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수도권 전철 정기권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수도권 전철 정기권은 도시철도 구간에서 정해진 기간 또는 횟수 이용 후 계속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선불카드 형태의 매체를 말한다.[1] 이 정기권에는 수도권 전철 정기권인천국제공항철도 정기권이 포함된다.

수도권 전철 및 신분당선

요약
관점

수도권 전철 정기권은 크게 서울전용거리비례용 두 종류로 나뉜다.[2]

서울전용 정기권은 30일 60회까지 61,600원으로 서울시계내 구간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진접선별내선, 하남선, 분당선모란역은 행정구역 상 서울시계 외 구간으로 분류되므로, 서울전용 정기권으로 사용할 수 없다.

서울전용 정기권을 사용할 수 있는 구간은 다음과 같으며, 그 외의 한국철도공사 구간과 인천 도시철도신분당선에서는 서울전용 정기권으로 하차만 가능하고 승차는 불가능하다.[3] 수도권 광역급행철도는 승·하차 불가능하다.

거리비례용 정기권은 서울시 외의 구간을 이동할 때 사용할 수 있고, 가격은 다음과 같다.[18]

자세한 정보 종별(단계), 추가차감 기준(km) (이용구간 초과시) ...

역사

  • 1975년 4월 무렵 : 지하철 1호선 월 정기권이 발행되었고. 할인가의 학생용도 있었다. 명함 2배 정도 크기의 종이 형태로 베이지색 과 연한 하늘색 2 색 바탕이었다(군포에서 종로2가까지 학원 수강생도 학원 등록증을 제출하면 할인 정기권을 구입할 수 있었다).
  • 2004년 7월 15일 : 당해년 발행 당시에는 서울시 구간, 현재 서울전용 정기권 사용 구간 내에서만 사용할 수 있었고 정액권(마그네틱) 승차권 형태로 발행하였다.
  • 2005년 4월 15일 : 수도권 전철 전 구간으로 사용 가능 구간이 확대되면서, 티머니(당시 한국스마트카드)사가 발행하는 카드형으로 변경되었다.[19]
  • 2010년 12월 29일 : 인천국제공항철도 사용 개시. (영종도 구간 제외)
  • 2012년 6월 30일 : 신분당선 전용 정기권 폐지 및 해당 구간 사용 개시.
  • 2014년 9월 20일 : 용인 경전철의 연락운송 개시 관계로 해당 구간 사용 개시.
  • 2014년 12월 6일 : 의정부 경전철의 연락운송 개시 관계로 해당 구간 사용 개시.
  • 2017년 9월 2일  : 우이신설선의 연락운송 개시 관계로 해당구간 사용 개시.
  • 2022년 5월 28일 : 신림선의 연락운송 개시 관계로 해당구간 사용 개시

사용법

  • 정기권은 지하철역 및 전철역 역무실에서 구입할 수 있고, 구입시 2,500원을 지불한다. 충전할 때 발매기를 통해 사용하고자 하는 구간과 시작날짜를 직접 지정해야 한다. 카드구입과 충전은 현금으로만 가능하다. 충전일로부터 30일 이내 60회 까지 사용할 수 있다. 30일이 경과하였거나 60회를 모두 사용한 경우, 기간 및 횟수가 남아있더라도 사용할 수 없으며 무조건 다시 충전하여 사용해야 한다.[20] 발매금액은 44회 승하차에 15% 할인[21] 기준으로 책정되어 있다.


  • 성인용으로만 발매하고, 청소년 및 어린이 정기권은 발매하지 않는다.
  • 정기권 구매후 국세청 홈택스 사이트에서 정기권 카드번호를 등록하여 사용하면 연말정산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단, 등록전에 사용할 경우 소득공제에서 제외된다.[25]
  • 정기권 구입시 사용할 특정 구간 및 역을 지정하는 것이 아니라 이용 구간에 대한 요금만 지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구입한 정기권이 해당하는 지하철 구간은 사용 가능한 횟수 내에서 어디든지 이용할 수 있다.
  • 요금 인상 이전에 구입한 정기권은 유효 기간 내에서 추가 요금 없이 사용할 수 있다.
  • 서울전용 정기권과 거리비례용 정기권의 이용구간 초과 시 차감기준은 다음과 같다.
    • 서울전용 정기권은 지정된 사용구간인 서울시내가 아닌 지역의 지하철역까지 초과 이용시 20km 당 1회씩 추가로 차감된다.
  • 거리비례용 정기권은 지정된 사용구간 초과시 잔여횟수에서 단계별 운임적용 거리 (서울전용은 서울시계 경계역으로부터 서울시계외 방향으로 20km)까지 마다 1회씩 추가로 차감된다. 그 기준은 아래와 같다.
자세한 정보 거리비례용 종별(단계), 추가차감 기준 ...
  • 거리비례용 14단계 정기권이거나 모든 정기권의 사용 가능 횟수가 1회만 남았을 경우, 횟수 차감 없이 어느 구간에서나 사용할 수 있다.
  • 수도권 전철 정기권은 수도권 대중교통 통합요금제 미적용 대상이다. 따라서 타 교통수단과의 환승할인이 불가능하다. 특히 수도권 전철 노선 간 환승통로가 개설되지 않은 서울역[27],에서의 환승 처리도 불가능하며 처음부터 승차한 것으로 다시 계산한다.
  • 신분당선 경유 이용시 거리비례 9단계 이상 정기권을 충전하여야 사용이 가능하다. 9단계 정기권보다 낮은 운임의 정기권으로 신분당선외 타기관에서 승차[28] 할 경우 환승게이트에서 횟수 차감후 거리에 따라 하차역에서 거리에 따른 횟수가 추가 차감된다.
  • 의정부경전철 경유 이용시 거리비례 2단계 정기권 이상을 충전하여야 사용이 가능하다. 2단계 정기권보다 낮은 운임의 정기권으로 해당노선 외 타기관에서 승차[29] 할 경우 환승게이트에서 횟수 차감후 거리에 따라 추가 차감된다.(2019.11.23.부터 적용)

환불

환불 기준은 사용일수 기준과 사용횟수 기준이 있는데, 둘 중에서 적은 금액으로 환불받을 수 있다.

  • 사용일수 기준 : 정기권 구입금액 - (사용한 일수 * 해당 구간 교통카드 운임 * 2)
  • 사용횟수 기준 : 정기권 구입금액 - (사용한 횟수 * 해당 구간 교통카드 운임)

신분당선 관련

  • 개통 당시에는 타 노선에서 사용이 불가능한 전용 정기권만 발매하였고, 거리비례용 6단계와 동일 금액으로 발매하였으며 이 정기권으로 강남역 - 정자역 전 구간을 이용할 수 있었다. 또한 카드 자체도 신분당선 고유의 디자인을 갖고 있었다. 신분당선 전용 정기권은 2012년 6월 30일자로 사용이 중지 되었으며, 기존 신분당선 전용 정기권은 신분당선 소속 각역 고객안내센터(역무실)에서 수도권 정기승차권카드로 무료로 교체받을 수 있다.
  • 신분당선은 서울시계외로 간주되어 서울시내에 있는 역이라도 서울전용 정기권 이용이 불가능하다.
  • 신분당선은 거리비례 8단계 이하의 정기권으로 이용할 수 없고, 1단계 또는 2단계 단독 이용 시에는 9단계 이상의 정기권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1단계와 2단계 복합 이용 시에는 14단계 이상의 정기권으로 이용할 수 있다.

(예시)

Remove ads

인천국제공항철도

인천국제공항철도 일반열차의 정기권 가격은 다음과 같다. (단위:원)

직통열차의 경우 회수권이라는 명칭으로 판매되고 있다. 인천국제공항 청사 직원의 사원증을 확인한 후 구입 가능하며, 30일간 20회 사용 가능한 정기권을 11만 원에 판매한다. 직통열차 회수권의 경우 일반인은 사용할 수 없다. 구입처는 직통열차 정차역인 공항철도 서울역과 인천국제공항역 2곳에서만 가능하다.

비고

  • 구입은 인천국제공항철도의 각 역 역무실에서 가능하나, 사용은 청라국제도시 ~ 인천국제공항 구간에서만 가능하다.
  • 서울역 ~ 청라국제도시 구간에서는 상술한 수도권 전철 정기권을 사용한다.
  • 직통열차에서는 사용할 수 없으며, 직통열차에서만 적용되는 교통카드 등록제 할인 제도, 상근자 할인 제도가 있다. 인천국제공항철도 본문을 참조하기 바란다.
  • 구입일 및 충전일로부터 30일 이내55회(직원용 직통열차 회수권은 20회)까지 이용할 수 있으며, 기준 운임은 '해당 구간 운임 * 40회 * 15% 할인'(직통열차 회수권은 별도책정)이다.
  • 지정된 구간 이외에서 승하차할 경우, 지정 구간 외의 운임에 대하여 추가 운임이 부과된다.
  • 수도권 전철 정기권과는 호환성이 없으며, 해당 구간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두 정기권을 혼용할 경우 영종도 구간 내의 4개 역에 마련된 정기권 정산 전용 단말기에 각각 카드를 인식시킨다. 이 전용 단말기는 청라국제도시역의 운임 기준에 맞도록 설정되어 있다.
  • 직통열차 회수권은 공항 청사 내 상주직원 전용으로 일반인은 이용할 수 없다. 인천국제공항철도 직통열차 외의 어떠한 교통수단(일반열차 포함)에서도 이용할 수 없다.
  • 기타 내용은 수도권 전철 정기권의 내용과 같다.
Remove ads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