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폭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폭류(暴流, 瀑流)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다.[1][2][3][4][5][6]
- 번뇌의 여러 다른 이름 가운데 하나이다.
- 번뇌의 여러 다른 이름 가운데 하나인 액(軛)과 그 뜻은 따르지만, 그 실체 즉 자성(自性)은 동일하다.[7]
-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심식론에서 제8아뢰야식이 끊임없이 흐르는 거센 물결처럼 항상 왕성하게 작용하는 것을 가리킨다. 제7말나식이 아뢰야식의 이 끊임없는 작용(견분)을 자내아로 오인하여 항상 4번뇌를 일으킨다.
폭류(暴流, 瀑流)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사나운 흐름[暴流] 또는 폭포수 같은 흐름[瀑流]으로, 번뇌의 여러 다른 이름 가운데 하나이다. 홍수가 나면 사람 · 짐승 · 집 · 산림 등이 휩쓸려 유실되듯이 번뇌가 온갖 선한 품류를 유실하게 하므로 폭류라고 한다. 폭하(暴河)라고도 한다.[1][2][3]
통상적으로 폭류는 욕폭류(欲暴流) · 유폭류(有暴流) · 견폭류(見暴流) · 무명폭류(無明暴流)의 4폭류(四暴流: 4가지 사나운 흐름)로 나뉜다.[8][9][10][11][12] 4폭류는 욕액(欲軛) · 유액(有軛) · 견액(見軛) · 무명액(無明軛)의 4액(四軛: 4가지 멍에)과 일치한다. 즉, 각각에 포함되는 번뇌가 서로 일치한다. 즉, 실체 즉 자성(自性)이라는 측면에서는 4폭류와 4액은 동일하다. 하지만, 그 뜻 즉 의미에 있어서는 폭류(暴流: 사나운 흐름)와 액(軛: 멍에)으로 차이가 있다.[7][13][14]
Remove ads
폭류의 뜻
《유가사지론》 8권과 84권, 《집론》 제4권, 《구사론》 제20권, 《현종론》 27권, 《입아비달마론》 상권에 따르면, 폭류(暴流)에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15]
경론별 설명
요약
관점
유가사지론
집론·잡집론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논서 《집론》 제4권과 《잡집론》 제6권과 제7권에 따르면,
- 폭류(暴流)는 번뇌의 다른 이름인 결(結) · 박(縛) · 수면(隨眠) · 수번뇌(隨煩惱) · 전(纏) · 폭류(暴流) · 액(軛) · 취(取) · 계(繫) · 개(蓋) · 주올(柱杌) · 구(垢) · 소해(燒害) · 전(箭) · 소유(所有) · 악행(惡行) · 누(漏) · 궤(匱) · 열(熱) · 뇌(惱) · 쟁(諍) · 치연(熾然) · 조림(稠林) · 구애(拘礙) 가운데 하나이다. 참고로, 《집론》에서는 폭류(暴流: 사나운 흐름)라고 하고 있고 《잡집론》에서는 폭류(瀑流: 폭포수 같은 흐름)라고 하고 있다.[24][25][26][27]
Remove ads
분류
4폭류
통상적으로 폭류는 욕폭류(欲暴流) · 유폭류(有暴流) · 견폭류(見暴流) · 무명폭류(無明暴流)의 4폭류(四暴流: 4가지 사나운 흐름)로 나뉜다. 4폭류는 4류(四流: 4가지 흐름) · 4대폭하(四大暴河: 4가지 사나운 홍수) 또는 4폭하(四瀑河: 4가지 폭포수)라고도 한다.[8][9][10][11][12]
같이 보기
- 3도: 견도 · 수도 · 무학도
- 현관: 4제현관 · 6현관
- 유루와 무루
- 번뇌의 해석
- 번뇌의 다른 이름
- 번뇌의 작용
- 번뇌의 분류
- 번뇌 = 근본번뇌 + 수번뇌
- 번뇌 = 잡염 = 유부무기 + 불선
- 번뇌 = 108번뇌 = 98수면 + 10전
- 번뇌 = 개: 5개
- 번뇌 = 결: 2결 · 3결 · 4결 · 5결 · 9결 · 10결(= 5하분결 + 5상분결) · 98결 · 108결
- 번뇌 = 구애: 3구애 · 5구애
- 번뇌 = 뇌: 3뇌
- 번뇌 = 누: 3루
- 번뇌 = 박: 3박 · 4박
- 번뇌 = 사: 7사 · 10사 · 98사 · 128사
- 번뇌 = 악행: 3악행
- 번뇌 = 취: 2취 · 4취
Remove ads
참고 문헌
-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72(16-157), T.1605(31-663).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70(15-465), T.1579(30-279).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55(27-453), T.1558(29-1).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76(16-228), T.1606(31-694).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7, T.1563). 《아비달마장현종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57(28-1), T.1563(29-777).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영어) DDB.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電子佛教辭典)》. Edited by A. Charles Muller.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大乘阿毘達磨集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05, CBETA.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대정신수대장경. T30, No. 1579. CBETA.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佛門網. 《佛學辭典(불학사전)》.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대정신수대장경. T29, No. 1558, CBETA.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大乘阿毘達磨雜集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06, CBETA.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중현 조, 현장 한역 (T.1563). 《아비달마장현종론(阿毘達磨藏顯宗論)》. 대정신수대장경. T29, No. 1563, CBETA.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Remove ads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