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도상학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도상학
Remove ads

도상학(圖像學)[1] 또는 아이코노그래피(Iconography)[2]는 그림 혹은 이미지도상(圖像)의 내용들을 판정하고 서술하고 해석하는 것을 연구 과제로 하는 미술사의 한 분과이다. 따라서 도상학에서는 그림에 묘사되어 있는 주제들과, 그 주제들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 개별 구성 요소들과 세부 사항들, 그리고 예술 양식(artistic style)과는 구별되는 기타 요소들을 판정하고 서술하고 해석한다. "아이코노그래피(iconography)"라는 낱말은 고대 그리스어의 에이콘(εἰκών, eikon, 이미지)과 그라페인(γράφειν, graphein, 쓰다 또는 그리다)에서 유래하였다.

Thumb
한스 홀바인의 〈대사들(The Ambassadors)〉은 복잡한 도상학적 요소들을 가진 작품으로, 그 해석에 대해 논쟁중인 작품이다.

이러한 1차적인 의미에서 파생된 2차적인 의미로서, 비잔틴 미술동방 정교회 전통의 종교적 그림인 이콘을 제작하거나 연구하는 분야를 지칭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용법은 주로 그리스어나 러시아어와 같은 언어에서 번역된 작품에서 발견되며, 이에 맞는 정확한 용어는 "이콘화(icon painting)"이다.

미술사에서 "도상학"은 이미지 내용 측면에서 묘사된 인물의 수, 배치 및 제스처와 같은 이미지 내용의 관점에서 주제를 해석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 용어는 미술사 외에도 기호학, 대중 매체 연구, 고고학과 같은 학문에서도 사용되며,[3] 일반적으로는 이미지의 내용, 주제의 전형적인 이미지 묘사 및 관련 의미를 지칭한다.

때때로 도상해석학(iconology)과 도상학을 구분하기도 하지만,[4][5] 엄격히 구분되는 것은 아니며, 정의와 그에 따른 구분은 다양하다. 영화의 경우에는 특정 장르에 반복적으로 연관되는 모티프(도상학)을 통해 장르를 즉시 인식할 수 있다.[6]

Remove ads

학술 연구

요약
관점

기반

이탈리아 르네상스기의 화가이자 저술가인 조르조 바사리는, 이미지의 내용에 특별히 주목하여 그의 저서 《라조나멘티(Ragionamenti)》에서 피렌체베키오궁에 있는 그림들을 해석했다. 《라조나멘티》는 이러한 그림들이 동시대인들에게도 이해하기 어려웠다는 것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체사레 리파의 엠블럼 북(emblem book, 상징과 설명을 모은 책) 《이코놀로기아》는 상대적으로 덜 알려져 있지만, 1593년 출판된 후 2세기 이상 시인, 화가, 조각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7] 17세기 동시대 예술가들의 전기 작가인 "잔 피에트로 벨로리"는 많은 작품을 묘사하고 분석했지만, 항상 정확하지는 않았다. 레싱이 시도한 거꾸로 된 횃불을 든 고전적 인물 큐피드에 대한 연구(1796년)는 이미지를 연구하여 그 이미지가 유래한 문화를 설명하려는 초기 시도였다.[8]

Thumb
복잡한 도상학을 가진 그림: 한스 멤링의 소위 성모 칠락 – 사실 이것은 단일 패널에 그려진 성모의 삶의 주기를 나타낸 그림에 대해 나중에 붙인 제목이다. 성모와 관련되지 않은 장면들을 포함하여 총 25개의 장면이 묘사되어 있다. 1480년, 알테 피나코테크, 뮌헨.[9]

도상학은 19세기 "아돌프 나폴레옹 디드롱"(1806–1867), "안톤 하인리히 슈프링어"(1825–1891), "에밀 말레"(1862–1954)와 같은 학자들의 저술을 통해 미술사 학술 분야의 하나로 발전했다.[10] 이들은 모두 기독교 종교 미술의 전문가였는데, 이 시기에는 프랑스 학자들이 특히 두각을 나타내었다.[8] 그들은 체사레 리파나와 앙 클로드 필리프 드 케일루스의 『Recueil d'antiquités égyptiennes, étrusques, grècques, romaines et gauloises』와 같이 백과사전식으로 분류하고 정리하려던 이전 시도들을 검토하고, 당시의 인기 있는 미학적 접근 방식보다 더 과학적인 방식으로 종교적 및 세속적 예술 작품을 이해하기 위한 지침으로 삼았다.[10] 이러한 초기 기여로부터 예술의 내용을 식별하는 데 유용한 백과사전, 매뉴얼 및 기타 출판물이 생산되었다. 말레의 『l'Art religieux du XIIIe siècle en France』(원래 1899년, 개정판 포함)는 『The Gothic Image, Religious Art in France of the Thirteenth Century』로 번역되어 계속해서 출판되고 있다.

20세기

20세기 초 독일에서 아비 바르부르크(1866–1929)와 그의 추종자들인 프리츠 작슬(1890–1948), 에르빈 파노프스키(1892–1968)는 이미지 속 모티프의 식별 및 분류 작업을 통해, 도상학을 의미 이해의 수단으로 활용하는 방향으로 정교하게 발전시켰다.[10] 파노프스키는 1939년 저서 『도상학 연구』에서 도상학을 "미술사의 한 분야로서, 작품의 형식과는 별개인, 작품의 주제 또는 의미를 다루는 것"으로 정의하며 영향력 있는 접근법을 체계화했다.[10] 하지만 그가 주창한, "도상학"(간단히 말해 시각적 내용의 식별)과 구별되는 "도상해석학"(그 내용의 의미 분석)은 일반적으로 받아 들여지지 않는다.

파노프스키가 1931년 이민을 간 미국에서는 "프레더릭 하트"와 "메이어 샤피로"와 같은 학생들이 그의 영향 아래 학문 분야를 계속 이어나갔다.[10] 1942년의 영향력 있는 논문 "중세 건축의 도상학 입문"에서,[11] 중세 교회 전문가이자 또 다른 독일 망명자인 "리하르트 크라우트하이머"는 도상학적 분석을 건축분야로 확장했다.

1940년대부터 도상학은 두드러지게 발전하기 시작했다.[12] 대부분의 도상학 연구는 매우 밀도 높고 전문적이지만, 일부 분석은 훨씬 더 넓은 일반 독자층을 끌어모으기도 했다. 예를 들어 파노프스키의 이론(현재는 해당 그림의 전문가들 사이에서 인기가 떨어짐)은 얀 판 에이크아르놀피니 부부의 초상의 뒷벽에 쓰인 글귀가 그림이 결혼 계약의 기록이라고 주장하여 인기를 끌었다. 한스 홀바인대사들(The Ambassadors)은 도상학에 대한 새로운 이론을 담은 일반 대중을 위한 책들의 주제가 되었고,[13] 댄 브라운의 베스트셀러 다빈치 코드에는 레오나르도 다 빈치 작품의 도상학에 대한 분석 이론이 포함되어 있지만, 대부분의 미술사학자들은 이를 부인한다.

에르빈 파노프스키의 출판 이후 발전한 도상해석학 방법론은 1950년대 중반부터 비판적으로 논의되었고, 일부는 강하게 비판하기도 했다(오토 페흐트, 스베틀라나 알페르스). 그러나 비평가들 중 누구도 파노프스키의 해석 모델을 완전히 대체할 수 있는 해석 모델을 찾지 못했다.[14]

파노프스키가 평생 연구한 기독교 미술의 해석에 관해서는, 도상학적 관심이 여전히 중요하게 남아 있다. 이는 가톨릭 미술과 교회 건축의 의미가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후원자, 예술가, 관람자들이 권위 있다고 여겼던 성경적, 전례적, 신학적 텍스트의 내용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15]

현대에 들어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바르부르크 연구소프린스턴 대학교의 중세 미술 색인[16](이전의 기독교 미술 색인)과 같이 도상학적 배열 또는 색인을 가진 방대한 사진 컬렉션이 구축되었다(이 색인은 미국 초창기부터 도상학을 전문으로 다루었다).[17] 이들은 현재 디지털화 되어 제한된 방식으로 온라인에서 제공되고 있다.

또한 컴퓨팅의 등장에 따라 네덜란드에서 아이콘클래스(iconclass) 체계가 개발되었다. 이는 이미지 내용 분류를 위한 고도로 복잡한 시스템으로, 40,000개 이상의 분류 유형과 84,000개(14,000개 고유)의 키워드를 포함하며, 컬렉션 기록을 위한 표준 분류 체계이다. 이 시스템은 특정 세부 사항, 주제 또는 기타 공통 요소를 키워드로 이미지를 검색하는 거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는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한다. 예를 들어, 아이콘클래스 코드 "71H7131"은 "다윗의 편지를 들고 있는 밧세바 (혼자)"라는 주제를 나타내며, "71"은 전체 "구약성경"을, "71H"는 "다윗의 이야기"를 의미한다. 다양한 유형의 컬렉션이 아이콘클래스를 사용하여 분류되었는데, 특히 많은 종류의 옛 거장 판화, 회화관 (베를린) 컬렉션, 독일의 마르부르크 색인 등이 그 예이다. 이들은 대개 온라인 또는 DVD로 이용할 수 있다.[18][19] 이 시스템은 순수 미술사 외의 분야에서도(예: 플리커)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20]

Remove ads

간략한 개요

요약
관점
Thumb
17세기 중앙 티베트 탕카구햐사마자 악쇼브야바즈라의 탕카.

종교화는 인도계 종교아브라함계 종교를 포함하여 모든 주요 종교에서 어느 정도 사용되며, 종종 수세기 동안 축적된 전통에 따른 매우 복잡한 도상학이 존재한다. 서구의 세속적 도상학은 이러한 종교적 도상학을 활용한 것이다.

인도 종교의 도상학

인도계 종교의 도상학과 성인전의 중심에는 특정한 의미를 가진 무드라(몸짓, 자세)이 있다. 다른 특징으로는 기독교 및 이슬람 예술에서도 발견되는 아우레올라후광이 있으며, 아사나법륜, 바즈라, 차트라, 스와스티카, 푸르바, 단다와 같은 의례 도구로 표현되는 신성한 자질과 속성이 있다. 고대 원소 또는 마하부타를 나타내는 색채와, 알파벳 문자에서 파생된 신성한 글자 등도 다른 특징이다. 한편, 탄트라 예술의 영향으로 밀교적 의미를 가진 예술이 발전했는데, 이는 오직 입문자만이 접근할 수 있었다. 이는 티베트 예술의 특히 강력한 특징이다. 특히 힌두교의 여러 종파에서 인도 종교 예술은 성스러운 텍스트인 아가마에 의해 지배되는데, 이 아가마는 이콘의 비율인 탈마나(taalmana)와 맥락 속 중심 인물의 분위기를 묘사한다. 예를 들어, 비슈누의 화신인 나라심하는 진노한 신으로 여겨지지만, 일부 맥락에서는 평화로운 분위기로 묘사된다.

불교 이미지 유형에서는 단일 인물을 묘사하거나 집중하는 방식이 지배적이지만, 사르나트, 아잔타 석굴, 보로부두르와 같은 주요 유적지에서는 특히 초기 시대에 부처의 삶이나 이전 생애 이야기를 다룬 대형 석조 부조 또는 프레스코 그림이 발견된다. 반대로 힌두 예술에서는 최근 몇 세기 동안 서사 장면이 오히려 더 흔해졌는데, 특히 크리슈나라마의 생애를 다룬 인도 세밀화에서 그 예를 찾아볼 수 있다.

기독교 도상학

기독교 미술중세 미술르네상스 미술 시대에 두드러지게 발전한 기독교 도상학을 특징으로 한다.[21][22] 기독교에서는 초기부터 무성상주의(aniconism)를 거부하였고, 예수 이후 첫 7세기 이내에 초기 기독교 미술과 건축의 발전이 이루어졌다.[23][24] 로마 카타콤에 남아 있는 그림 중에는 "오란스"(손을 들어 기도하는 인물), 그리스도와 일부 성인들의 초상화, 그리고 구원을 의미하는 성경 에피소드의 간략한 표현 등이 있다. 콘스탄티누스 시대 이후의 기념비적 예술 작품은 로마 제국 이미지, 고대 그리스 및 로마 종교, 대중 예술에서 모티프를 차용해 사용했다. — 영광스러운 그리스도(Christ in Majesty) 모티프도 황제들의 초상화와 제우스에서 가져온 것이다. 고대 후기에는 도상학이 표준화되기 시작하고 성경과 더 밀접하게 관련되기 시작했지만, 복음서에서 서술되지 않은 많은 공백은 외경 복음서의 내용으로 채워졌다. 이후 교회는 이러한 것들 대부분을 제거하였지만, 그리스도 탄생에서 소와 나귀처럼 일부는 여전히 남아 있다.

Thumb
티흐빈의 테오토코스(1300c.), 호데게트리아(Hodegetria) 유형의 성모자상의 한 예.

비잔틴 성상 파괴 시대 이후, 동방 교회에서는 도상학은 (이단은 아니더라도) 건전하지 못한 것으로 간주되었지만, 여전히 매우 느린 속도로 변화가 일어났다. 동방에서는 전통적인 묘사가 종종 진정성 있거나 기적적인 기원이 있다고 여겨졌으므로, 예술가는 가능한 한 차이점이 없이 복사하는 것이 임무였다. 동방 교회는 또한 이교를 너무 연상시킨다는 이유로 기념비적인 고부조나 독립적인 조각상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대부분의 현대 동방 정교회 이콘은 천 년 전의 형상과 매우 유사하지만, 형태과 의미는 일부 변화가 있다. 예를 들어, 정교회 성탄화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성 요셉과 대화하는 양털을 입은 노인은 처음에는 양치기 중 한 명 또는 선지자 이사야를 나타내었지만, 이제는 대개 "유혹자"(사탄)로 이해된다.[25]

동서방 모두에서 예수, 마리아, 성인 및 기타 주제에 대한 수많은 도상학적 유형이 개발되었다. 특히 동방에서는 여러가지 이름의 마리아 이콘이 엄청나게 많았고, "전능자 그리스도" 유형의 이콘은 훨씬 더 흔하게 사용되었다. 특히 중요한 마리아 묘사로는 호데게트리아(Hodegetria) 유형과 파나기아(Panagia) 유형이 있다. 그리스도의 삶, 성모 마리아의 삶, 구약성경 이야기, 그리고 성인들의 삶을 묘사하는 대규모 연작을 포함하는 전통적인 모델이 발전했다. 특히 서방에서는 속성 시스템이 발전하여 인물이 들고 있는 상징적인 물건(예: 베드로의 경우 열쇠)으로 개별 성인을 식별할 수 있게 되었다. 동방에서는 텍스트 레이블로 식별되는 경우가 더 많았다.

로마네스크 미술 시대부터 서양 미술에서 교회의 조각이 점차 중요해졌고, 채식필사본과 함께 많은 도상학적 혁신의 중심지가 되었다. 채식필사본은 이미 도서예술 및 기타 요인의 영향으로 비잔틴과는 결정적으로 다른 방향으로 나아갔다. 프란치스코회의 등장과 신학의 발전은 성모 대관식성모 승천과 같은 주제의 혁신을 가져왔다. 대부분의 화가들은 다른 사람들의 작품을 복사하고 약간 수정하는 데 만족했으며, 대부분의 예술품을 의뢰한 성직자들이 무엇을 보여주기를 원하는지 매우 상세하게 지정했음이 분명하다.

예표론구약성경의 대부분의 사건이 그리스도나 마리아의 삶의 사건 또는 측면을 미리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을 말하며, 이 예표론이 예술에 반영됨에 따라 중세 후기에는 서양 기독교 미술에서 구약성경 장면이 많이 나타나게 되었다.

Thumb
로베르 캉팽의 1425-28년작 메로드 제단화는 매우 복잡한 도상학을 가지고 있어 여전히 논쟁 중이다. 요셉이 쥐덫을 만드는 것은 그리스도의 성육신이 사람들의 영혼을 잡기 위한 덫이었다는 아우구스티누스의 말을 반영하는 것일까?

로마네스크 미술고딕 미술 시대에는 종교 예술의 대다수가 복잡한 종교적 메시지를 가능한 한 명확하게 전달하는 것을 목표로 했지만, 플랑드르파가 도래하자 도상학은 매우 정교해졌고, 많은 경우 잘 교육받은 동시대인에게도 수수께끼처럼 보이게 되었다. 로베르 캉팽메로드 제단화얀 판 에이크롤랭 재상의 성모 및 "워싱턴 수태 고지"와 같은 작품에서 현대 도상학 연구가 밝혀낸 바에 따르면, 처음 보기에는 매우 전통적인 묘사로만 보이지만, 세부적인 부분에 미묘한 도상학적 의미가 숨겨져 있다. 훨씬 나중에 이탈리아 회화에서도 수수께끼 같은 취향이 발전되었는데, 대개 "르네상스 신플라톤주의"의 영향을 받은 세속적인 구성으로 표현되었다.

15세기 이후 종교화는 점차 이전의 구성 모델을 따르던 관습에서 벗어나기 시작했고, 16세기에 들어 야심 찬 예술가들이 각 주제에 대해 새로운 구성을 찾아 나섰다. 이전 예술가들로부터 직접적으로 차용하는 것은 전체 구성보다는 개별 인물의 포즈에 한정되어 나타났다. 종교개혁 이후 대부분의 개신교 종교화는 역사화의 틀에 따라 구상된 몇몇 장면으로 제한되었다. 또한 수십 년 후 가톨릭 트리엔트 공의회는 가톨릭 예술가들의 자유로운 표현을 상당 부분 제한했다.

Thumb
프랑스 수도원 벽에 이콘을 그리는 로마 가톨릭 수도사들.

서양의 세속적인 도상학

르네상스 이후 서양에서는 세속적인 주제의 회화가 보편화되기 시작했고, 역사화(신화, 초상, 풍속화, 심지어 풍경화를 포함)에서 자체적인 도상학 전통과 관습을 발전시켰다. 현대 매체와 장르인 사진술, 영화, 만평, 만화책 등에서도 도상학은 사라지지 않았다.

르네상스 시대 이후 신화를 주제로 한 그림들은 이론적으로 고전 고대의 도상학을 부활시키는 것이었지만, 실제로는 레다와 백조와 같은 주제들 처럼 대체로 독창적인 노선으로, 기존과 다른 목적을 가지고 발전했다. 작품이 예술가에게만 접근 가능할 수도 있는 개인적인 도상학은 적어도 히에로니무스 보스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프란치스코 고야, 윌리엄 블레이크, 폴 고갱, 피카소, 프리다 칼로, 요제프 보이스와 같은 예술가들에게도 중요하게 받아들여졌다.

Remove ads

미술사 외 분야에서의 도상학

대중문화에 나타나는 도상학은 기호학, 인류학, 사회학, 대중 매체 연구, 언론정보학, 문화 연구를 포함한 여러가지 학문 분야의 관심사이다. 이러한 분석들은 전통적인 미술 도상학에도 거꾸로 영향을 미쳤는데, 특히 기호학과 같은 개념이 관계가 깊다. 이미지를 도상학으로 분석, 논의하는 것은 종종 사회적, 문화적 가치를 탐구하려는 비판적인 "읽기"를 의미한다. 도상학은 영화학에서도 시각언어를 묘사하는 데 사용되며, 특히 장르 비평 분야에서 많이 적용된다.[26] 언론정보학 분야에서는 아동 성폭력이라는 사회적 문제를 묘사하기 위해 언론 보도에 사용된 스톡 사진을 분석하여 도상학을 적용한 사례가 있다.[27]

개별 작품의 도상학적 분석이 있는 문서

참고

  • 힌두 도상학
  • 도시 도상학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