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고속터미널역
서울지하철 3, 7, 9호선의 전철역 중 하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고속터미널역(高速터미널驛, Express Bus Terminal station)은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1동과 잠원동에 걸쳐 있는 수도권 전철 3호선, 서울 지하철 7호선, 서울 지하철 9호선의 환승역이다. 인근에 서울고속버스터미널(경부선 터미널), 센트럴시티(호남선 터미널),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이 있다. 수도권 전철 3호선의 역들 중에서는 이용객이 압도적으로 많은 역이다. 참고로, 이 역의 영어표기는 'Express Bus Terminal'이기 때문에 고속터미널이 아닌 고속버스터미널이 원칙적으로 맞는 표현이다.
Remove ads
역사
역 구조
요약
관점
3호선, 7호선, 9호선 순으로 工자 형태로 교차하며, 1호선, 3호선, 5호선의 환승역인 종로3가역과 비슷한 모습이다. 3호선 오금 방면으로 계속 가면 3 - 7호선 환승이 가능하다. 3호선 - 9호선은 구파발, 대화 방면, 7호선에서는 도봉산, 장암 방면, 9호선에서는 중앙보훈병원 방면의 끝에서 환승이 가능하다. 9호선 승강장은 매우 깊은 편이어서, 9호선 - 7호선은 환승 길이가 매우 길기 때문에 300m 이상을 걸어가야 한다. 게다가 3호선↔7호선↔9호선간의 환승은 이 역에서만 가능하다. 3호선 대합실과 평행하게 놓인 환승 통로를 쓰고, 그 통로에는 무빙 워크가 설치되어 있으며, 9호선 열차의 진입 상황을 알려주는 전광판이 설치되어 있다.
9호선 승강장의 위층에는 아주 크고 넓은 공간이 설치되어 있다. 9호선 고속터미널역 설계 당시 3호선 승강장의 15cm 아래를 굴착해야 하였는데, 천장에 보이는 파이프 모양의 구조물은 CAM 공법에 사용된 자재를 그대로 노출시킨 것이다. 쌍용건설이 TRCM 공법과 CAM 공법을 결합한 건설 공법으로 9호선 고속터미널역은 '2009년 올해의 토목구조물' 대상을 수상하였다.[6] 10월 23일 영국토목학회(IC)로부터 브루넬 메달을 수상하였다.[7]
3호선 승강장의 경우 2002년부터 2008년 중반기까지 1호선 종로3가역과 2호선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4호선 혜화역, 5호선 천호역, 7호선 건대입구역과 같이 승강장 내 소음을 줄이기 위한 방음 시설물이 설치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철거되었다.
3호선 역 대합실에서 서울고속버스터미널 인근으로 이동하는 지하 연결통로가 설치되어 있다.
세 노선 모두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서울교통공사 소속 7개와 서울시메트로9호선 소속 3개로 총 10개가 있다.
7호선 승강장의 경우 7호선 전역을 통틀어서 곡선의 각도가 매우 심하게 휘어있어 승강장과 열차사이의 틈새가 넓기 때문에 특정역으로 분류된다. 따라서 승·하차시 발이 빠지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3호선 승강장
잠원↑ |
| 상 |
↓교대 |
7호선 승강장
반포 ↑ |
| 상 |
↓ 내방 |
9호선 승강장
신반포 ↑ |
| 하 |
↓ 사평 |
Remove ads
역 주변
이용객 변동
요약
관점
7호선의 2000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0년 8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153일치만이, 9호선의 2009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9년 7월 24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161일치만이 반영된 것이다.
Remove ads
사진
- 개정 전 3호선 역명판
- 7호선 부평구청방면 역명판 (개정 전)
- 3호선 승강장(스크린도어 설치 전및 LCD 전광판교체전)
- 9호선 승강장(6량 확장 전)
- 3호선 역명판과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
- 7호선 장암방면 역명판
- 7호선 지하상가
- 환승 통로
- 센트럴시티 통로
- 7호선 대합실
- 3호선 대합실
- 9호선 대합실
- 환승 통로
- 환승 통로
- 8-2번 출입구
- 9호선 역명판
- 7호선 승강장
- 7호선 승강장 2
인접한 역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