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은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내기삼거리와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평창읍 마지삼거리를 연결하는 국가지원지방도이다. 제천시 수산면에서 평창군 대화면까지는 이전에 지방도 제597호선이었다.
Remove ads
역사
요약
관점
1994년 '포승 ~ 생극선'이라는 이름으로 국도 제82호선을 신설하기로 계획되었던 도로가 시초이며, 당시 연장은 97km로 정해져 있었다. 그러나 국가 재정 부족으로 평택시 포승읍 ~ 화성시 양감면 구간만 국도로 지정되었다. 이 때 국도로 지정되지 않은 잔여 구간이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으로 지정된 것이다. 2001년 8월 25일 국가지원지방도 노선 지정령이 전부 개정되면서 음성 ~ 평창 구간이 연장되고, 2008년 11월 17일 화성 ~ 평택 구간이 연장되었다.
- 1996년 7월 19일 : 경기도 화성군 향남면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구간을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 화성 ~ 음성선으로 지정[1]
- 2001년 8월 25일 : 음성 ~ 평창 구간이 연장되면서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 화성 ~ 평창선이 됨[2]
- 2001년 12월 28일 : 음성군 대소면 오류리 1.52km 구간과 음성군 금왕읍 오선리 ~ 무극리 2.38km 구간 확·포장 개통[3]
- 2003년 7월 18일 : 대소 ~ 금왕간 도로(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오류리 ~ 금왕읍 오선리) 8.34km 구간 개통[4]
- 2004년 2월 13일 : 육령 ~ 오생간 도로(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육령리 ~ 생극면 오생리) 3.74km 구간 개통[5]
- 2006년 5월 15일 : 안성 ~ 양성간 도로(안성시 대덕면 모산리 ~ 양성면 난실리) 12.9km 구간 확장 개통[6]
- 2008년 6월 20일 : 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 양화리 ~ 구룡리 3.9km 구간 확장 개통[7]
- 2008년 11월 17일 : 기점이 경기도 화성시 향남면에서 평택시 포승읍으로 연장되면서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 평택 ~ 평창선으로 노선 변경[8]
- 2008년 12월 26일 : 충청북도 구간 도로구역 지정[9]
- 2011년 5월 20일 : 북충주IC ~ 가금간 도로 확포장공사로 인해 충주시 노은면 수룡리 ~ 가금면 용전리) 5.34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0]
- 2012년 4월 21일 : 제천시 청풍면 물태리 ~ 도화리 1.56km 구간 및 청풍대교 개통[11]
- 2013년 8월 10일 : 가금 ~ 칠금간 도로(충청북도 충주시 가금면 용전리 ~ 칠금동) 6.607km 구간 임시 개통(9월 10일 까지)[12]
- 2013년 8월 14일 : 북충주IC ~ 가금간 도로(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수룡리 ~ 가금면 용전리) 4.986km 구간 임시 개통(9월 10일 까지)[12]
- 2013년 9월 11일 : 가금 ~ 칠금간 도로, 북충주IC ~ 가금간 도로 임시 개통[13]
- 2014년 3월 28일 : 가금 ~ 칠금간 도로(충청북도 충주시 가금면 용전리 ~ 칠금동) 6.607km 구간 개통[14]
- 2014년 7월 22일 : 북충주IC ~ 가금간 도로(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수룡리 ~ 가금면 용전리) 4.986km 구간 개통[15]
- 2017년 9월 29일 : 연금리조트 ~ 청풍대교간 도로(제천시 청풍면 도화리 ~ 교리) 1.74km 구간 확장 개통[16]
- 2018년 8월 10일 : 북충주IC ~ 가금간 도로(충주시 노은면 수룡리 ~ 중앙탑면 용전리) 4.99km 구간과 가금 ~ 칠금간 도로(충주시 중앙탑면 용전리 ~ 칠금동) 5.8km 구간 개통, 기존 충주시 노은면 수룡리 ~ 중앙탑면 창동리 총 6.99km 구간 폐지[17]
- 2021년 9월 10일 : 노은 ~ 북충주IC간 도로(충주시 노은면 문성리 ~ 신효리) 3.67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2.81km 구간 폐지[18]
- 2025년 7월 11일 : 종점을 평창읍 도돈리를 하리로 변경
Remove ads
주요 경유지
- 평택시 포승읍 - 화성시 (장안면 - 우정읍 - 장안면 - 팔탄면 - 향남읍 - 양감면) - 평택시 서탄면 - 화성시 정남면 - 오산시 (벌음동 - 누읍동 - 가수동 - 오산동 - 부산동) - 화성시 장지동 -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 - 이동읍) - 안성시 (양성면 - 고삼면 - 보개면 - 삼죽면 - 죽산면)
Remove ads
노선
요약
관점
경기도
충청북도
- 기존 구간 (2014년 이전 노선)
- 충주시 용원초등학교 - 용원삼거리 - 용원교 - 신청리 - 화석리 - 덕고개 - 노은교 - 노은삼거리
강원특별자치도
Remove ads
도로명
- 경기도
- 평택시 포승읍 내기삼거리 ~ 화성시 우정읍 봉화 교차로 : 포승향남로
- 화성시 우정읍 봉화 교차로 ~ 조암삼거리 : 기아자동차로
- 화성시 우정읍 조암삼거리 ~ 향남읍 (발안파출소) : 3.1만세로
- 화성시 향남읍 (발안파출소) ~ 발안사거리 : 평3길
- 화성시 향남읍 발안사거리 ~ 오산시 초평동 오산초교삼거리 : 발안로
- 오산시 초평동 오산초교삼거리 ~ 오산시 초평동 오산세교 12단지 : 초평중앙로
- 오산시 초평동 오산세교12단지 ~ 남촌동 남촌오거리 : 감투로
- 오산시 초평동 남촌오거리 ~ 초평동 남촌동다리앞 교차로 : 성호대로
- 오산시 남촌동 남촌동다리앞 교차로 ~ 중앙동 운동장사거리 : 오산천로
- 오산시 중앙동 운동장사거리 ~ 안성시 양성면 난실 교차로 : 경기동로
- 안성시 양성면 난실 교차로 ~ 고삼면 고삼 교차로 : 안성대로
- 안성시 고삼면 고삼 교차로 ~ 가유리 : 신창길
- 안성시 고삼면 가유리 ~ 보개면 서삼삼거리 : 고삼호수로
- 안성시 보개면 서삼삼거리 ~ 천주교공원묘지 교차로 : 보개원삼로
- 안성시 보개면 천주교공원묘지 교차로 ~ 삼죽면 삼죽면사무소 : 보삼로
- 안성시 삼죽면 삼죽면사무소 ~ 용월리 : 삼죽로
- 안성시 죽산면 두현리 ~ 죽산삼거리 : 죽주로
- 안성시 죽산면 죽산삼거리 ~ 두계교 : 걸미로
- 충청북도
- 진천군 광혜원면 두계교 ~ 만승교사거리 : 진광로
- 진천군 광혜원면 만승교사거리 ~ 충주시 신니면 오생1 교차로 : 대금로
- 충주시 신니면 오생1 교차로 ~ 용원 교차로 : 중원대로
- 충주시 신니면 용원 교차로 ~ 노은면 노은삼거리 : 신니~노은간 도로
- 충주시 노은면 노은삼거리 ~ 중앙탑면 중구2 교차로 : 감노로
- 충주시 중앙탑면 중구2 교차로 ~ 문화동 부민삼거리 : 탄금대로
- 충주시 문화동 부민삼거리 ~ 성내충인동 제1로터리 : 중앙로
- 충주시 성내충인동 제1로터리 ~ 호암직동 호암사거리 : 예성로
- 충주시 호암직동 호암사거리 ~ 살미면 용천삼거리 : 중원대로
- 충주시 살미면 용천삼거리 ~ 제천시 수산면 수산사거리 : 월악로
- 제천시 수산면 수산사거리 ~ 영서동 남당 교차로 : 청풍호로
- 제천시 영서동 남당 교차로 ~ 의암동 장락역 : 내토로
- 제천시 의암동 장락역 ~ 둔전골안길입구 교차로 : 둔전로
- 제천시 의암동 둔전골안길입구 교차로 ~ 송학면 미고개 : 송학주천로
- 강원특별자치도
Remove ads
사진
- 창동 교차로
- 탄금대교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