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아카데미 작품상

AMPAS가 해마다 수여하는 아카데미상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아카데미 작품상
Remove ads

아카데미 작품상(영어: Academy Award for Best Picture)은 영화 예술 과학 아카데미(AMPAS)가 해마다 영화 산업에서 일하는 영화 프로듀서에게 수여하는 아카데미상이다. 작품상 분야는 해마다 치르는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작품상은 최고의 상으로 간주되므로 마지막으로 수여되는 상이 되며, 영화에 대한 모든 감독 및 배우 활동, 음악 작곡, 작가 활동을 아울러 대표한다. 2019년 시상식 기준으로 총 563편의 영화가 후보로 지명되었고, 그 중에서 92편이 수상하였다.[1]

간략 정보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대상 ...
Remove ads

내력

요약
관점

명칭의 변화

1927년~1928년 공개작을 대상으로 했던 제1회 아카데미상 시상식에서는 최고상으로 여겨진 부문이 두 개 있었다. 하나는 '최고작품상' (Outstanding Picture)였고, 다른 하나는 '고유·예술작품상' (Unique and Artistic Picture)이었다. 최고작품상은 전쟁 대하극인 《날개》가 수상하였고, 예술작품상은 예술영화인 《선라이즈》가 받았다. 최고상이 두 가지 부문으로 갈린 것은 작품마다 우수한 제작 과정의 면모를 서로 다르면서도 동등하게 대우해야 하는 점을 고려했기 때문이었다고 한다.

다만 이듬해 아카데미 측은 고유예술작품상 부문을 폐지하고, 《날개》가 수상한 최고작품상이 아카데미상 수여 부문 중 최고상이라는 결정을 내리며, 이 변화를 소급 적용하였다.[2] 이후로는 큰 변화 없이 상 부문의 명칭만 조금씩 바뀌어 왔으며 그 내력은 아래과 같다. 1962년 시상식부터는 'Best Picture'라는 명칭을 처음으로 사용해 지금까지 유지되고 있다.[1]

후보작과 수상자

초창기에는 작품상을 영화 제작사에게 수여하다가, 1998년부터 제작자에게 수여하기 시작하였다.

2011년 6월 14일 영화 예술 과학 아카데미는 2012년 시상식을 기점으로, 지명 과정 동안 특정 영화가 첫 투표 수의 5%를 얻은 경우 지명되는 숫자가 5~10개 영화로 다양할 수 있다고 발표하였다.[3]

작품상과 감독상

아카데미 작품상과 감독상은 그동안의 내력을 봤을 때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작품상을 수상한 88편의 영화 가운데, 63편의 영화가 감독상도 함께 수상하였다. 감독상 후보에 오르지 못하면서도 작품상을 수상한 영화는 《날개》 (1926/28), 《그랜드 호텔》 (1931/32), 《드라이빙 미스 데이지》 (1989), 《아르고》 (2012), 《그린 북》 (2018) 등 총 5편이다. 반대로 초창기 두 영화 루이스 마일스톤의 《두 아라비아의 기사》 (1927/28), 프랭크 로이드의 《정염의 미녀》 (1928/29)는 감독상을 수상하고도 작품상 후보에 오르지 못하였다.[4]

언어·국가별 현황

아카데미 작품상에 후보로 오른 작품 중 비영어권 영화는 총 11편에 불과한데, 《위대한 환상》 (프랑스어, 1938), 《제트》 (프랑스어, 1969), 《우트반드라나》 (스웨덴어, 1972), 《외침과 속삭임》 (스웨덴어, 1973), 《일 포스티노》 (이탈리아어/스페인어, 1995), 《인생은 아름다워》 (이탈리아어, 1998), 《와호장룡》 (중국어, 2000), 《이오지마에서 온 편지》 (일본어[5], 2006), 《아무르》 (프랑스어, 2012), 《로마》 (스페인어/믹스텍어, 2018), 《기생충》 (한국어, 2019)가 해당된다.[6] 이 중에서 작품상을 수상한 영화는 《기생충》이 유일한 사례로 남아 있다.[7]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중에서 미국 이외의 순수 외국 자본으로 제작된 영화는 총 10편이다. 국가별로 따지면 영국이 8편으로 가장 많으며, 《햄릿》 (1948), 《톰 존스》 (1963), 《사계절의 사나이》 (1966), 《불의 전차》 (1981), 《간디》 (1982), 《마지막 황제》 (1987), 《슬럼독 밀리어네어》 (2008), 《킹스 스피치》 (2010)가 해당된다. 나머지 2편은 프랑스 자본으로 제작된 《아티스트》 (2011), 대한민국 자본으로 제작된 《기생충》 (2019)이다.[8]

Remove ads

역대 수상작

1920년대 ~ 1930년대

자세한 정보 연도, 제목 ...

1940년대

자세한 정보 연도, 제목 ...

1950년대

자세한 정보 연도, 제목 ...

1960년대

자세한 정보 연도, 제목 ...

1970년대

자세한 정보 연도, 제목 ...

1980년대

자세한 정보 연도, 제목 ...

1990년대

자세한 정보 연도, 제목 ...

2000년대

자세한 정보 연도, 제목 ...

2010년대

자세한 정보 연도, 제목 ...

2020년대

자세한 정보 연도, 제목 ...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content...

외부 링크

Loading content...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