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해동명신록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해동명신록》(海東名臣錄)은 조선 중기의 문신(文臣) 김육(金堉)이 저술한 책이다. 전9권 9책.
개설
명신록(名臣錄)은 한 인물의 사적을 도입부(소전)-사적부-평결부로 나누어 기존 자료에서 해당 인물과 관련된 기록을 발췌하고 수록한 차기류 작품이다.[1]
《잠곡집》에 실린 김육의 연보에는 효종(孝宗) 3년인 임진년(1652년)에 《해동명신록》을 저술하기 시작하였다고 하여, 김육이 《해동명신록》의 편찬자임은 틀림없지만, 서문이나 발문이 없고 권별로 수록된 인물의 성격을 알 수 있는 어떤 내용으로 항목명을 부여하거나 하지 않아서, 정확한 편찬 시기나 간행 여부, 김육 본인이 이 책을 편찬한 목적이나 편찬 방침이 어떤 것이었는지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한국고전적종합목록에는 현전하는 《해동명신록》의 목판본이 다수 전하고 있어서 1652년 이후 김육 생전인 1658년 이전에 9권 9책으로 편찬을 완료하였고 이후 가까운 시기에 목판본으로 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Remove ads
간본
《해동명신록》은 전체 9권 9책으로, 완질은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대구가톨릭대학교 중앙도서관, 한국학중앙연구원 도서관에 소장된 것을 제외하면 나머지는 모두 낱권으로 전해지고 있다. 전체 판본의 판사항을 보면, 반엽광곽(半葉匡郭) 21×15cm, 유계(有界), 10행(行) 20자(字), 상하내향세화문어미(上下內向細花紋魚尾)의 형태를 크게 벗어나지 않아서 모두 동일한 판본일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2]
내용
요약
관점
《해동명신록》의 전체 9권 9책에는 모두 302명(실제로는 299명)의 인물이 수록되어 있다. 권1에 신라 시대의 설총과 최치원, 고려 시대의 최충, 안유, 정몽주, 길재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모두 조선 시대 인물로 구성되어 있다.
인물에 대한 서술 내용은 전체적으로 동일한 양식으로, 각 인물의 초명, 자, 호, 본관, 간단한 가계, 과제, 관력, 졸년 및 향년, 배향, 증시, 사후의 추존 사실 등을 도입부에 기본적으로 기재하였다. 그리고 인물의 인품을 알 수 있는 언행과 선행, 그가 이룬 업적, 색다른 일화, 인물에 대한 평가 등의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서술하는 도중에 내용의 전환이 필요한 경우는 동그라미 권점을 표기하고 서술하였다. 인물에 대해 수록한 내용은 여러 자료에서 초출하여 구성했지만 출처를 따로 적어 두지는 않았다.
《해동명신록》에는 권별로 수록된 인물들의 성격을 알 수 있는 어떤 항목명을 부여하거나 하지 않았지만, 대체적으로 권1의 서두에 수록된 인물들은 문묘에 배향된 인물들로 성리학의 이른바 '도통'을 이루는 것으로 여겨진 인물들로, 여기에 이이나 성수침, 성혼, 서경덕 등 서인 인물들까지 서술하여 서인의 도통론을 따르고 있음을 보이고 있다.[4] 서경덕까지 서술한 뒤에 다시 조선 초기 인물인 최덕지와 이맹전을 시작으로 조선 초기부터 중종대에 걸쳐 활동한 인물들을 수록하였다. 권2에는 김안국(金安國) ⋅ 김정국(金正國) 형제로부터 문위(文緯)까지 수록하였는데, 고위 관료를 지낸 인물보다는 학문적 성과가 뛰어난 학자들을 중심으로 수록하고 있어서, 김육이 '도통'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성리학자들을 평가하였다는 것과 고위 관료를 지낸 정치인보다는 성리학자를 높이 평가하여 '명신'으로 인식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김육 자신이 고조할아버지 김식으로부터 연유한 '기묘사림'의 학맥을 계승한 가학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으로 이해된다.[5]
Remove ads
평가
정조는 《해동명신록》의 체제를 본따, 책에 수록된 인물 가운데 191명을 추린 《해동신감》을 저술하기도 하였다.
한편 실학자 이익(李瀷)은 자신의 9대조로 세조 때의 인물인 이계손(李繼孫)이 당대에 함경도 일대를 다스리며 현지에서 명망이 높았음에도 《해동명신록》에 실리지 않은 점이나 명종 때의 문신으로 강직함에 대한 일화를 남긴 윤개(尹漑)가 《해동명신록》에는 실리지 않았음을 지적하며 "문견(聞見)이 넓지 못했던가 보다."[6]라고 비판하였다. 이는 김육이 서인 계통의 인물을 중심으로 기술하고 남인 계통의 인물은 소략하게 수록하였음을 짐작하게 하는 것이다.
각주
참고문헌
같이 보기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