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신안산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신안산선
Remove ads

신안산선(新安山線)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여의도역에서 경기도 시흥시의 시흥시청역안산시한양대역원시역을 이을 광역철도 노선이다.

간략 정보 신안산선, 기본 정보 ...

1997년 IMF 구제금융 요청으로 사업이 무산된 3기 지하철 중 서울 지하철 10호선 노선을 대체했다. 수익형 민자사업으로 건설되며 2018년 2월 23일 넥스트레인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지정됐다. 완공되면 소유권은 국가에 귀속되고, 민자 사업자는 선로 유지보수운영 업무를 담당한다. 운영은 동일한 사업자나 별도 업체에서 담당하되, 치안 서비스는 국토교통부 산하의 철도특별사법경찰대에서 담당할 예정이다.[1]

Remove ads

연혁

Remove ads

노선 개요

  • 노선명: 신안산선
  • 노선번호: 미정
  • 노선 거리: 49.4㎞
  • 운영 기관: 운영방식 및 기관 등 미정
  • 궤간: 1,435㎜ (표준궤)
  • 통행 방식: 좌측 통행
  • 역 수: 18개
  • 보안장치: 미정
  • 운행차량: 미정
  • 차량기지: 송산차량사업소

역 목록

요약
관점

역명은 국가철도공단 노선도에 따른 것으로,[5] 추후 연장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본선

자세한 정보 역 번호, 역명 ...

시흥시청분기선

시흥시청 ~ 원시 구간은 서해선에 포함된 구간으로 2018년 6월 16일 개통되었다. 원시 ~ 송산 구간은 서해선 광역전철과 직결되는 구간으로, 신안산선 사업에 포함된다.

자세한 정보 공용노선, 역 번호 ...

논란

요약
관점

노선 논란

당초 계획은 청량리 ~ 안산 구간을 건설할 예정이었으나, 안산시와 시흥시가 노선을 요구하고 이에 대해 의견 차가 좁혀지지 않아 결국 광명역에서 안산, 시흥 방면 노선이 분기되는 것으로 최종 확정되었다.

사업자 선정 논란

  • 2017년 8월 8일: 국토교통부가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트루벤인베스트먼트 컨소시엄에 부적격 사전통지를 하였다.[6]
  • 2017년 9월 27일: 트루벤인베스트먼트 컨소시엄이 국토교통부를 상대로 제기한 '우선협상자 지정 취소 효력 정치 가처분 신청'을 서울행정법원이 기각하였다. 이로써 신안산선 사업자 선정이 원점으로 복귀하였다.[7]

계속되는 착공 지연

2002년 개발계획이 발표되었으나 착공이 계속 지연되면서 광명, 시흥, 안산, 화성 송산그린시티 주민들이 반발하였다. 2018년 9월 광명, 시흥, 안산, 송산 일대 96개 아파트 입주단지 대표들로 구성된 '신안산선의 빠른 개통을 위한 시민연대'(이하 시민연대)는 16년째 진전이 없는 신안산선 착공 요구 성명서를 발표하였다. 시민연대는 "정부의 정보공개사이트를 확인해보면 GTX-A는 실시설계 및 실시협약, 건설사업 관리 등이 내역확인이 가능한데 신안산선은 조회조차 되지 않는다. 주민을 기만하고 무시한 행동이 아닐 수 없다"고도 비판했다.[8] 시흥, 안산, 광명, 금천, 영등포 등 관련 지역의 국회의원들은 '신안산선 조기개통을 위한 국회의원 모임'을 발족해 참여하고 있는 상태이다.[9]

국민의힘 함진규 의원(경기 시흥시 갑)은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에게 신안산선 착공 시기에 대해 질문했고, 김 장관은 "이변이 없으면 내년(2019년) 말 착공한다"고 답변했다.[10] 2018년 12월, 3기 신도시 계획과 함께 발표된 교통 대책에서는 신안산선의 2019년 8월 착공이 포함되었다.[11]

에스컬레이터 미설치 논란

넥스트레인이 민자사업으로 수익성을 맞추기 위해 지하철 출입구를 줄이고 에스컬레이터를 없앴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논란이 되었다. 실제로 서울 구간의 경우 최대 깊이가 70m에 달하는 만큼,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지 않고는 승강장으로 진입할 방법이 없다. 넥스트레인 측은 이에 대해 초고속 엘리베이터를 설치해 1분 이내 승강장 진입이 가능하다고 설명하나, 출퇴근시간대 엘리베이터 이용자가 몰릴 경우 대기시간이 길어지며, 엘리베이터가 고장났을 때, 엘리베이터를 점검 중일 때는 계단을 이용해야 한다.[12]

서해선 공용문제

Thumb
초지역 4번출구에 위치해 있는 서해선 임시 버스정류장

서해선 공용 구간인 서화성역 ~ 원시역 공사하고 있으나 늦어도 2026년 3월 31일에 개통될 예정이다. 신안산선 개통시까지 2024년 11월 2일부터 서화성역 ~ 초지역 구간 임시 연계 셔틀버스를 운행한다.[13]

Remove ads

사건 및 사고

  • 2025년 4월 11일, 광명 신안산선의 공사 현장에서 도로가 붕괴해 1명이 실종되고, 1명이 고립되었다.[14] 매몰된 2명 중 굴삭기 기사인 1명은 연락이 닿았지만 한 명은 생사를 알 수 없는 상황이다. 붕괴가 발생한 곳은 전날 10일 밤 9시50분쯤에 붕괴 우려 신고가 접수되었던 광명시 일직동 신안산선 복선전철 민간투자사업 제5-2공구 환기구 공사 현장이다. 당시 현장에서는 ‘투아치'(2arch) 구조로 시공 중이던 지하터널 안의 가운데 기둥에 균열이 생겼다고 한다.[15] 소방 대응 1단계 발령해 구조 작업 중이다.[14] 2025년 4월 14일 지하터널 공사현장 붕괴 사고로 근로자 1명이 실종된 지 72시간이 지났지만 찾지 못한 상태이다.[16]
  • 2025년 4월 16일 실종되었던 근로자가 숨진채 발견되었다.[17]업무상 과실치사상죄 혐의로 시공·하청·감리사 3명이 경찰에 입건되었다.[18]
  • 2025년 4월 25일 경기남부경찰청 수사전담팀과 고용노동부 성남지청은 경찰 수사관 60명과 고용노동부 근로감독관 등 90명을 투입시켰다.[19]
Remove ads

외부 링크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