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연속 원순서 집합
모든 원소가 근사 원소들의 상향 집합의 상한인 부분 순서 집합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순서론에서 연속 원순서 집합(連續原順序集合, 영어: continuous preordered set)은 모든 원소가 그 원소를 ‘제한적으로 근사’하는 원소들로도 충분히 잘 근사되는 원순서 집합이다. 연속 완비 격자는 흔히 연속 격자(連續格子, 영어: continuous lattice)로 불린다.
정의
요약
관점
원순서 집합 의 두 원소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이 경우, 가 를 근사한다(영어: approximates ) 또는 가 보다 훨씬 아래(영어: is way below )라고 하며, 이를
로 적는다.
근사 관계 는 추이적 관계이며, 가 부분 순서 집합인 경우 반대칭 관계이지만, 원순서가 아닐 수 있다. 가 원순서인 것은 의 오름 사슬 조건과 동치이다.[1]:52, Examples I-1.3(4)
원순서 집합 의 임의의 원소 에 대하여,
라고 하자. 이는 각각 의 상집합과 하집합을 이룬다. 만약 가 이음 반격자라면, 는 상향 집합이다. 그러나 가 만남 반격자이더라도 는 하향 집합이 아닐 수 있다.
원순서 집합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면, 연속 원순서 집합이라고 한다.
- 임의의 에 대하여, 는 상향 집합이며, 이다.
Remove ads
성질
요약
관점
순서론적 성질
연속 원순서 집합 의 두 원소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임의의 상향 집합 에 대하여, 만약 라면, 인 가 존재한다.
증명:
이를 사용하여, 연속 원순서 집합 의 근사 관계 가 다음과 같은 보간 성질을 만족시킴을 보일 수 있다.
증명:
위 명제에서, 를 취한다.
dcpo
dcpo 의 두 원소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1]:61, Proposition I-1.19(i)
- 이며,
- 임의의 상향 집합 에 대하여, 만약 라면, 이며 인 가 존재한다.
따라서, 만약 가 연속 dcpo라면, 다음과 같은 더 강한 보간 성질이 성립한다.[1]:61, Proposition I-1.19(ii)
dcpo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1]:57, Theorem I-1.10
구체적으로, 연속 dcpo 에 대하여, 의 왼쪽 수반 함자는
이다.
완비 격자
완비 격자 의 두 원소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임의의 부분 집합 에 대하여, 만약 라면, 인 유한 부분 집합 가 존재한다.
- 연속 원순서 집합이다.
- 순서 아이디얼의 상한 함수 은 임의의 부분 집합의 하한을 보존한다. 여기서 은 순서 아이디얼들의 완비 격자이다.[1]:Theorem I-1.10
- 임의의 상향 집합들의 집합 에 대하여,
- 두 원소 격자 의 (유한 또는 무한 개) 직접곱 위의 스콧 연속 멱등 함수 의 상 과 동형이다.[2]:56, Theorem 44
증명 (두 번째 조건):
증명 (세 번째 조건):
연속 완비 격자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증명:
연산에 대한 닫힘
유한 개의 연속 dcpo들의 직접곱은 연속 dcpo이며, 그 위의 근사 관계는 성분별 근사 관계와 동치이다. 유한 또는 무한 개의 최소 원소를 갖는 연속 dcpo 들의 직접곱 는 연속 dcpo이며, 직접곱의 두 원소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임의의 에 대하여 이며, 는 유한 집합이다.
연속 dcpo의 스콧 닫힌집합은 연속 dcpo이며, 그 위의 근사 관계는 원래 근사 관계를 제한한 것이다.
범주론적 성질
연속 완비 격자와 스콧 연속 함수의 범주는 데카르트 닫힌 범주를 이룬다.[2]:56, Theorem 45
Remove ads
예
요약
관점
모든 유한 원순서 집합은 연속 원순서 집합이다. 보다 일반적으로, 오름 사슬 조건을 만족시키는 모든 원순서 집합은 연속 원순서 집합이다.
폐구간
실수 폐구간 은 표준적인 순서에 의하여 완비 격자를 이룬다. 또한, 임의의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이거나,
따라서, 항상
이며, 은 연속 완비 격자를 이룬다.
보다 일반적으로, 전순서 완비 격자 의 임의의 두 원소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다음 세 조건 가운데 정확히 하나가 성립한다.
- 이며, 는 의 어떤 도약 의 두 번째 성분이다.
멱집합
임의의 집합 에 대하여, 멱집합 는 완비 격자를 이룬다. 이 경우 는 가 의 유한 부분 집합인 것과 동치이다. 모든 집합은 그 유한 부분 집합들의 합집합이므로, 는 연속 완비 격자를 이룬다.
열린집합 격자
위상 공간 의 열린집합들은 포함 관계에 의하여 완비 헤이팅 대수 를 이룬다. 임의의 두 열린집합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증명:
가 완비 격자이므로 첫째 조건과 둘째 조건은 서로 동치이다. 이제, 이며, 가 위의 극대 필터이며, 라고 하자. 귀류법을 사용하여, 임의의 가 의 극한이 아니라고 가정하자. 즉, 인 의 근방 가 존재한다. 가 극대 필터이므로, 인 가 존재한다. 그렇다면, 는 -덮개이므로, 유한 부분 -덮개 을 갖는다. 따라서,
이며, 이는 모순이다.
이제, 이며, 를 원소로 갖는 위의 임의의 극대 필터는 속의 점으로 수렴한다고 하자. 가 열린집합들의 상향 집합이며, 라고 하자. 귀류법을 사용하여, 임의의 에 대하여, 라고 하자. 그렇다면, 는 하향 집합을 이룬다. 이를 포함하는 최소의 필터
를 생각하자. 인 위의 극대 필터 를 취하자. 를 고정하자. 그렇다면, 임의의 에 대하여,
이다. 따라서 이며, 는 어떤 로 수렴한다. 인 를 취하자. 그렇다면, 이므로,
이다. 이는 모순이다.
만약 가 국소 콤팩트 공간(즉, 모든 점이 콤팩트 국소 기저를 갖는 위상 공간)이라면, 추가로 다음 조건이 동치이다.
- 인 콤팩트 집합 가 존재한다.
따라서, 임의의 국소 콤팩트 공간 의 열린집합 격자 는 연속 완비 격자를 이룬다. 보다 일반적으로, 위상 공간 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이 서로 동치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를 핵콤팩트 공간(영어: core-compact space)이라고 한다.
다음과 같은 함의 관계가 성립한다.
반례
다음과 같은 부분 순서 집합 을 생각하자.
이는 완비 격자를 이룬다.
가 상향 집합이므로, 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며, 이 완비 격자는 연속 완비 격자가 아니다.
모든 원자 없는 완비 불 대수는 연속 완비 격자가 아니다. 원자 없는 완비 불 대수 의 두 원소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합동 관계 격자
환 의 아이디얼들은 포함 관계에 의하여 완비 격자 를 이룬다. 임의의 두 아이디얼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인 유한 생성 아이디얼 가 존재한다.
모든 아이디얼은 그 유한 생성 부분 아이디얼들의 합집합이므로, 는 연속 완비 격자를 이룬다.
Remove ads
참고 문헌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