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시드니 공항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시드니 공항(영어: Sydney Airport, IATA: SYD, ICAO: YSSY)은 오스트레일리아 뉴사우스웨일스주 시드니 외곽의 마스코트에 있는 국제공항이다. 킹스포드 스미스 공항(영어: Kingsford Smith Airport)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 시드니의 관문 역할을 하는 공항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시드니 공항은 국제선 전용으로 운영되는 제 1터미널과 국내선 전용으로 운영되는 제2터미널, 제3터미널(콴타스 항공, 콴타스 링크 국내선 전용) 등 3개의 터미널로 구성되어 있으며 콴타스 항공 등 오스트레일리아의 주요 항공사들의 허브 공항으로 알려져 있다.
Remove ads
역사

1920년 1월 9일 킹스포드 스미스 공항(영어: Kingsford Smith Airport)으로 개항해 현재까지 운영 중인 민간 공항 중에서 세계에서 가장 오래 되었다.[1] 1920년대 중반 시드니와 멜버른 및 애들레이드행의 국내선 운항이 시작했으며 이 무렵에 오스트레일리아 정부가 운영권을 갖게 됐다. 1940년대에 여객 터미널이 문을 열었다. 1953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되었고 1970년 5월 국제선 터미널을 완공되었다. 1990년 외국 방문객에게 고유 문화를 보여줄 수 있는 예술작품을 전시하기로 위해 공항에 그림, 조각, 수공예품, 자수, 사진 등을 전시하기 시작했으며 1994년에 3개의 활주로가 완공됐다. 1997년 기준으로 항공기 운항 횟수는 연간 278,786회이며, 여객수는 20,621,776명이고, 화물 수송량은 530,601톤을 수송했다. 1998년 7월 1일 시드니 공항 주식회사(영어: SACL, Sydney Airports Corporation Limited)가 설립했다. 2000년에 공항 개발 계획에 따라 공항과 기존의 철도망을 연결하는 지하철이 개통되었다. 2002년에 민영화되면서 시드니 공항 주식회사(영어: SACL, Sydney Airports Corporation Limited)가 관리 및 운영을 하고 있다. 2009년 기준으로 세계에서 28번째로 이용객이 많은 공항에 기록됐다. 그리고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가장 붐비는 공항으로 매년 승객 2,600만 명이 이 공항을 이용하고 있는데 2020년에 이용객이 6,80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는 등 공항이 갈수록 붐비면서 2000년대 들어 제2의 시드니 공항이 있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2003년의 한 연구 조사 보고서는 시드니 공항이 교통 체증으로 인해 20년 동안 국제공항 용도만 사용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Remove ads
터미널
요약
관점
터미널 1

제1터미널은 1970년 5월 3일 개통되어 옛 해외여객터미널(지금 제3터미널이 서 있는 곳에 위치)을 대체하고 이후 크게 확장되었다. 오늘날 그것은 공항의 북서부 지역에 위치한 국제 터미널로 알려져 있다. 25개의 관문(B번 중앙홀은 8~37번, C번 홀은 50~63번)이 에어로브리지를 통해 제공된다. 피어 B는 콴타스, 온월드의 모든 멤버 및 모든 스카이팀 멤버(델타 제외)가 사용한다. 피어 C는 모든 스타 얼라이언스 멤버들뿐만 아니라 버진 오스트레일리아와 그 파트너들(델타 포함)에 의해 사용된다. 또한 피크 기간 동안 그리고 낮에 유휴 항공기의 주차를 위해 많이 사용되는 많은 원격 베이가 있다.
터미널 건물은 도착, 출발, 항공사 사무실 등 3단계로 구분된다. 출발 층에는 각각 20개의 체크인 데스크가 있으며, 10개의 싱글 데스크가 있어 총 200개의 체크인 데스크가 있다. 이 터미널은 콴타스 항공을 위한 2개, 에티하드 항공, 에어 뉴질랜드, 싱가포르 항공, 에미레이트 항공, 아메리칸 항공, 스카이팀 등 8개의 항공 라운지를 운영하고 있다. 이 터미널은 2010년에 완공된 5억 달러의 대규모 재개발을 거쳤는데, 이 재개발은 쇼핑 단지를 확장하고, 아웃바운드 세관 운영을 중앙 집중화하고 터미널의 용적 공간을 25만 4천 평방 미터(2,730,000 평방 피트)로 늘렸다. 2015년 아웃바운드 및 인바운드 면세점의 재구성 및 변경, 에어사이드 식당 구역 확장, 호주 국경군 아웃도어 이민 스마트게이트 설치로 추가 개조가 시작되었다. 이 작품들은 2016년에 완성되었다.
터미널 2

공항의 북동쪽 구간에 위치한 터미널 2는 앤셋 오스트레일리아가 국내에서 운영하던 곳이었다. 에어로브리지가 제공하는 16개의 주차 베이와 지역 항공기를 위한 여러 개의 원격 베이를 갖추고 있다. 제트스타 항공, 타이거 에어 오스트레일리아, 버진 오스트레일리아를 제공한다. 버진 오스트레일리아를 위한 라운지가 있다.
터미널 3

터미널 3은 국내선 터미널로, 2013년 8월 16일 콴타스링크가 터미널 2에서 터미널 3으로 운항을 이전했다. 제2터미널처럼 북동쪽 구간에 위치해 있다.
현재의 터미널 건물은 1999년에 완공된 하셀에 의해 설계된 확장의 결과물이다. 여기에는 새로운 기둥 없는 체크인 홀 위로 60m 길이의 지붕 스팬을 건설하는 것이 포함되었고, 결과적으로 터미널 발자국을 80,000m²까지 확장시켰다. 에어로브리지가 제공하는 주차 베이는 이중 에어로브리지가 제공하는 2개를 포함하여 14개가 있다. 터미널 3은 대형 콴타스 클럽 라운지와 전용 비즈니스 클래스 및 의자 라운지를 갖추고 있다. 터미널 3에는 또한 콴타스 전용 게이트 13에 인접한 '허리컬렉션'이 있으며, 항공사의 90년 이상 근무한 많은 컬렉션을 포함한다. 또한 공항의 앞치마를 볼 수 있으며, 비행기 스탬퍼에 의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콴타스 항공는 2019년까지 계속될 예정이었던 터미널 3의 임대료를 5억 3천 5백만 달러에 시드니 공항으로 다시 팔았다. 이것은 시드니 공항이 수익성이 좋은 소매 지역을 포함한 터미널의 운영 책임을 재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Remove ads
운항 노선
국제선
국내선
화물 노선
Remove ads
연계 교통
도로 교통
철도 교통
통계
![]() | 이 그래프는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레거시 그래프 확장 기능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차트 확장 기능으로 변환해야 합니다. |
Remove ads
사건 및 사고
- 2002년 1월 9일 대한항공 581편 적재 사고가 일어났다 콴타스 소속 직원들의 하역작업 실수로 동체 꼬리부분에 손상을 입었으나 인명피해는 없었다.[11]
- 2007년 10월 25일 싱가포르 항공 SQ380편으로 싱가포르 창이 국제공항을 출발한 에어버스 A380-800 항공기가 최초로 상업 비행을 하여 성공적으로 도착하였다.
- 2008년 8월 2일 시드니를 출발해 마닐라까지 가던 콴타스 항공의 보잉 767-300 항공기가 비행도중 유압 계통에 이상이 생겨 시드니로 회항했다.[12]
- 2010년 3월 30일 시드니를 출발해 싱가포르가지 가던 콴타스 항공의 보잉 747-400 항공기의 엔진이 고장나 이륙한지 45분후 다시 시드니 공항으로 비상착륙했다.[13]
같이 보기
사진
- 시드니 공항의 국제선 운항노선
- 국제선 터미널 1층 출국장
- 국내선 입구 표지판
- 항공 관제탑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