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KBO 리그 개인 통산 최다 홈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1982년에 출범한 KBO 리그에서 통산 최다 홈런을 기록 중인 선수는 최정이다.통산 500홈런을 기록하고 있다.

개인 통산 최다 홈런 순위[1]

요약
관점

순위

  • 아래 기록은 2024년 7월 08일 기준 기록으로 1위부터 30위까지이다. 음영색은 현역 선수.
순위 홈런 수 선수 소속 기간 시즌 / 통산 경기 수 주석 및 기타
1 501

최정 SK-SSG 2005년 - (진행 중) 18시즌 - (진행 중) / 2244경기 - (진행 중) 사직구장에서

신기록 작성

2 467개 이승엽 삼성 1995년 - 2003년, 2012년 - 2017년 15시즌 / 1906경기 투수 출신(입단 당시). 2004년부터 2011년까지 일본 진출(일본에서 홈런 159개 기록. 한일 통산 626홈런).
3 412

박병호 LG - 넥센 - 키움 - KT-삼성 2005년 - 2006년, 2009년 - 2015년, 2018년 - (진행 중) 15시즌 - (진행 중) / 1608경기 - (진행 중) 2016년 이후 미국 진출(미국(2016)에서 홈런 12개 기록. 한미 통산 395홈런), 2018년 복귀.
3 400개 최형우 삼성 - KIA 2002년, 2004년, 2008년 - (진행 중) 18시즌 - (진행 중) / 2106경기 - (진행 중) 2002년 입단했지만, 2005년 시즌 후 방출, 2008년 다시 삼성과 계약
5 374개 이대호 롯데 2001년 - 2011년, 2017년 - 2022 17시즌 / 1925경기 2012년 이후, 일본과 미국에 진출(일본(2012~2015)에서 홈런 98개 기록, 미국(2016)에서 홈런 14개 기록. 한미일 통산 424홈런)한 후, 2017년 국내 복귀. 2022년 은퇴 기준 한미일 통합 486홈런.
6 351개 양준혁 삼성 - 해태 - LG - 삼성 1993년 - 2010년 18시즌 / 2135경기
7 340개 장종훈 빙그레 - 한화 1987년 - 2005년 19시즌 / 1950경기
8 337개 이호준 해태 - SK - NC 1996년 - 2017년 21시즌 / 2053경기 1994년 투수로 입단. 1996년부터 타자로 전향
9 329개 이범호 한화 - KIA 2000년 - 2009년, 2011년 - 2019년 19시즌 / 2001경기 2010년 일본 진출(일본에서 홈런 4개 기록. 한일 통산 333홈런), 2019년 7월 은퇴.
10 328개 심정수 OB (두산) - 현대 - 삼성 1998년 - 2008년 11시즌 / 1450경기
11 324개 강민호 롯데 - 삼성 2004년 - (진행 중) 19시즌 - (진행 중) / 2275경기 - (진행 중) 역대 포수 홈런 1위
12 314개 박경완 쌍방울 - 현대 - SK 1991년 - 2013년 23시즌 / 2043경기 포수 홈런 2위(3위 이만수 252개)
13 311개 김태균 한화 2001년 - 2009년, 2012년 - 2021년 19시즌 / 2015경기 2010년부터 2011년 일본 진출(일본에서 홈런 22개 기록. 한일 통산 331홈런)
13 311개 송지만 한화 - 현대 - 넥센 1996년 - 2013년 18시즌 / 2014경기 2014년 은퇴
15 300개 박재홍 현대 - KIA - SK 1996년 - 2012년 17시즌 / 1797경기
16 273개 김동주 OB (두산) 1998년 - 2013년 16시즌 / 1625경기 2015년 은퇴
17 269개 박석민 삼성 - NC 2004년 – 2005년, 2008년 - 2023년 18시즌 / 1697경기
18 261개 나성범 NC - KIA 2013년 - (진행 중) 10시즌 - (진행 중) / 1177경기 - (진행 중)
19 260개 마해영 롯데 - 삼성 - 기아 - LG - 롯데 1995년 - 2008년 14시즌 / 1501경기
20 257개 양의지 두산 - NC - 두산 2007년, 2010년 - (진행 중) 14시즌 / 1539경기 - (진행 중)
21 252개 이만수 삼성 1982년 - 1997년 16시즌 / 1449경기 원조 포수 홈런왕
22 251개 김기태 쌍방울 - 삼성 - SK 1991년 - 2005년 15시즌 / 1544경기
23 250개 김재환 두산 2008년, 2011년 - 2012년, 2014년 - (진행 중) 12시즌 - (진행 중) / 1076경기 - (진행 중)
24 248개 김현수 두산 - LG 2006년 - 2015년, 2018년 - (진행 중) 15시즌 - (진행 중) / 1764경기 - (진행 중) 2016-17년 볼티모어 오리올스 / 필라델피아 필리스에서 활동
25 221개 장성호 해태 (KIA) - 한화 - 롯데 - KT 1996년 - 2015년 20시즌 - 2064경기
25 221개 나지완 KIA 2008년 - 2022년 15시즌 - 1473경기
27 213개 박용택 LG 2002년 - 2020년, 2022년 20시즌 / 2237경기
28 208개 홍성흔 OB (두산) - 롯데 - 두산 1999년 - 2016년 18시즌 / 1957경기
29 207개 김성한 해태 1982년 - 1995년 14시즌 / 1338경기
30 202개 김동수 LG - 삼성 - SK - 현대 - 히어로즈 1990년 - 2009년 20시즌 / 2039경기
Remove ads

개인 통산 최다 홈런 기록 추이

요약

Thumb
삼성 라이온즈 영구 결번 22번 이만수
기록 선수 소속 날짜 구장 상대팀 상대 투수 경기 수 달성 당시 나이 주석 및 기타
1 - 3 이만수 삼성 1982. 03. 27 서울 MBC 유종겸 1 23세 6개월 8일 5회초 1점[2]
4 - 11 김우열 OB 1982. 04. 15 서울 삼미 감사용 3회초 1점[3]
12- 14 김봉연 해태 1982. 07. 24 광주 롯데 김문희
이진우
2회 1점(12호), 3회 2점(13호)[4]
15 김준환 해태 1982. 09. 05 광주 OB 황태환 5회 2점[5]
16 백인천 MBC 1982. 09. 08 부산 롯데 9회 1점, 이 경기에서 1회에도 만루 홈런을 침[6]
17 - 46 김봉연 해태 1982. 09. 16 광주 MBC 6회 1점[7]
47 - 50 이만수 삼성 1984. 05. 01 대전 OB 3회초 3점 (시즌 7호)[8]
51 - 59 김봉연 해태 1984. 05. 14 서울 MBC 정순명 1회 2점 (시즌 7호)[9]
60 - 64 이만수 삼성 1984. 08. 08 인천 삼미 8회 3점 (시즌 20호)[10]
65 김봉연 해태 1985. 04. 17 광주 MBC 1회 2점 시즌 4호[11]
66 - 94 이만수 삼성 1985. 04. 28 대구 OB 계형철 4회 2점, 시즌 3호[12]
95 - 97 김봉연 해태 1986. 07. 20 광주 삼성 6회 3점 (시즌 17호)[13]
98 - 252 이만수 삼성 1986. 08. 27 대구 MBC 유종겸 5회 1점 (시즌 13호)[14]
253 - 340 장종훈 한화 1999. 05. 23 광주 해태 8회 2점 홈런.[15]
341 - 351 양준혁 삼성 2009. 05. 09 대구 LG 류택현 6회말 1점[16]
352 - 467 이승엽 삼성 2013. 06. 20 문학 SK 윤희상 1324 3회초 1사 1,3루 3점 홈런 (2017년 은퇴, 통산 467홈런)

상세

Thumb
한화 이글스 영구 결번 35번 장종훈
Thumb
삼성 라이온즈 영구 결번 10번 양준혁
기록 선수 소속 날짜 구장 상대팀 상대 투수 경기 수 달성 당시 나이 주석 및 기타
1홈런 이만수 삼성 1982. 03. 27 서울 MBC 유종겸 1 23세 6개월 8일 5회초 1점[2]
2/ 3홈런 1982. 03. 28 대구 삼미 2 4회 1점, 7회 2점[17]
4홈런 김우열 OB 1982. 04. 15 서울 삼미 감사용 3회초 1점[3]
5홈런 1982. 05. 02 청주 삼성 이선희 4회 1점[18]
6홈런 1982. 05. 05 청주 삼성 1회 2점[19]
7/ 8홈런 1982. 05. 15 대전 삼미 1회 2점, 6회 2점[20]
9홈런 1982. 05. 19 부산 롯데 2회 1점[21]
10홈런 1982. 05. 23 대구 삼성 32세 8개월 14일 9회 3점, 21경기째로 역대 연도별 최소 경기 10홈런 기록임[22][23]
11홈런 1982. 06. 16 부산 삼미 3회 3점[24]
12/ 13홈런 김봉연 해태 1982. 07. 24 광주 롯데 김문희
이진우
2회 1점, 3회 2점[4]
14홈런 1982. 08. 12 광주 삼미 2회 1점[25]
15홈런 김준환 해태 1982. 09. 05 광주 OB 황태환 5회 2점[5]
16홈런 백인천 MBC 1982. 09. 08 부산 롯데 9회 1점, 이 경기에서 1회에도 만루 홈런을 침[6]
17홈런 김봉연 해태 1982. 09. 16 광주 MBC 6회 1점[7]
18홈런 1982. 09. 19 광주 삼미 2회 3점[26]
19홈런 1982. 09. 25 대전 OB 7회 2점[27]
20홈런 1982. 09. 28 부산 롯데 72 30세 8개월 15일 DH1 2회초 1점
* 72경기째로 역대 연도별 최소 경기 20홈런 기록임[23][28]
21/ 22홈런 1982. 10. 06 광주 롯데 DH-2 2회 2점, 5회 3점[23][29]
23/ 24홈런 1983. 04. 20 광주 롯데 김문희
이윤섭
1회 2점, 8회 2점, (시즌 1,2호)[30]
25홈런 1983. 04. 30 서울 MBC 8회 1점 (시즌 3호)[31]
26/ 27홈런 1983. 05. 07 광주 OB 3회 1점, 6회 1점 (시즌 4,5호)[32]
28홈런 1983. 05. 08 광주 OB 8회 1점 (시즌 6호)[32]
29홈런 1983. 05. 10 서울 MBC 1회 2점 (시즌 7호)[33]
30홈런 1983. 05. 12 인천 삼미 장명부 8회 1점 (시즌 8호)
31홈런 1983. 05. 14 인천 삼미 3회 2점 (시즌 9호)[34]
32홈런 1983. 05. 21 광주 삼성 7회 1점 (시즌 10호)[35]
33홈런 1983. 05. 22 광주 삼성 7회 2점 (시즌 11호)[35]
34홈런 1983. 05. 26 광주 삼미 5회 2점 (시즌 12호)[36]
35홈런 1983. 05. 29 대전 OB 1회 2점 (시즌 13호)[37]
36홈런 1983. 05. 29 광주 삼미 5회 1점 (시즌 14호)[38]
37/ 38홈런 1983. 05. 29 대구 삼성 1회 3점, 8회 3점 (시즌 15,16호)[39]
39홈런 1983. 08. 28 광주 삼미 인호봉 7회 2점 (시즌 17호)[40]
40홈런 1983. 08. 29 광주 삼미 오문현 4회말 1점 (시즌 18호)[41]
41홈런 1983. 09. 07 광주 MBC 5회 1점 (시즌 19호)[42]
42홈런 1983. 09. 12 부산 롯데 4회 1점 (시즌 20호)[43]
43홈런 1983. 09. 17 인천 삼미 ? (시즌 21호)[44]
44홈런 1983. 09. 22 인천 삼미 4회 1점 (시즌 22호)[45]
45홈런 1984. 04. 15 대전 OB 6회초 1점 (시즌 1호)[46]
46홈런 1984. 04. 24 부산 롯데 3회초 1점 (시즌 2호)
2위 * 이만수는 이날 삼미와의 경기에서
시즌 4호 홈런으로 통산 44개 기록[47]
47홈런 이만수 삼성 1984. 05. 01 대전 OB 3회초 3점 (시즌 7호)[8]
48홈런 1984. 05. 02 대전 OB 1회 3점 (시즌 8호)[48]
49홈런 1984. 05. 09 대구 해태 3회 3점 (시즌 9호)
2위 김봉연은 7회에 2점 홈런으로 49개)[49]
50홈런 1984. 05. 10 대구 해태 1회 2점 (시즌 10호), 2위 김봉연 49개)[50]
51홈런 김봉연 해태 1984. 05. 14 서울 MBC 정순명 1회 2점 (시즌 7호)[9]
52홈런 1984. 05. 19 광주 삼성 정순명 6회 2점 (시즌 8호)[51]
53홈런 1984. 05. 22 광주 OB 1회 2점 (시즌 9호)[52]
*2위 이만수는 이날 롯데와의 경기에서
시즌 11, 12호를 날려 통산 52개 기록
54홈런 1984. 05. 29 인천 삼미 7회 2점 (시즌 10호)[53]
55홈런 1984. 06. 10 대구 삼성 4회 2점 (시즌 11호)[54]
*2위 이만수도 이날 같은 경기에서
7회 3점 시즌 14호 홈련을 날려 통산 54개 기록
56홈런 1984. 06. 12 광주 롯데 1회 2점 (시즌 12호)[55]
*2위 이만수도 이날 삼미와의 경기에서
8회 1점 시즌 15호 홈련을 날려 통산 55개 기록
57홈런 1984. 07. 25 인천 삼미 1회 2점 (시즌 13호)[56]
58/ 59홈런 1984. 07. 26 인천 삼미 3회 2점, 8회 1점 (시즌 14,15호)[57]
60홈런 이만수 삼성 1984. 08. 08 인천 삼미 8회 3점 (시즌 20호)[10]
61홈런 1984. 08. 17 광주 해태 주동식 2회 초 1점 (시즌 21호)[58]
62홈런 1984. 08. 18 대구 롯데 4회 2점 (시즌 22호)[59]
63홈런 1984. 09. 11 대구 OB 8회 2점 (시즌 23호, 84년 시즌 마지막 홈런)
2위 김봉연은 시즌 17호 통산 61개로 8시즌 마감[60]
64홈런 1985. 04. 10 광주 해태 4회 2점 (시즌 1호)[61]
65홈런 김봉연 해태 1985. 04. 17 광주 MBC 1회 2점 시즌 4호[11]
66홈런 이만수 삼성 1985. 04. 28 대구 OB 계형철 4회 2점, 시즌 3호[12]
67홈런 1985. 05. 07 대구 해태 강만식 15회 1점, 시즌 4호[62]
68홈런 1985. 05. 26 서울 MBC 14회 2점, 시즌 5호[63]
69/ 70홈런 1985. 05. 28 대구 해태 1회 3점, 8회 1점 시즌 7호[64]
71홈런 1985. 05. 31 부산 롯데 5회 1점 (시즌 8호)[65]
72홈런 1985. 07. 16 광주 해태 5회 2점 (시즌 9호)[66]
73홈런 1985. 07. 18 광주 해태 4회 1점 (시즌 10호)[67]
74/ 75홈런 1985. 07. 21 대구 청보 6회 1점, 9회 2점 (시즌 11,12호)[68]
76홈런 1985. 07. 24 광주 해태 문희수 5회 2점 (시즌 13호)[69]
77홈런 1985. (시즌 14호)
78홈런 1985. 08. 25 인천 청보 4회 1점 (시즌 15호)[70]
79 /80홈런 1985. 08. 27 대구 MBC 안언학
이광권
6회 3점, 8회 1점 (시즌 16,17호)[70]
81홈런 1985. 08. 30 대구 OB 황태환 1회 1점 (시즌 18호)[71]
82홈런 1985. 09. 08 서울 OB 5회 1점,(시즌 19호)[72]
83홈런 1985. 09. 09 서울 OB 3회 3점,(시즌 20호)[73]
84홈런 1985. 09. 11 대구 OB 3회 2점,(시즌 21호)[74]
85홈런 1985. 09. 17 대구 롯데 7회 1점, 시즌 마지막 홈런(22호)[75]
2위 김봉연의 시즌 마지막 홈런은
9월 27일에 나온 시즌 17호 홈런(통산 78개)임
86/ 87홈런 1986. 05. 10 잠실 MBC ? (시즌 1,2호)[76]
88홈런 1986. 05. 15 대전 빙그레 8회 3점(시즌 3호)[77]
89홈런 1986. 05. 15 대구 MBC 6회 2점(시즌 4호)[78]
90홈런 1986. 05. 22 대전 빙그레 6회 2점 (시즌 5호)[79]
91홈런 1986. 05. 23 청주 빙그레 1회 2점 (시즌 6호)[80]
92홈런 1986. 05. 29 인천 청보 4회 3점 (시즌 7호)[81]
93홈런 1986. 06. 06 인천 청보 DH-2, 3회 1점 (시즌 8호)[82]
94홈런 1986. 06. 10 대전 빙그레 3회 2점, 시즌 9호[83]
95홈런 김봉연 해태 1986. 07. 20 광주 삼성 6회 3점 (시즌 17호)[13]
96홈런 1986. 08. 03 광주 삼성 8회 1점 (시즌 18호)[84]
97홈런 1986. 08. 09 광주 청보 정선두 1회 2점 (시즌 19호)
98홈런 이만수 삼성 1986. 08. 27 대구 MBC 유종겸 5회 1점 (시즌 13호)[14]
99홈런 1986. 08. 31 인천 청보 김기태 1회 1점 (시즌 14호)[85]
100/ 101홈런 1986. 09. 02 대구 빙그레 천창호
손문곤
420 27세 11개월 14일 1회말 좌측 장외 홈런, 3회 1점 (시즌 15,16호)[23]
* 최연소 100홈런: 삼성 이승엽- 22세 8개월 17일 (1999년 5월 5일, 대구 현대 전)
* 최고령 100홈런: KIA 최희섭-36세 2개월 5일,(2015년 5월 21일, 사직 롯데전 , 역대 70번째)
* 최소 경기 100홈런: 두산 우즈- 324경기 (2000년 7월 4일, 대구 삼성 전)
150홈런 1989. 07. 17 대구 MBC 예병준 655 30세 9개월 28일 [23]
200홈런 1991. 09. 17 대구 해태 936 32세 11개월 29일 [23]
* 최연소/최소 경기 200홈런: 삼성 이승엽- 24세 10개월 3일/ 816경기 (2001년 6월 21일, 대구 한화 전)
250홈런 1996. 08. 24 대구 현대 1399 37세 11개월 5일 [23]
252홈런 1997. 09. 27 광주 해태(DH1) 3회초 3점 홈런. (시즌 2호, 통산 마지막 홈런)[86]
253홈런 장종훈 한화 1999. 05. 23 광주 해태 유기중 8회 2점 홈런.[15]
300홈런 2000. 10. 06 대전 두산 최용호 1565 32세 5개월 26일 DH 1[23]
*최연소 300홈런: 삼성 이승엽- 26세 10개월 4일 (2003년 6월 22일, 대구 SK 전 1점 홈런). 세계 최연소 기록임
340홈런 2005. 04. 06 대전 두산 9회말 대타 홈런. 본인 마지막 홈런
341홈런 양준혁 삼성 2009. 05. 09 대구 LG 류택현 6회말 1점[16]
350홈런 2009. 07. 14 대구 두산 이재우 2057 40세 1개월 18일 DH 1[23]
351홈런 2010. 04. 23 대구 두산 오현택 2135 7회말 1점. 본인 마지막 홈런
352홈런 이승엽 삼성 2013. 06. 20 문학 SK 윤희상 1324 3회초 1사 1,3루 3점 홈런
400홈런 2015. 06. 03 포항 롯데 구승민 3회말 우익수 뒤로 넘아가는 장외 1점 홈런 (시즌 10호, 한일통산 559호)
467홈런 2017. 10. 03 대구 넥센 한현희 1906 은퇴 경기, 3회말 2사 1점(비거리 120m), 1회에도 2점 홈런
Remove ads

연도별 개인 통산 최다 홈런 순위(1-10위)

  • 는 해당 연도에 현역으로 뛴 선수를, 는 새로 10위권에 진입한 선수를 나타낸다.
연도 1 2 3 4 5 6 7 8 9 10
1982년 김봉연 (해태)
22개
김준환 (해태)
19개
백인천 (MBC)
19개
김성한 (해태)
13개
김우열 (OB)
13개
이만수 (삼성)
13개
김일권 (해태)
11개
김용희 (롯데)
11개
김정수 (롯데)
11개
박용성 (롯데)
11개
1983년 김봉연 (해태)
44개
이만수 (삼성)
40개
김준환 (해태)
29개
김용희 (롯데)
29개
박용성 (롯데)
28개
김용철 (롯데)
24개
김우열 (OB)
22개
백인천 (삼미)
20개
김성한 (해태 )
20개
이종도 (MBC)
19개
1984년 이만수 (삼성)
63개
김봉연 (해태)
61개
김용희 (롯데)
38개
김준환 (해태)
35개
박용성 (롯데)
35개
김용철 (롯데)
35개
김성한 (해태 )
32개
백인천 (삼미)
27개
정구선 (삼미)
27개
김종모 (해태)
26개
2002년 장종훈 (한화)
327개
이승엽 (삼성)
268개
이만수 (삼성)
252개
김기태 (SK)
236개
양준혁(삼성)
222개
김성한 (해태)
207개
박경완 (SK)
192개
마해영 (삼성)
191개
심정수 (현대)
190개
박재홍 (기아)
176개
2006년 장종훈 (한화)
340개
이승엽 (삼성)
324개
양준혁(삼성)
309개
심정수 (삼성)
294개
박경완 (SK)
265개
마해영 (LG)
257개
이만수 (삼성)
252개
김기태 (SK)
249개
박재홍 (SK)
238개
송지만 (현대)
233개
2007년 장종훈 (한화)
340개
양준혁 (삼성)
331개
심정수(삼성)
325개
이승엽 (삼성)
324개
박경완 (SK)
280개
마해영 (롯데)
258개
박재홍 (SK)
255개
이만수 (삼성)
252개
김기태 (SK)
249개
송지만 (현대)
248개
2008년 장종훈 (한화)
340개
양준혁 (삼성)
339개
심정수(삼성)
328개
이승엽 (삼성)
324개
박경완 (SK)
287개
박재홍 (SK)
274개
송지만 (히어로즈)
261개
마해영 (롯데)
260개
이만수 (삼성)
252개
김기태 (SK)
249개
2009년 양준혁 (삼성)
350개
장종훈 (한화)
340개
심정수(삼성)
328개
이승엽 (삼성)
324개
박경완 (SK)
299개
박재홍 (SK)
286개
송지만 (넥센)
283개
마해영 (롯데)
260개
이만수 (삼성)
252개
김기태 (SK)
249개
2010년 양준혁 (삼성)
351개
장종훈 (한화)
340개
심정수(삼성)
328개
이승엽 (삼성)
324개
박경완 (SK)
313개
송지만 (넥센)
300개
박재홍 (SK)
294개
마해영 (롯데)
260개
김동주 (두산)
253개
이만수 (삼성)
252개
2011년 양준혁 (삼성)
351개
장종훈 (한화)
340개
심정수(삼성)
328개
이승엽 (삼성)
324개
박경완 (SK)
313개
송지만 (넥센)
309개
박재홍 (SK)
295개
김동주 (두산)
270개
마해영 (롯데)
260개
이만수 (삼성)
252개
2012년 양준혁 (삼성)
351개
이승엽 (삼성)
345개
장종훈 (한화)
340개
심정수(삼성)
328개
박경완 (SK)
313개
송지만 (넥센)
309개
박재홍 (SK)
300개
김동주 (두산)
272개
마해영 (롯데)
260개
이만수 (삼성)
252개
2013년 이승엽 (삼성)
358개
양준혁 (삼성)
351개
장종훈 (한화)
340개
심정수(삼성)
328개
박경완 (SK)
314개
송지만 (넥센)
311개
박재홍 (SK)
300개
김동주 (두산)
273개
이호준
262개
마해영 (롯데)
260개
2014년 이승엽 (삼성)
390개
양준혁 (삼성)
351개
장종훈 (한화)
340개
심정수(삼성)
328개
박경완 (SK)
314개
송지만 (넥센)
311개
박재홍 (SK)
300개
이호준 (NC)
285개
김동주 (두산)
273개
마해영 (롯데)
260개
2015년 이승엽 (삼성)
416개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