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도씨유
포도의 씨를 압착하여 만든 기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포도씨유는 포도의 씨를 압착하여 만든 기름이다. 포도주 양조에서 부산물로 나오는 씨를 이용하여 만든다.

사용
조리
포도씨유의 발연점은 약 216 °C (421 °F)이다. 깔끔하고 가벼운 맛이며,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다. 샐러드 드레싱의 용도나 마요네즈의 원재료로 쓰인다. 마늘이나, 로즈마리 다른 허브나 향신료를 넣어 향을 더하여 쓰기도 한다. 팬케이크, 와플 등 식품을 구을 때 폭넓게 사용되고, 건포도에 입혀서 그향을 보존하는 용도로 쓰기도 한다.[1]
일반적인 식물성 기름의 열량과 마찬가지로, 포도씨유는 100g당 약 880kcal(3,700kJ)의 열량을 낸다.[2]
화장품
en:carrier oil이나 en:essential oil로서 나 아로마테라피로 사용될 때, 포도씨유는 피부에 얇게 밝은 막을 형성해 광택이 나도록 한다. 여타의 en:carrier oil에 비하여 en:Linoleic acid을 더 함유하고 있다.
잠재적인 의학적 약효
포도씨유는 건강상의 이점을 제공하기도 한다. 1993년 연구에서는 포도씨유가 HDL(좋은 콜레스테롤)의 수치를 높이고, LDL의 수치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3]
또한 포도씨유는 항산화물질 및 기타 생물학적 활성화합물을 함유하는데[4], 저온압착 포도씨유의 경우 미량의 불용해성 지질을 함유하고 있다.[5] 예를 들어 상업적인 추출이 가능할 정도로 많은 레스베라트롤을 함유하고 있고[6], 향후 추출이 이루어지게 되면, 포도씨유에는 거의 들어있지 않게 될 것이다.
잠재적인 의학적 문제점
건조 과정에서 연소 가스에 직접노출되는 경우, 때때로 위험 수준의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7]
성분

포도씨유의 일반적인 지방 성분비.[8]
포도씨유는 또한 0.8~ 1.5%의 페놀(토코페롤) 및 스테로이드(캄페스테롤, 베타시토스테롤, 스티그마테롤)을 함유하고 있다.[9] 또한 소량의 비타민E을 함유하고 있는데, 해바라기유나, 면실유, 미강유는 더 많이 함유하고있다.[10] 포도씨유는 불포화지방이 높고, 포화지방은 적다.
속성
유형 | 가공 처리[13] | 포화 지방산 | 단일불포화 지방산 | 고도불포화 지방산 | 발연점 | ||||
---|---|---|---|---|---|---|---|---|---|
전체[11] | 올레 산 (ω-9) | 전체[11] | α-리놀렌 산 (ω-3) | 리놀레 산 (ω-6) | ω-6:3 비율 | ||||
아몬드 | |||||||||
아보카도[14] | 11.6 | 70.6 | 52-66[15] | 13.5 | 1 | 12.5 | 12.5:1 | 250 °C (482 °F)[16] | |
브라질너트[17] | 24.8 | 32.7 | 31.3 | 42.0 | 0.1 | 41.9 | 419:1 | 208 °C (406 °F)[18] | |
카놀라[19] | 7.4 | 63.3 | 61.8 | 28.1 | 9.1 | 18.6 | 2:1 | 238 °C (460 °F)[18] | |
캐슈나무 | |||||||||
치아씨 | |||||||||
카카오 버터 기름 | |||||||||
코코넛[20] | 82.5 | 6.3 | 6 | 1.7 | 175 °C (347 °F)[18] | ||||
옥수수[21] | 12.9 | 27.6 | 27.3 | 54.7 | 1 | 58 | 58:1 | 232 °C (450 °F)[22] | |
면실[23] | 25.9 | 17.8 | 19 | 51.9 | 1 | 54 | 54:1 | 216 °C (420 °F)[22] | |
아마씨[24] | 9.0 | 18.4 | 18 | 67.8 | 53 | 13 | 0.2:1 | 107 °C (225 °F) | |
포도씨 | 10.5 | 14.3 | 14.3 | 74.7 | - | 74.7 | 매우 높음 | 216 °C (421 °F)[25] | |
삼씨[26] | 7.0 | 9.0 | 9.0 | 82.0 | 22.0 | 54.0 | 2.5:1 | 166 °C (330 °F)[27] | |
우라드콩 | |||||||||
겨자기름 | |||||||||
올리브[28] | 13.8 | 73.0 | 71.3 | 10.5 | 0.7 | 9.8 | 14:1 | 193 °C (380 °F)[18] | |
팜[29] | 49.3 | 37.0 | 40 | 9.3 | 0.2 | 9.1 | 45.5:1 | 235 °C (455 °F) | |
땅콩[30] | 20.3 | 48.1 | 46.5 | 31.5 | 0 | 31.4 | 매우 높음 | 232 °C (450 °F)[22] | |
피칸 기름 | |||||||||
들기름 | |||||||||
겨기름 | |||||||||
잇꽃[31] | 7.5 | 75.2 | 75.2 | 12.8 | 0 | 12.8 | 매우 높음 | 212 °C (414 °F)[18] | |
참깨[32] | ? | 14.2 | 39.7 | 39.3 | 41.7 | 0.3 | 41.3 | 138:1 | |
콩[33] | 부분 경화 | 14.9 | 43.0 | 42.5 | 37.6 | 2.6 | 34.9 | 13.4:1 | |
콩[34] | 15.6 | 22.8 | 22.6 | 57.7 | 7 | 51 | 7.3:1 | 238 °C (460 °F)[22] | |
호두기름 | |||||||||
해바라기씨 (표준)[35] | 10.3 | 19.5 | 19.5 | 65.7 | 0 | 65.7 | 매우 높음 | 227 °C (440 °F)[22] | |
해바라기씨 (< 60% linoleic)[36] | 10.1 | 45.4 | 45.3 | 40.1 | 0.2 | 39.8 | 199:1 | ||
해바라기씨 (> 70% oleic)[37] | 9.9 | 83.7 | 82.6 | 3.8 | 0.2 | 3.6 | 18:1 | 232 °C (450 °F)[38] | |
면실[39] | 경화 | 93.6 | 1.5 | 0.6 | 0.2 | 0.3 | 1.5:1 | ||
팜[40] | 경화 | 88.2 | 5.7 | 0 | |||||
영양 수치는 총 지방 무게 당 백분율(%)로 표현된다. |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