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위스터 공간은 다양한 시공간 차원에 대하여 정의될 수 있다.
4차원 트위스터 공간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 체
- 수리물리학에서는
또는
인 경우만 생각한다.
- 2차원
-벡터 공간
,
- 수리물리학에서, 이는 왼쪽·오른쪽 바일 스피너 (
인 경우) 또는 왼쪽·오른쪽 마요라나-바일 스피너(
인 경우)에 해당한다.
그렇다면, 4차원
-벡터 공간

을 정의할 수 있다. (물리학적으로, 이는 [복소화한] 시공간에 해당한다.) 그 위에는 비퇴화 이차 형식

이 존재한다. (
인 경우 이는 부호수 (2,2)를 가진다.)
위에는
가 작용하며, 이 가운데
의 작용은
를 보존한다. 즉, 이는 동형 사상

을 정의한다. 사실, 4차원 벡터 공간
를 이렇게 2차원 벡터 공간의 텐서곱으로 나타내는 구조는
위의 선형 등각 구조와 동치이다.
이제, 다음과 같은 공간을 생각하자.

이 5차원 비특이 대수다양체
를 대응 공간(對應空間, 영어: correspondence space)이라고 한다. 그 국소 좌표는
![{\displaystyle (x^{\alpha {\dot {\alpha }}},[\lambda _{\alpha }])}](//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35cdb8df3c7795fc54d7b22e349eb80c80f90a6b)
로 쓸 수 있다. 여기서
는
의 지표이며,
는
의 지표이다.
그렇다면,
와 그 쌍대 공간
사이의 쌍대성으로 인하여 다음과 같은 사영 사상이 유도된다.

![{\displaystyle (x^{\alpha {\dot {\alpha }}},[\lambda _{\alpha }])\mapsto \left[\sum _{\alpha }\lambda _{\alpha }x^{\alpha {\dot {\alpha }}}:\lambda _{\alpha }\right]}](//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bae94140de260b880337944fa8546335fbc5042a)
이 함수는 전사 함수가 아니며, 그 상은 다음과 같다.
- :\lambda ]\colon \psi \in \Delta _{-},\;\lambda \in \Delta _{+}^{\vee },\;\lambda \neq 0\}\subsetneq \mathbb {P} (\Delta _{-}\oplus \Delta _{+}^{\vee })}
![{\displaystyle T=\{[\psi :\lambda ]\colon \psi \in \Delta _{-},\;\lambda \in \Delta _{+}^{\vee },\;\lambda \neq 0\}\subsetneq \mathbb {P} (\Delta _{-}\oplus \Delta _{+}^{\vee })}](//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41d0ba56a24ddfb90cad3ce00242bdd59f39c73a)
이는 3차원 복소수 사영 공간 속의 열린 부분 스킴을 이루며, 그 여집합은
이다. 즉,
는 3차원 준사영 대수다양체를 이룬다. 이를 트위스터 공간이라고 하며, 그 속의 임의의 원소 :\lambda ]}
를 트위스터(영어: twistor)라고 한다.
이는 사영 사상

- :\lambda ]\mapsto [\lambda ]\qquad (\psi \in \Delta _{-},\;\lambda \in \Delta _{+}^{\vee })}
![{\displaystyle [\psi :\lambda ]\mapsto [\lambda ]\qquad (\psi \in \Delta _{-},\;\lambda \in \Delta _{+}^{\vee })}](//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58f2fa4ab42917f0bb4b5ad5640f49ed78f50c27)
을 가지며, 이 사영 아래
는
위의 2차원 벡터 다발

의 전체 공간과 동형이다.
즉, 대응 공간
는 (복소화) 시공간과 트위스터 공간 둘 다 위의 올다발을 이룬다.

앰비트위스터
왼쪽·오른쪽 바일 스피너를 고르는 대신, 둘 다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더 큰 트위스터 공간을 얻으며, 이를 앰비트위스터 공간(영어: ambitwistor space)이라고 한다.
구체적으로, 대응 공간

을 생각하자. 그렇다면, 이는 사상

![{\displaystyle (x,\lambda ^{+},\lambda ^{-})\mapsto ([x^{ij}\lambda _{i}^{+},\lambda ^{+}],[x^{ij}\lambda _{j}^{-},\lambda _{-}])=([\xi _{+},\lambda ^{+}],[\xi _{-},\lambda ^{-}])}](//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5c8aa48d68aa51c5256bcdd5bf65d4cee9934e70)
을 정의한다. 그 상은



를 따른다. 즉, 이는 두 3차원 사영 공간의 곱공간 속의 이차 초곡면이다. 이 5차원 초곡면
를 앰비트위스터 공간이라고 한다. 앰비트위스터 공간은 물론 왼쪽 또는 오른쪽 트위스터 공간
으로의 사영 사상

을 갖는다.
또한, 이로부터 다음과 같은 사영 사상이 존재한다.

![{\displaystyle ([x^{\alpha {\dot {\alpha }}}\lambda _{\alpha }^{+}:\lambda ^{+}],[x^{\alpha {\dot {\alpha }}}\lambda _{\dot {\alpha }}^{-}:\lambda ^{-}])\to [x^{\alpha {\dot {\alpha }}}\lambda _{\alpha }^{+}:\lambda ^{+}:\lambda ^{+}\otimes \lambda ^{-}]}](//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7522574c6c53bbad4a35a644a8edd268a1cacf98)
그 상은 4차원 사영 공간
속에서

으로 정의되는 3차원 이차 초곡면이다. 이
는 초평면 트위스터 공간(영어: hyperplane twistor space)이라고 한다.[6] 이는 세그레 사상

을 통하여, 사실
위의 선다발

의 전체 공간과 같다.
6차원 트위스터 공간
다른 차원에서도 유사하게 트위스터 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차원을 생각하자. 즉,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 체

- 4차원
-벡터 공간
(6차원 마요라나-바일 스피너)
그렇다면

를 정의하면,
위에는
가 작용한다.
위에는 비퇴화 이차 형식

이 작용하며, 이에 대하여 불변이다. (여기서
은 레비치비타 기호이다.
일 때 이는 부호수 (3,3)를 가진다.) 이는 동형 사상

에서 유래한다.
이 경우, 마찬가지로 공간

은 다음과 같은 사영 사상을 갖는다.

![{\displaystyle (v^{ij},[\lambda _{i}])\mapsto \left[\sum _{i}v^{ij}\lambda _{i}:\lambda _{i}\right]}](//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20acef1aed8903ee581180bbfe4313813a4a9679)
이는 마찬가지로
의 부분 집합이다. 그런데

이므로, 그 상은
- :\lambda ]\colon \xi ^{i}\lambda _{i}=0,\;\lambda \neq 0\}\subsetneq \mathbb {P} (\Delta \oplus \Delta ^{\vee })}
![{\displaystyle T=\{[\xi :\lambda ]\colon \xi ^{i}\lambda _{i}=0,\;\lambda \neq 0\}\subsetneq \mathbb {P} (\Delta \oplus \Delta ^{\vee })}](//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4944250b6cefe41f424b980aff5840d7266a7dfc)
이다. 이는 6차원 준사영 대수다양체이다. 이 공간
를 6차원 공간의 트위스터 공간이라고 하며, 그 원소 :\lambda ]}
를 트위스터라고 한다.
는 3차원 사영 공간
위의 3차원 벡터 다발을 이룬다. 이는 4차원 벡터 다발

의 부분 다발이며, 짧은 완전열

을 따른다.[6]:(3.9)
![{\displaystyle {\begin{matrix}\bigwedge ^{2}\Delta &\twoheadleftarrow &\left(\bigwedge ^{2}\Delta \right)\times \mathbb {P} (\Delta ^{\vee })&\twoheadrightarrow &T&\twoheadrightarrow &\mathbb {P} (\Delta ^{\vee })\\&&&&\cap \\&&&&\operatorname {Spec} {\frac {K[\Delta \oplus \Delta ^{\vee }]}{(\xi ^{i}\lambda _{j}\colon \xi \in \Delta ,\;\lambda \in \Delta ^{\vee })}}\\&&&&\cap \\&&&&\mathbb {P} (\Delta \oplus \Delta ^{\vee })\end{matrix}}}](//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3421465f62f8626c3f5170ecc8b9bd72bdabcb4a)
3차원 트위스터 공간
3차원에서도 마찬가지로 트위스터 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의 트위스터 공간은 간혹 미니트위스터 공간(영어: minitwistor space)라고 한다.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 체

- 2차원
-벡터 공간
(3차원 [마요라나-]바일 스피너의 공간)
그렇다면 3차원 벡터 공간

를 정의할 수 있다.
이므로,
위의 심플렉틱 벡터 공간 구조는 모두 서로 비례한다. 임의의 심플렉틱 벡터 공간 구조
를 고른다면,
는 딸림표현
와 동형이며, 이는 킬링 형식을 갖춘다. 이는 2×2 행렬의 행렬식에 비례한다. (
일 때,
위의 이차 형식의 부호수는 (2,1)이므로, 이는 3차원 민코프스키 공간이다.) 즉, 이는 동형 사상

을 실현한다. 물론, 사용한 심플렉틱 벡터 공간 구조를
와 같이 바꾸더라도, 우변에서 이는 이차 형식을 스칼라배 재정의하는 것에 불과하므로, 우변은 사용한 심플렉틱 벡터 공간 구조에 불변이다.
이 경우, 대응 공간

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사상을 정의할 수 있다.
![{\displaystyle F\to \mathbb {P} (K[1]\oplus \Delta ^{\vee })\cong \mathbb {P} (2,1,1)}](//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1665ee8be3154c9c86f20fbcace5a13ca3c02909)
![{\displaystyle (x^{ij},\lambda _{i})\mapsto [x^{ij}\lambda _{i}\lambda _{j}:\lambda _{1}:\lambda _{2}]}](//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f8d546426b6c743c87f8c8dddac3c9339dd84e5d)
여기서
는 1등급 성분이
이며 2등급 성분이
인 등급 벡터 공간이며, 이에 대하여 가중 사영 공간을 취할 수 있다. 이 사상의 상을 트위스터 공간
라고 한다. 이는 2차원 준사영 대수다양체이다.
즉, 이는 가중 사영 공간의 열린집합을 정의한다. 사실, 사영 사상
![{\displaystyle \mathbb {P} (K[1]\oplus \Delta ^{\vee })\to \mathbb {P} (\Delta ^{\vee })\cong \mathbb {P} ^{1}}](//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3ca692565dabc7a2bf5110730085fb9451ca224b)
- :\lambda _{1}:\lambda _{2}]\mapsto [\lambda _{1}:\lambda _{2}]}
![{\displaystyle [\xi :\lambda _{1}:\lambda _{2}]\mapsto [\lambda _{1}:\lambda _{2}]}](//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0c5c541e64ecb4044702b88a135e88d39fe05fda)
에 대하여, 이는 선다발을 이룬다. 그 단면
는
에 대한 2차 함수이므로, 이는 선다발
에 해당한다. 이는 사실 사영 직선 위의 접다발에 해당한다. 즉,
이다.
가중 사영 공간은 물론 다음과 같이 4차원 사영 공간으로 매장된다.
![{\displaystyle \mathbb {P} (K[1]\oplus \Delta ^{\vee })\to \mathbb {P} (K\oplus \operatorname {Sym} ^{2}\Delta ^{\vee })\cong \mathbb {P} ^{4}}](//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3ec5d1c1bfec8194bf75c78a52321df1e1073180)
- :\lambda _{i}]\mapsto [\xi :\lambda _{i}\lambda _{j}]}
![{\displaystyle [\xi :\lambda _{i}]\mapsto [\xi :\lambda _{i}\lambda _{j}]}](//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7fa2629c563ce373754a2ccaa77c236211840fda)
즉,
는 4차원 사영 공간 속의 2차원 준사영 대수다양체이다.
![{\displaystyle {\begin{matrix}\operatorname {Sym} ^{2}\Delta &\twoheadleftarrow &(\operatorname {Sym} ^{2}\Delta )\times \mathbb {P} (\Delta ^{\vee })&\twoheadrightarrow &{\mathcal {O}}_{\mathbb {P} (\Delta ^{\vee })}(2)&\twoheadrightarrow &\mathbb {P} (\Delta ^{\vee })\\&&&&\cap \\&&&&\mathbb {P} (K[1]\oplus \Delta ^{\vee })\\&&&&\cap \\&&&&\mathbb {P} (K\oplus \operatorname {Sym} ^{2}\Delta ^{\vee })\end{matrix}}}](//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4323c978df95433723a56de05784acf22c91f3c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