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문하시중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문하시중(門下侍中)은 고려시대 중서문하성의 최고 관리로 실질적으로 정무를 담당하는 관직 중 최고위 관직이었다. 품계는 종1품이다.

간략 정보 고려 문하시중, 소속 ...
Remove ads

982년(성종 1) 내사문하성(內史門下省)을 설치하면서 처음으로 문하시중(門下侍中)을 두었으며, 문종(文宗, 재위 1046∼1083) 대 내사문하성이 중서문하성으로 개칭되면서 중서문하성의 장관을 일컫게 되었다. 종1품으로 정원은 1명이며, 같은 종1품직인 중서령(中書令), 상서령(尙書令)과 함께 재신(宰臣)으로 일컬어졌다. 고려 시대 중서령이나 상서령은 일반적으로 명예직이나 증직(贈職)인 경우가 많아, 문하시중이 수상에 해당하는 최고위 관직으로 기능하였다.

1275년(충렬왕 1) 원나라의 간섭으로 중서문하성과 상서성을 병합하여 첨의부(僉議府)로 격하되면서, 문하시중의 명칭도 첨의중찬(僉議中贊)으로 바뀌고 좌⋅우첨의중찬을 두었다. 이후 첨의부의 개칭과 관제 개편에 따라 도첨의시중(都僉議侍中), 도첨의정승(都僉議政丞) 등으로 명칭을 바꾸고 인원도 1명으로 줄였다. 1356년(공민왕 5)에는 반원 운동으로 관제가 전면적으로 복구되면서 중서문하성이 부활되었고 다시 문하시중이라 하였다. 그러나 이후에도 관제 개편으로 첨의정승, 첨의시중 등으로 명칭이 바뀌곤 하였다. 1369년(공민왕 18)에는 도첨의부가 문하부(門下府)로 개편되면서 다시 문하시중이라 하였고, 문하좌시중, 문하우시중 2명을 두었다. 창왕(昌王, 재위 1388~1389) 대 왼쪽을 더 우대하는 원칙에 따라 좌시중은 문하시중으로, 우시중은 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으로 각각 바뀌었다. 조선 시기에 들어 문하부가 의정부(議政府)에 병합되면서 좌시중과 우시중은 의정부의 좌의정과 우의정으로 계승되었다.

조선영의정과 같고, 대한민국국무총리와 비슷한 위치에 있는 벼슬이다.

Remove ads

역사

982년(고려 성종(成宗) 원년)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설치하였다.

고려 문종(文宗) 때에 정원을 1인으로 정하고, 관품을 종1품으로 하였다.

1275년(충렬왕(忠烈王) 원년)에 첨의중찬(僉議中贊)으로 고치고, 좌·우 각각 1인씩을 두었다.

1298년에 충선왕(忠宣王)이 왕위를 이어받고 도첨의시중(都僉議侍中)으로 고쳤다가, 조금 뒤에 다시 중찬(中贊)으로 개칭하였다.

1308년 충선왕이 원(元)에 있으면서 정승(政丞)으로 고쳤으며, 1인으로 줄였다.

1330년(충숙왕(忠肅王) 17년)에 충혜왕(忠惠王)이 다시 중찬으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우정승(右政丞)·좌정승(左政丞)으로 고쳤다.

1354년(공민왕(恭愍王) 3년)에 다시 시중으로 고쳤다가, 조금 뒤에 다시 우정승·좌정승으로 개칭하였다.

1356년(공민왕 5년)에 문하시중·수시중(守侍中)으로 고쳤다.

1362년(공민왕 11)에 다시 첨의우정승(僉議右政丞)·첨의좌정승(僉議左政丞)으로 개칭하였다가 1363년(공민왕 12)에 첨의좌시중(僉議左侍中)·첨의우시중(僉議右侍中)으로 개칭하였으며, 1369년(공민왕 18년)에 문하좌시중(門下左侍中)·문하우시중(門下右侍中)으로 고쳤다.

창왕(昌王) 때에 좌시중은 문하시중으로, 우시중은 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으로 각각 바뀌었다.[4]

이후 조선에 이르러 1394년 시중을 '정승'으로 바꾸었고, 1401년에는 문하부의정부로 개편하면서 좌정승, 우정승은 각각 좌의정, 우의정이 되었다.

Remove ads

역대 문하시중 (고려)

성명재임 기간관직[5]
김행도918년 6월 20일 ~ 918년 6월 21일[6]광평시중[7]
박질영918년 6월 21일 ~시중
류덕영 ?[8]시중
공훤 ? ~ 927년 ~ ?[9]시중
왕철 ? ~ 935년 ~ ?[10]섭시중
권직 ? ~ 947년 ~ ?[11]시중
최승로988년 ~ 989년 5월[12]문하수시중
양유
(朴良有)
 ? ~ 993년, 994년 ~ ?[13]시중
한언공[14][15]1001년 ~ 1004년 6월[16]
승조 ?[17]
 ?[18]
윤부
(柳允孚)[19]
1009년 3월 ~ ?[20]
위수여1012년 2월 ~ 1012년 4월[21]시중
유진1014년 4월 ~ ?수문하시중
유진 ? ~ 1019년 8월[22]
최사위1021년 8월 ~수문하시중
유방1027년 1월[23]
강감찬1030년 5월~ 1031년 8월[24]
서눌1031년 10월 ~ ?[25]
황주량1043년 1월 ~ ?
제안 ?[26] ~ 1046년 11월시중
최충1047년 3월 ~ 1055년 7월 4일[27]
이자연1055년 7월 4일 ~ ?[28]
원충 ?[29]
총지1061년 12월 ~
김원정1063년 7월 ~ 1063년 ?월[30]
성걸[31]1063년 9월 12일[32]
최유선 ?[33] ~ 1075년 1월[34]
이정1077년 5월 13일[35]
문정 ?[36]
정공
(李靖恭)[37]
1086년 4월 ~ ?
소태보1095년 10월 ~ ?[38]
최사추1103년 ~
위계정1105년 11월 ~ 1106년 12월
윤관1108년 12월 ~ 1109년 11월, 1110년 ~ 1111년
경용1112년 ~

(李瑋)[39]
1116년
정언겸(鄭彦謙)1125년 ~ 1127년문하시중
이공수1128년 3월 ~ 1131년
김부식1136년
약온[40]1139년
임원후1146년 ~
왕충1149년
정현수(鄭賢守) 1161년 ~ 문하시중
정중부1174년 ~
두경승1176년 ~
이의민[41] ?
조영인1201년
최충헌1205년
정함(鄭緘) 1216년 문하시중
이항
(李抗)[42]
1221년 ~
연수
(李延壽)
~ 1227년
김취려1233년 6월 ~ 1234년 5월
용득의(龍得義)1241 ~ ?문하시중
최종준~ 1246년
최항1253년 ~
김준1265년 ~
이장용1268년 ~ 1271년
김방경1273년 ~ 1275년?[43]
김방경1275년?[44] ~ 1277년 ~ 1283년첨의중찬
류경1278년첨의중찬[45]
송송례 ?[46]중찬
원부~ 1287년첨의중찬
1287년 ~ 1291년첨의중찬
김방경1291년?~ 1292년 ~ 1294년?[47]중찬
자번1294년 12월첨의중찬
조인규1295년 1월첨의중찬
군상1295년 8월도첨의중찬
자번1295년 9월첨의중찬[48]
홍규[49]1295년 9월첨의중찬[50]
자번1296년우중찬
   조인규1296년좌중찬
가신 ?[51]첨의중찬
조인규1298년 5월 ~ ?시중[52]
1298년 11월첨의중찬[53]
 ? ~ 1300년 ~ ?우중찬
자번 ? ~ 1302년 ~ ?[54]우중찬
설공검 ?[55]중찬
염승익 ? ~ 1302년도첨의중찬
1302년 7월도첨의중찬
한희유1302년 10월첨의중찬
한강 ?[56]첨의중찬
한희유1303년 5월첨의우중찬
   1303년 5월첨의좌중찬
자번1303년 9월도첨의좌중찬[57]
   한희유1303년 11월[58]도첨의우중찬[59]
채인규 ?[60]도첨의중찬
   한희유1304년첨의우중찬[61]
안향1304년도첨의중찬
한희유1305년도첨의중찬
한희유1305년 6월 ~ 1306년도첨의좌중찬[62]
   1305년 6월도첨의우중찬[63], 권서행성사[64]
정인경1305년[65]도첨의중찬
최유엄1307년도첨의중찬
김지숙 ?[66]첨의중찬
최유엄 ? ~ 1308년 ~?[67]정승
최유엄1309년수첨의정승[68]
이혼 ?[69]첨의정승
류청신1310년 8월첨의정승
홍규[70]1312년첨의정승
류청신1313년첨의정승
1320년첨의정승
김이용1320년 11월도첨의정승
김이용1321년 1월수첨의정승
민지1321년 ?월 ~ 1321년 10월[71]수정승, 첨의정승
배정1321년 10월[72]첨의정승
김태현 ?[73]첨의정승, 권정동행성사[74]
윤보 ?[75]첨의정승
최유엄1324년 2월수첨의정승[76]
1324년 2월수첨의정승[77]
민지1325년첨의정승
김이1326년첨의정승
김이1327년중찬[78]
윤석 ?[79] ~ 1330년첨의정승
정방길1328년 4월 ~?[80]첨의정승
윤석1330년 ~ ?중찬[81]
1330년 4월도첨의중찬
1331년 2월중찬
윤석1331년 8월중찬
   강융1335년 4월첨의좌정승
권한공1338년정승
   조적1338년첨의좌정승
1340년 3월우정승
   윤석1340년 3월좌정승
하중
(蔡河中)
 ?[82]정승[83]
   이능간1341년 9월정승[84]
   기철 ?[85]정승[86], 섭행정동성사[87]
하중
(蔡河中)
1344년 4월우정승
   한종유1344년 4월좌정승
1344년 10월 ~ 1345년 12월우정승
   김륜1344년 10월좌정승
   김영후1345년 4월좌정승
김영후1345년 12월 ~ ?[88]우정승
   승단1345년 12월좌정승
노책 ?[89]정승[90]
   김영돈 ?[91]좌정승
1348년 ~ 1349년우정승, 섭행정동성사[92]
노책1349년 7월 ~첨의정승
노책1349년 8월 ~ 1349년 10월우정승
   수경1349년 8월 ~좌정승
수경1349년 10월 ~우정승
   이암[93]1349년 10월 ~좌정승
이제현1351년 11월 ~ 1352년 섭정승권단정동성사[94], 도첨의정승
손기1352년[95]정승
1352년 9월 2일 ~우정승
일신1352년 9월 30일 ~우정승
   정천기1352년 9월 30일 ~좌정승
1352년 10월 2일 ~우정승
   일신1352년 10월 2일 ~좌정승
이제현1352년 10월 6일 ~ 1353년 1월우정승
   익청1352년 10월 6일 ~ 1353년 1월좌정승
홍빈1353년 1월 ~우정승
   익청1353년 1월 ~ 1353년 9월[96]좌정승
   승단1353년 9월 ~좌정승
하중
(蔡河中)
1354년 1월우정승
   염제신1354년 1월좌정승
염제신1354년 2월우정승
   류탁1354년 2월좌정승
하중
(蔡河中)
1354년 6월첨의정승
하중
(蔡河中)
1354년 7월시중[97]
   이능간1354년 7월(?)[98]좌정승
이제현1354년 12월 ~ 1356년우정승
   홍언박1354년 12월 ~좌정승
홍언박1356년 5월 ~우정승
   윤환1356년 5월 ~좌정승
홍언박1356년 7월 ~
   윤환1356년 7월 ~ 1356년 ?월[99]수문하시중
이제현1356년 11월 ~ 1357년
   염제신1356년 11월 ~ 1357년수문하시중
염제신1358년 2월~ 1361년 11월
   이암1358년 2월 ~수문하시중
홍언박1361년 11월 ~ 1363년 윤3월
   류탁1362년 3월 ~좌정승
염제신1363년 윤3월 ~우정승
   류탁1363년 윤3월 ~좌정승
류탁1363년 5월 ~좌시중
   김일봉1363년[100]시중[101]
김일봉1363년 ~ 1364년[102]시중[103]
   경복흥[104] ?[105]수첨의시중
경복흥[106]1364년 2월 ~좌시중
류탁1365년 3월 ~ 1368년 8월[107]도첨의시중
   경복흥[108]1365년 3월수시중

(金普)
1365년 6월 ~ 1365년 9월수도첨의시중, 도첨의시중
춘부1368년 8월 ~도첨의시중
   이인임1368년 12월 ~도첨의좌시중
춘부1369년[109] ~ ?
   이인임1369년[110] ~ ?[111]수문하시중
1371년 7월 ~ 1372년 9월
경복흥1372년 9월 ~좌시중
   염제신 ? ~ 1374년 6월[112]시중[113]
경복흥1374년 6월 ~ 1380년[114]
   이인임1374년 6월 ~ 1380년[115]수문하시중
1380년 ~ 1381년
이인임1381년 2월 ~ 1382년 6월
   최영1381년 2월 ~수시중
영통1382년 6월 ~ 1383년문하좌시중[116]
   자송1382년 6월 ~수문하시중
조민수1383년 3월 ~ 1384년 9월
   임견미1383년 3월 ~ 1384년 9월수문하시중
최영1384년 9월 ~
   이성림1384년 9월 ~ 1384년 11월수문하시중
임견미1384년 11월 ~ 1386년 8월
   이성림1384년 11월 ~수문하시중[117]
이인임1386년 8월 ~좌시중
   이성림1386년 8월?[118] ~우시중
이성림1387년 8월 ~좌시중[119]
   반익순1387년 8월 ~우시중
반익순1387년 ?월[120] ~ 1388년 1월좌시중
   이성림1387년 ?월[121] ~ 1388년 1월우시중
최영1388년 1월
   이성계1388년 1월수문하시중
최영1388년 6월 ~문하좌시중
   우현보1388년 6월 ~ 1388년 6월[122]문하우시중
조민수1388년 6월좌시중
   이성계1388년 6월우시중
이색1388년 8월~문하시중
   이성계1388년 8월 ~수문하시중
이림1389년 7월 ~
심덕부1389년 11월 ~ 1390년 11월 30일
   이성계1389년 11월 ~ 1390년 11월 6일수문하시중
   정몽주1390년 11월 6일 ~ 1392년 4월[123]수문하시중
이성계1390년 11월 30일 ~ 1391년 3월
이성계1391년 3월 ~ 1391년 9월
심덕부1391년 9월 ~ 1392년 4월
   배극렴1392년 4월 6일 ~ 1392년 7월수문하시중, 우시중[124]
이성계1392년 4월 22일 ~ 1392년 7월
Remove ads

역대 문하시중 (조선)

성명재임 기간관직
배극렴1392년 ~ 1393년문하좌시중
   조준문하우시중
조준1393년 ~ 1398년문하좌시중, 문하좌정승
   김사형문하우시중, 문하우정승
심덕부1398년 ~ 1399년문하좌정승
   성석린문하우정승
성석린1399년문하좌정승
   민제문하우정승
민제1399년문하좌정승
   하륜문하우정승
이거이1399년 ~ 1400년문하좌정승
   하륜문하우정승
김사형1400년 ~ 1401년문하좌정승
   이서문하우정승

추증 문하시중

문하시중 지위에 임명은 고려, 1392년 이후의 조선 두 국가에서 모두 등장하므로 《고려사》에 모든 문하시중 임명 기록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성명추증 시기추증 국왕
김맹[125]문종
김인존1131년인종
기탁성1179년명종
용득의1241년고종
서신1380년우왕
이자춘1392년 음력 8월조선 태조
구홍1403년[126]조선 태종

변천[127]

문하시중, 도첨의시중, 중찬, 정승, 중찬, 우정승•좌정승, 시중, 우정승•좌정승, 문하시중•수시중, 첨의우정승•첨의좌정승, 첨의좌시중•첨의우시중, 문하좌시중•문하우시중, 시중•수시중

기타

정승 류청신은 국외에서 국정을 행한 고려 충숙왕을 따라 원나라에 머무르기도 하였다.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content...

참고 자료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