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광산구
대한민국 광주광역시의 자치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역사
광산군
- 1935년 10월 1일 광주군 광주읍이 광주부로 승격되어 분리되고, 광주군을 광산군으로 개칭하였다.[3] (12면)
- 1937년 7월 1일 송정면이 송정읍으로 승격되었다.[4] (1읍 11면)
- 1949년 8월 14일 나주군 평동면, 삼도면, 본량면을 편입하였다. (1읍 14면) 광산군청을 광주시 대의동에서 송정읍 송정리로 이전하였다.
- 1955년 7월 1일 효지면, 석곡면, 극락면, 서방면이 광주시에 편입되었다.[5] (1읍 10면)
- 1958년 1월 1일 지산면, 대촌면, 서창면이 광주시에 편입되었다.[6] (1읍 7면)
- 1963년 1월 1일 광주시 서호동, 방하동, 신호동이 광산군 서창면으로, 광주시 송석동, 등룡동, 학승동이 광산군 대촌면으로 환원되었다.[7] (1읍 9면)
송정시
광산구
- 1988년 1월 1일 송정시와 광산군이 광주직할시에 편입되고, 광산구가 설치되었으며, 자치구로 승격하였다.[9]
- 1989년 4월 1일 : 대촌출장소 도촌동을 도금동으로, 비아출장소 도촌동을 도천동으로 개칭[10]
- 1990년 4월 1일 : 오산동을 오선동으로 개칭[11]
- 1995년 1월 1일 광주광역시 광산구가 되었다.
- 1995년 4월 20일 서창출장소가 서구에, 대촌출장소가 남구에 편입되었다.
- 1997년 6월 5일 비아출장소를 폐지하고 광산구 비아동, 신가동 및 첨단지소를 설치하였다.
- 1998년 10월 15일 출장소를 동으로 전환하였다. 송정3동을 송정2동으로, 용운동과 소촌동을 어룡동으로 합동하였다. (16행정동)
- 2002년 3월 25일 비아동을 첨단동으로 분동하였다. (17행정동)
- 2003년 6월 30일 첨단동을 첨단1동과 첨단2동으로, 신가동을 운남동으로 분동하였다. (19행정동)
- 2009년 9월 1일 신가동을 신창동으로 분동하였다.[12](20행정동)
- 2010년 9월 6일 신가동을 수완동으로 분동하였다.[13](21행정동)
Remove ads
행정 구역
광산구의 행정 구역은 79개의 법정동과 이것을 관리하는 21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광산구의 면적은 222.916 km2이며, 인구는 2015년 12월을 기준으로 다음과 같다. 광산구 인구 중에 수완동이 거의 8만 명을 이루고 있다.[14]

Remove ads
인구
구청
- 현재 광산구청은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정2동에 위치하고 있다.
교육 기관
- 특수학교
교통
스포츠
- 남부대국제수영장
- 광주여대체조경기장
남부대국제수영장은 2015광주유니버시아에서 수영경기장으로 사용됐고 2019년 수영세계선수권에서 사용될 예정이다.
대형마트
교류 도시
광산구는 대한민국 4개 도시, 중화인민공화국 1개 도시 등 5곳[자매결연 4곳, 우호교류 협정 1곳]과 교류 관계를 맺고 있다.[15]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