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문하시중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문하시중(門下侍中)은 고려시대 중서문하성의 최고 관리로 실질적으로 정무를 담당하는 관직 중 최고위 관직이었다. 품계는 종1품이다.
Remove ads
982년(성종 1) 내사문하성(內史門下省)을 설치하면서 처음으로 문하시중(門下侍中)을 두었으며, 문종(文宗, 재위 1046∼1083) 대 내사문하성이 중서문하성으로 개칭되면서 중서문하성의 장관을 일컫게 되었다. 종1품으로 정원은 1명이며, 같은 종1품직인 중서령(中書令), 상서령(尙書令)과 함께 재신(宰臣)으로 일컬어졌다. 고려 시대 중서령이나 상서령은 일반적으로 명예직이나 증직(贈職)인 경우가 많아, 문하시중이 수상에 해당하는 최고위 관직으로 기능하였다.
1275년(충렬왕 1) 원나라의 간섭으로 중서문하성과 상서성을 병합하여 첨의부(僉議府)로 격하되면서, 문하시중의 명칭도 첨의중찬(僉議中贊)으로 바뀌고 좌⋅우첨의중찬을 두었다. 이후 첨의부의 개칭과 관제 개편에 따라 도첨의시중(都僉議侍中), 도첨의정승(都僉議政丞) 등으로 명칭을 바꾸고 인원도 1명으로 줄였다. 1356년(공민왕 5)에는 반원 운동으로 관제가 전면적으로 복구되면서 중서문하성이 부활되었고 다시 문하시중이라 하였다. 그러나 이후에도 관제 개편으로 첨의정승, 첨의시중 등으로 명칭이 바뀌곤 하였다. 1369년(공민왕 18)에는 도첨의부가 문하부(門下府)로 개편되면서 다시 문하시중이라 하였고, 문하좌시중, 문하우시중 2명을 두었다. 창왕(昌王, 재위 1388~1389) 대 왼쪽을 더 우대하는 원칙에 따라 좌시중은 문하시중으로, 우시중은 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으로 각각 바뀌었다. 조선 시기에 들어 문하부가 의정부(議政府)에 병합되면서 좌시중과 우시중은 의정부의 좌의정과 우의정으로 계승되었다.
Remove ads
역사
982년(고려 성종(成宗) 원년)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설치하였다.
고려 문종(文宗) 때에 정원을 1인으로 정하고, 관품을 종1품으로 하였다.
1275년(충렬왕(忠烈王) 원년)에 첨의중찬(僉議中贊)으로 고치고, 좌·우 각각 1인씩을 두었다.
1298년에 충선왕(忠宣王)이 왕위를 이어받고 도첨의시중(都僉議侍中)으로 고쳤다가, 조금 뒤에 다시 중찬(中贊)으로 개칭하였다.
1308년 충선왕이 원(元)에 있으면서 정승(政丞)으로 고쳤으며, 1인으로 줄였다.
1330년(충숙왕(忠肅王) 17년)에 충혜왕(忠惠王)이 다시 중찬으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우정승(右政丞)·좌정승(左政丞)으로 고쳤다.
1354년(공민왕(恭愍王) 3년)에 다시 시중으로 고쳤다가, 조금 뒤에 다시 우정승·좌정승으로 개칭하였다.
1356년(공민왕 5년)에 문하시중·수시중(守侍中)으로 고쳤다.
1362년(공민왕 11)에 다시 첨의우정승(僉議右政丞)·첨의좌정승(僉議左政丞)으로 개칭하였다가 1363년(공민왕 12)에 첨의좌시중(僉議左侍中)·첨의우시중(僉議右侍中)으로 개칭하였으며, 1369년(공민왕 18년)에 문하좌시중(門下左侍中)·문하우시중(門下右侍中)으로 고쳤다.
창왕(昌王) 때에 좌시중은 문하시중으로, 우시중은 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으로 각각 바뀌었다.[4]
이후 조선에 이르러 1394년 시중을 '정승'으로 바꾸었고, 1401년에는 문하부를 의정부로 개편하면서 좌정승, 우정승은 각각 좌의정, 우의정이 되었다.
Remove ads
역대 문하시중 (고려)
Remove ads
역대 문하시중 (조선)
성명 | 재임 기간 | 관직 |
배극렴 | 1392년 ~ 1393년 | 문하좌시중 |
조준 | 문하우시중 | |
조준 | 1393년 ~ 1398년 | 문하좌시중, 문하좌정승 |
김사형 | 문하우시중, 문하우정승 | |
심덕부 | 1398년 ~ 1399년 | 문하좌정승 |
성석린 | 문하우정승 | |
성석린 | 1399년 | 문하좌정승 |
민제 | 문하우정승 | |
민제 | 1399년 | 문하좌정승 |
하륜 | 문하우정승 | |
이거이 | 1399년 ~ 1400년 | 문하좌정승 |
하륜 | 문하우정승 | |
김사형 | 1400년 ~ 1401년 | 문하좌정승 |
이서 | 문하우정승 | |
추증 문하시중
문하시중 지위에 임명은 고려, 1392년 이후의 조선 두 국가에서 모두 등장하므로 《고려사》에 모든 문하시중 임명 기록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성명 | 추증 시기 | 추증 국왕 |
김맹[125] | 문종 | |
김인존 | 1131년 | 인종 |
기탁성 | 1179년 | 명종 |
용득의 | 1241년 | 고종 |
서신 | 1380년 | 우왕 |
이자춘 | 1392년 음력 8월 | 조선 태조 |
구홍 | 1403년[126] | 조선 태종 |
변천[127]
문하시중, 도첨의시중, 중찬, 정승, 중찬, 우정승•좌정승, 시중, 우정승•좌정승, 문하시중•수시중, 첨의우정승•첨의좌정승, 첨의좌시중•첨의우시중, 문하좌시중•문하우시중, 시중•수시중
기타
같이 보기
각주
참고 자료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