Limestone Pebbles of the Hwanggangri Formation and their Stratigraphic Significance |
1989.3 | 1 | 1-15 (15) | 이재화 이하영 유강민 이병수 |
퇴적암/화석 | 옥천 누층군 황강리층에서 발견된 오르도비스기 화석군 | |
한반도 금-은 열수 광상의 지화학적 연구: 양동지역 광화대 Geochemical Studies of Hydrothermal Gold-Silver Deposits, Republic of Korea : Yangdong Mining District |
1989.3 | 1 | 16-29 (14) | 소칠섭 윤성택 치세정 |
지하자원/광상 지역/양평 |
양평군 양동면 양동 금-은광상의 지질, 광물, 광화작용 | |
치술령지역의 화성암류와 광화작용시기 - 유천층군의 화산활동시기에 대한 고찰 The Age of Granitoid Intrusions and Related Mineralisation in the Chisulryoung Mountain Area, South-East Korea : Constraints on the Age of the Chisulryoung Volcanic Formation and Yucheon Group Volcanism |
1989.3 | 1 | 51-58 (8) | 리드만 박기화 이반 |
퇴적암/지층 화성암/화산암 |
경상 누층군 유천층군 치술령 화산암층에 대한 지질과 칼륨-아르곤 연대 측정 및 화산작용 시기 | |
한반도 지진위험도의 확률론적 분석(II) A Probabilistic Analysis of the Seismic Risk in Korea(II) |
1989.3 | 1 | 59-71 (13) | 이기화 진영근 |
지질재해/지진 | 한국의 지진 위험도의 확률론적 분석 | |
문경탄전 북부지역의 지질구조 Geological Structures of the Northern Part of the Mungyeong Coalfield, Korea |
1989.3 | 1 | 72-81 (10) | 김정환 기원서 김일석 |
지질구조 지역/문경 |
문경탄전 북부지역 지질구조와 부운령 역암층의 분포 | |
삼척군 대이리 동굴군의 관음굴과 환선굴내에 발달한 동굴생성물의 초기 광물성분과 탄산염 속성작용에 관한 연구 Original Mineralogy and Carbonate Diagenesis of Speleothems in Kwanum and Hwansun Cavern, Kangweondo, Korea: Preliminary Results |
1989.3 | 1 | 90-97 (8) | 우경식 원종관 |
지형/동굴 지역/삼척 |
![]() | |
제주도 지하수의 수질특성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in Cheju Island |
1989.9 | 3 | 230-238 (9) | 최순학 김영기 |
지하수 지역/제주 |
제주도 지하수의 지질과 특성 | |
영동분지(백악기)내의 영동단층대 주변의 퇴적학적 특성 Sedimentological Characteristics along Yongdong Fault Zone in Cretaceous Yongdong Basin, Korea |
1989.9 | 3 | 259-272 (14) | 이동우 백광호 |
지질구조/단층 | ||
홍천철광상의 성인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Petrological Studies on the Genesis of the Hongcheon Iron Deposits, Korea |
1989.9 | 3 | 239-258 (20) | 이종혁 이상헌 |
지하자원/광상 지역/홍천 |
||
어일 분지 일대에 분포하는 제3기층에 대한 고자기학적 연구 Palaeomagnetism of Tertiary Rocks in the ?il (Eoil) Basin and its Vicinities, Southeast Korea |
1989.9 | 3 | 273-293 (21) | 김인수 강희철 |
기타 | 포항-울산지역 제3기 퇴적분지에서 보고된 잔류자기의 시계방향 편향 | |
옥천습곡대 서남부의 전단대에 분포하는 순창엽상 화강섬록암의 지화학 및 미구조연구 Geochemical and Microstructural Studies on the Sunchang Foliated Granodiorite at a Shear Zone in the SW Part of the Ogcheon Fold Belt, Korea |
1989.9 | 3 | 294-311 | 홍영국 이병주 |
지질구조/전단대 기타암석/압쇄암 |
남원시-순창군 호남전단대에 발달하는 엽리상 화강섬록암의 압쇄암과 화학, 호남전단대의 연성전단 운동 시기 | |
강원도 태백시 북부지역의 상부 화절층(상부 캄브리아-최하부 오오도비스계)에서 산출된 코노돈트 화석군 Conodonts from the Upper Hwajeol Formation (Upper Cambrian-Lowest Ordovician) in Northern District of Taebaeg City, Kangweon-Do, Korea |
1989.9 | 3 | 322-336 (15) | 이병수 | 퇴적암/화석 지역/태백 |
태백시 북부 하사미동 상부 화절층의 코노돈트 화석과 생층서 | |
강원도 영월 마차리부근 하부 오도비스기 문곡층에 발달된 폭풍퇴적층 Storm Deposits of the Lower Ordovician Mungog Formation in the Vicinity of Machari, Yeongweol, Kangweondo, Korea |
1989.9 | 3 | 337-346 (10) | 백인성 이용일 |
퇴적암/암상 | ||
조선누층군 퇴적암의 퇴적환경과 속성작용: 과거, 현재와 미래 Depositional Environments and Diagenesis of the Sedimentary Rocks, Choseon Supergroup, Korea : Past, Present, and Future; the State of the Art |
1989.9 | 3 | 347-363 (17) | 우경식 박병권 |
퇴적암 | 조선 누층군의 퇴적학적 연구. 기존 논문의 문제점으로 속성 작용 연구의 부재 | |
닫기
1990년대
자세한 정보 논문 제목 및 url 링크, 날짜 ...
논문 제목 및 url 링크 | 날짜 | 호 | 쪽 (수) | 저자 | 범주 | 내용 | |
---|---|---|---|---|---|---|---|
26권 (1990년) | |||||||
대구 지역 백악기 신라역암의 조직과 근원지 Sedimentary Texture and Provenance of the Cretaceous Silla Conglomerate in Daegu Area, Korea |
1990.2 | 1 | 1-11 (11) | 허민 | 퇴적암/지층 퇴적암/역암 지역/대구 |
경상 누층군 신라 역암층의 특성과 기원지 | |
경산지역 함 코발트 유화물 및 유비화물 광화작용의 특성 Mineralization and Paragenesis of the Cobalt-bearing Sulfide and Arsenide Minerals in Gyeongsan Area |
1990.2 | 1 | 18-31 (14) | 박맹언 | 지하자원/광상 지역/경산 |
경산 코발트광산의 광화작용 특성 | |
원주-평창 일대에 분포하는 변성암류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Petrologic Studies on the Metamorphic Rocks in Wonju-P'yongch'ang Area |
1990.2 | 1 | 32-52 (21) | 이상만 김형식 홍성태 박찬수 |
변성암 지역/원주 지역/평창 |
경기 육괴 남동부 원주시~평창군 지역의 선캄브리아기 암석과 변성 작용 | |
경상분지 동남부 일대에 분포하는 백악기 화산암류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Petrology of the Cretaceous Volcanic Rocks in the Southeastern Part of Kyeongsang Basin |
1990.2 | 1 | 53-62 (10) | 김진섭 | 화성암/화산암 지역/부산 |
부산광역시의 경상 누층군 유천층군 화산암류 | |
석탄기 만항층(삼척탄전)과 요봉층 사암의 장석의 부재: 퇴적의 영향 혹은 속성작용의 영향? Absence of Feldspar in Carboniferous Manhang (Samcheog Coalfield) and Yobong Sandstones, Korea |
1990.2 | 1 | 63-69 (7) | 이용일 | 퇴적암/사암 | 삼척탄전 평안 누층군 만항층과 영월탄전 요봉층에서 나타나는 장석의 부재 | |
추가령 알카리 현무암에 대한 지구화학적 연구 The Study on the Geochemistry of Choogaryong Alkali Basalt |
1990.2 | 1 | 70-81 (12) | 원종관 김윤규 이문원 |
화성암/화산암 | 추가령 구조곡 내 알칼리 현무암의 화학 | |
이목화강암의 지구화학적 특징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Imog Granite | 1990.2 | 1 | 82-90 (8) | 이민성 장호완 이용준 |
화성암/심성암 지역/영월 |
영월군 산솔면 이목리 이목 화강암의 지구화학적 특성 | |
경북 영일군 송라면에 분포한 화산암에 대한 불연속면 분포특성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Discontinuity for the Volcanic Rocks distributed in Songrha-myeon, Yeongil-gun, Kyeongbuk |
1990.4 | 2 | 91-104 (14) | 김경수 장춘중 강병무 정지곤 |
지질구조 지역/포항 |
영일군(→포항시) 송라면 지역 화산암의 불연속면(절리, 구조선, 단층)에 대한 연구 | |
울산사문암체의 광물학적·지구화학적 연구 Studies on Mineralogy and Geochemistry of Ulsan Serpentinites in the Ulsan Mine Area, Korea |
1990.4 | 2 | 105-118 (14) | 최수용 황진연 김정진 이윤종 |
지하자원/광물 지역/울산 |
울산철광산(달천철장) 지역 사문암체 | |
백두산의 지질 Geology of the Mt. Paekdu | 1990.4 | 2 | 119-126 (8) | 홍영국 | 지질재해/화산 | 백두산의 화산 활동 | |
경상분지 남부지역, 백악기 및 제삼기 화강암류에 있어서 흑운모의 진화 경로 Characteristics of Evolution Trends of Biotites in the Cretaceous to Tertiary Granitic Rocks of the Southern Gyeongsang Basin, Korea |
1990.4 | 2 | 133-142 (10) | 이윤종 김중옥 |
화성암/심성암 | 경상 분지 내 백악기 및 제3기 화강암의 차이 | |
경상누층군 하부에서 산출되는 Brotiopsis spp. (백악기 비해성 소라류)에 관하여 On the Brotiopsis spp. (Cretaceous Non-Marine Gastropod) from the Lower Formations of Gyeongsang Super Group, Korea |
1990.4 | 2 | 143-153 (11) | 이승수 양승영 이유대 |
퇴적암/화석 | 경상 누층군 하산동층 및 진주층에서 산출되는 Brotiopsis 화석 | |
삼척탄전 증산-사북지역의 지질구조 Geological Structures of Jeungsan-Sabuk Area, Samcheog Coalfield, Korea |
1990.4 | 2 | 154-164 (11) | 김정환 최원학 |
지질구조 지역/정선 |
정선군 증산(민둥산)~사북읍 사북리 지역의 지질과 지질구조, 무릉담 배사 최초 명명 | |
순창함몰대에서의 백악기 화산활동에 대한 연구―경상분지 및 및 서남 일본내대와의 비교 The Study on Cretaceous Volcanism in the Sunchang Trough - Compare Study between Kyeongsang Basin Sunchang Trough and Inner-zone of S-W Japan |
1990.4 | 2 | 165-184 (20) | 원종관 이문원 김광호 홍영국 우준기 이재만 |
순창군 순창함몰대 지역의 화산암 층서와 화학 성분, 암석화학적 특성, 절대 연령 | ||
한국 제3기 양남분지의 페페라이트 1. 매곡의 페페라이트 Peperite in the Tertiary Yangnam Basin, Korea: 1. Peperite at Maegog |
1990.6 | 3 | 187-194 (8) | 윤선 황진연 정차연 |
어일 분지 내 경주시 감포읍 팔조리 매곡 지역의 페페라이트 | ||
경주시 남부 치술령 화산암과 관련된 칼데라 A Downsag Caldera Associated with the Chisulryoung Volcanic Formation, Near Kyeongju City, Southern Korea |
1990.6 | 3 | 213-226 (14) | 박기화 | 화성암/화산암 지역/경주 |
경주시 남부 치술령 지역의 화산암류 치술령 화산암층(CVF) | |
소백산육괴 남서부지역(남원일대)에 분포하는 편마암류의 미량원소함량과 지화학적 연구 Geochemical Study and Abundance of Trace Elements of the Gneisses in the South-Western Region of the Sobaegsan Massif (Namwon Area) |
1990.6 | 3 | 227-234 (8) | 조규성 남기상 |
변성암/편마암 지역/남원 |
남원시 지역 편마암의 기원―흑운모 편마암, 반상변정 편마암, 화강암질편마암, 혼성페그마타이트질편마암은 퇴적 기원의 준편마암, 우백질화강편마암은 이를 관입한 정편마암 | |
후기 석탄기 만항층(삼척탄전)과 요봉층(영월탄전) 사암의 암석상 Petrofacies of the Late Carboniferous Manhang Sandstones, Samcheog Coalfield and Yobong Sandstones, Yeongweol Coalfield |
1990.6 | 3 | 235-239 (5) | 이용일 | 퇴적암/사암 | 평안 누층군 만항층과 요봉층 사암의 비교 | |
주향이동성 단층 기원인 영동 분지의 진화: 주향이동형 구조운동에 수반된 퇴적 작용을 중심으로 Evolution of Strike-Slip Fault-Controlled Cretaceous Yongdong Basin, South Korea: Signs of Strike-Slip Tectonics During Infilling |
1990.6 | 3 | 257-276 (20) | 이동우 백광호 |
지질구조/단층 퇴적암/분지 |
주향 이동 단층의 운동에 따른 영동 분지의 발달 | |
강원도 사북지역에 분포하는 화절층(상부 캄브리아-최하부 오르도비스계)의 코노돈트 화석군과 그의 층서적 의의 Conodont Fauna of the Hwajeol Formation (Upper Cambrian-Lowest Ordovician) in the Sabuk Area, Kangweon-do and Its Implication on Stratigraphy |
1990.6 | 3 | 293-303 (11) | 이병수 | 퇴적암/화석 | 화절층에서 산출된 코노돈트 화석을 바탕으로 Proconodontus, Eoconodontus notchpeakensis, Cambrooistodus minutus, Cordylodus proavus 4개 생층서대 설정 | |
한반도 남서부 영광부근 연성전단대의 변형특성 연구 The Characteristics of the Ductile Shear Zone around Youngkwang-up in the SW part of Korean Peninsula |
1990.6 | 3 | 304-312 (9) | 이병주 김동학 전경석 |
지질구조/전단대 지역/영광 |
영광군 (전라남도) 지역의 동-서 방향의 전단대를 북북동 방향의 전단 작용에 수반되어 우수향 주향 이동과 함께 남쪽 지괴의 하강(Down-slip)에 의한 사교성 인편상팬(oblique-slip imbricate fan)으로 해석 | |
신예미화강암과 이목화강암의 지구화학적 특징 비교 Comparison of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Shinyemi Granite and the Imog Granite, Northeastern Part of South of South Korea |
1990.8 | 4 | 313-323 (11) | 장호완 이민성 조동진 |
화성암/심성암 지역/영월 |
영월군의 이목 화강암과 정선군의 신예미 화강암의 지구화학적 특성 비교 | |
밀양·양산간의 칼데라를 동반한 규질 회류응회암 Silicic Ash-flow tuffs with Calderas in the terrane between Miryang and Yangsan, Korea |
1990.8 | 4 | 329-340 (12) | 황상구 김상욱 |
퇴적암/응회암 지역/밀양 지역/양산 |
밀양시 삼랑진읍~양산시 원동면 지역의 규질 회류응회암 | |
하동-산청 회장암질암의 Sr-Nd 동위원소 연구: 그 성인과 선캠브리아기 지체구조에 관한 고찰 Preliminary Sr-Nd Isotope Study of the Hadong-Sanchung Anorthositic Rocks in Korea: Implication for their Origin and for the Precambrian Tectonics |
1990.8 | 4 | 341-349 (9) | 권성택 정지곤 |
지질시대/절대연령 | Sm-Nd 동위원소법에 의한 하동-산청 회장암체의 관입 시기는 1678±90 Ma | |
강원도 영월군 마차리 부근에 드러나는 하부 오르도비스기 문곡층의 속성작용: 조직적 결과 Diagenetic Histories of the Lower Ordovician Mungok Formation near Machari Area, Yeongweol, Kangweondo, Korea : Textural Results |
1990.8 | 4 | 350-357 (8) | 우경식 정공수 백인성 |
퇴적암 지역/영월 |
문곡층의 탄산염암은 퇴적물이 퇴적된 후 천해속성작용(교결작용, 선택적 황철석화 작용), 민물속성작용, 매몰속성작용(돌로마이트화 작용) 등 복잡한 속성작용을 받음 | |
둔전광산 북광상의 금-은 광화작용 The Au-Ag Mineralization of North Ore Deposits, Dunjeon Gold Mine |
1990.8 | 4 | 358-370 (13) | 박희인 이찬희 |
지하자원/광상 | 둔전 금-은-안티모니광산 북광상 | |
고령 지역 경상누층군 사암의 속성 작용 및 속성 광물 Mineral Diagenesis of Sandstones from the Kyongsang Supergroup in Goryeong area |
1990.8 | 4 | 371-392 (22) | 노진환 박현수 |
퇴적암/사암 | 고령군 지역 경상 누층군 사암에서 산출되는 속성 광물 | |
경주 북쪽에 있어서의 양산단층의 구조에 관한 지전기학적 연구 A Geoelectric Study on the Structure of the Yangsan Fault, North of Kyeongju |
1990.8 | 4 | 393-403 (11) | 김영화 이기화 성일경 |
지질구조/단층 지역/경주 |
경주시 북부 지역에서 양산 단층의 존재 | |
울산철광산의 탄산염암과 사문암의 성인 Petrogenesis of the Carbonate and Serpentinite Rocks from the Ulsan Iron Mine |
1990.10 | 5 | 407-417 (11) | 김규한 박재경 양종만 요시다 |
퇴적암/석회암 지역/울산 |
달천철장(울산철광상)의 탄산염암이 해성 석회암에서 기원되었으며 청송, 평해 등지에 소규모 분포하는 조선 누층군의 석회암 일부가 양산 단층의 우수향 주향이동 운동에 의해 약 120 km 남쪽으로 이동하여 현재의 위치에 오게 되었다고 해석 | |
영월지역 문곡층과 요봉층에서 산출된 소속불명화석 Sphenothallus Occurrences of Sphenothallus (Vermes) from the Mungog and Yobong Formations, Yeongweol Area, Korea |
1990.10 | 5 | 454-460 (7) | 김봉균 정창희 최덕근 |
퇴적암/화석 지역/영월 |
영월군 지역 조선 누층군 문곡층과 평안 누층군 요봉층에서 발견된 소속불명화석 Sphenothallus | |
경상분지 동부의 백악기 및 전기신생대 층서 및 지사 Cretaceous and Early Cenozoic Stratigraphy and History of Eastern Kyŏngsang Basin, S. Korea |
1990.10 | 5 | 471-487 (17) | 장기홍 우병걸 이진형 박순옥 아키라 |
퇴적암/층서 지역/영덕 |
영덕군 지역의 경상 누층군 울련산층, 동화치층, 가송동층, 청량산 역암층, 오십봉 화산암층, 도계동층, 기사동층, 신양동층과 유천층군으로 구분하고 기존에 사용하던 오천동층 명칭 폐지 | |
포항북부의 대전리와 학산동지역에서 산출하는 초미화석에 대한 연구 Nannofossils from the Daejeonri and Hacksandong Area, North Pohang |
1990.10 | 5 | 488-496 (9) | 유환수 김주용 김해경 |
퇴적암/화석 | 포항시 송라면 대전리 및 학산동 지역의 연일층군에서 발견된 초미세 화석 | |
영흥층(오르도비스계)에서 발견된 코뉴라리드 Discovery of Conulariid from the Yeongheung Formation (Ordovician), Korea |
1990.10 | 5 | 497-499 (3) | 최덕근 정경완 |
퇴적암/화석 | 조선 누층군 영흥층에서 발견된 코뉴라리드(conularid) 화석 | |
김천 동남부 백마-운남산 지역 화강암류의 암석학적 연구 Petrology of Granitoids in the Vicinity of Mt. Baegma-Unnam, Southeast Kimchon, Korea |
1990.12 | 6 | 527-540 (14) | 이철락 이윤종 하야시 |
화성암/심성암 | ![]() | |
장성지역 전단대내 규암의 미구조와 변형량 분석 Microstructures and Strain Analysis of Sheared Quartzited in the Vicinity of Changsong, Chollanamdo, Korea |
1990.12 | 6 | 541-552 (12) | 임명혁 장태우 |
지질구조/전단대 지역/장성 |
장성군 지역 광주 단층(호남전단대) 내 규암의 미구조 | |
장수지역에 분포하는 화성암류의 암석화학과 지질시대에 대한 연구 |
1990. | ||||||
[] |
1990. | ||||||
[] |
1990. | ||||||
닫기
Remove ads
같이 보기
- 한국의 지질
- 한국의 지질학회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한국암석학회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