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고려의 왕후 목록

위키미디어 목록 항목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다음은 고려 국왕의 정실 부인(正宮)으로서 황후의 자리에 있던 사람 혹은 사후에 추존된 고려의 왕후(高麗-王后) 목록이다.

개요

고려의 왕비는 고려사고려사절요, 동국통감 등의 역사서와 당대의 묘지명과 같은 금석문의 기록에 의하면 '왕후(王后)', '○비(○妃)'[1], '황후(皇后)'[2], '궁주(宮主)', '원주(院主)', '공주(公主)' 등으로 표현되며, 제도의 변천과 명칭의 변개가 잦고 어떠한 규례를 두었는가에 대한 자료가 적어 자세히 알 수 없다.[3]

황제의 정실부인은 보통 궁주(宮主)의 칭호와 궁을 하사받고 왕비에 책봉되었으며 사후에 왕후(王后)로 추존되었다. 국왕의 어머니는 대후(大后), 태후(太后), 왕태후(王太后) 혹은 황태후(皇太后)[4]로 칭하였고, '대왕태후(大王太后)'[5][6], '태황태후(太皇太后)'[4], '황비(皇妣, 황제의 돌아가신 어머니)'[7]라는 기록이 남아있다. 국왕은 정실 왕후 외에도 여러 후비들을 맞아들였는데 그 중에는 사후에 왕후로 추존된 이들도 있다.

또한 왕실 내에서 족내혼이 성행하여 국왕과 왕후는 서로 이복 남매이거나, 내종 혹은 외종 사촌이나 육촌간인 경우가 많았다. 아버지가 국왕이나 왕족인 경우, 부성인 왕씨(王氏)를 사용하지 않고 모계 성씨를 사용하거나, 조모, 외조모의 성씨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본래의 부계 성과 모계 성을 혼재해서 사용한 기록도 보인다.[8]

고려-몽골 전쟁 이후인 13세기 후반부터 원나라 황족 출신의 공주들이 고려의 왕비가 되었는데, 이중 제국대장공주노국대장공주만이 왕후의 시호를 받았다.

Remove ads

역대 황후(왕후)

자세한 정보 대수, 제왕 ...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