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 모노이드
의 부분 집합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2]:AI.8


[2]:AI.7

여기서
는 모노이드의 중심이다.
이에 따라, 중심화 부분 모노이드를 취하는 연산은 순서 보존 함수

를 이룬다. (여기서
은 멱집합에 부분 집합 관계를 부여하여 얻은 부분 순서 집합이며,
은 그 반대 부분 순서를 부여한 부분 순서 집합이다.)
군
군의 부분 집합의 가환식은 항상 부분군을 이루며, 중심화 부분군이라고 한다.
군
의 부분 집합
의 중심화 부분군은 항상
의 정규화 부분군의 정규 부분군이다.

여기서
는 군의 중심이며,
는 정규화 부분군이다.
군
의 부분군
의 정규화 부분군과 중심화 부분군의 몫군은
의 자기 동형군의 부분군과 동형이다 (N/C 정리, 영어: N/C theorem).

여기서
는 자기 동형군이다.
한원소 집합의 경우 중심화 부분군은 정규화 부분군과 같다.

군
의 부분군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즉,
는 이중 중심화 부분군 연산의 고정점이다.
가 되는 부분 집합
가 존재한다. 즉,
는 중심화 부분군 연산의 상에 속한다.
임의의 두 군
,
및 군 준동형

에 대하여, 반직접곱
및 포함 사상
을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음이 성립한다.


가군
다음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 환

- 환

-쌍가군 
그렇다면,
-오른쪽 가군의 자기 사상환

을 정의할 수 있으며,
은
-왼쪽 가군을 이룬다.
또한, 자연스러운 환 준동형


이 존재한다. 이 경우, 정의에 따라

이다. (여기서 우변은
-오른쪽 가군의 자기 사상환이다.)
만약
가 이중 중심화 부분환 연산의 고정점이라면, 즉 만약

이라면,
을 균형 잡힌 가군이라고 한다.
폰 노이만 대수
복소수 힐베르트 공간
위의 유계 작용소 폰 노이만 대수
의 부분 대합 대수
를 생각하자. (즉,
는 복소수 결합 대수를 이루며, 에르미트 수반에 대하여 닫혀 있다고 하자.) 이 경우, 폰 노이만 이중 중심화 정리(영어: von Neumann bicommutant theorem)에 따르면 다음 집합들이 서로 일치한다.
의 이중 중심화 부분환 
의 약한 작용소 위상에서의 폐포
의 강한 작용소 위상에서의 폐포
로부터 생성되는 폰 노이만 대수
(다만,
의 노름 거리 위상에서의 폐포는 항상 C* 대수를 이루지만 폰 노이만 대수가 되지 못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