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연륙교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연륙교(連陸橋)는 육지와 섬을 연결하는 다리를 가리키는 말이다. 섬나라의 경우에는 본토인 큰 섬과 그 밖의 작은 섬을 연결하는 다리를 가리키기도 한다.

연도교와 연륙교
연도교(連島橋)는 섬과 섬을 연결하는 다리로, 육지와 섬을 연결하는 연륙교와 개념상 구분하여 부르는 말이지만, 연륙교나 방조제에 의해 연륙(連陸)한 섬과 다른 섬을 잇는 다리는 결국 육지와 섬을 이어주는 기능을 하므로 넓은 의미에서 연륙교에 포함된다.
여수시 거문도의 거문대교, 제주시 추자도의 추자대교, 옹진군의 신도, 시도, 모도를 연결하는 신시연도교·시모연도교, 군산시 고군산군도의 고군산대교 개통 전 옛 선유교·장자교 등을 제외한 대한민국의 연도교는 대개 광의의 연륙교에 속한다.
연륙교의 발음
연륙교는 육지와 잇는다는 뜻의 연륙(連陸)과 다리를 뜻하는 교(橋)를 합친 말이므로, '연륜', '인륜', '난로', '신라'처럼 [열륙꾜]라고 말하는 것이 올바른 발음이다.(표준발음법 제5장 제20항[1]) 이와 관련해 문화방송 아나운서인 강재형은 방송 매체의 일부 앵커나 기자들이 연륙교를 [연뉵꾜]라고 잘못 발음하고 있다고 비판한 바 있다.[2]
대한민국의 주요 연륙교 목록
이 목록은 아직 미완성입니다. 여러분이 편집하여 채워 주세요.
Remove ads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