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안동 권씨

한국의 성씨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안동 권씨
Remove ads

안동 권씨(安東 權氏)는 경상북도 안동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역사

안동 권씨(安東 權氏) 시조인 권행(權幸)은 신라 김알지의 후손이며 본래 성은 김씨(金氏)이다. 930년(고려 태조 13년) 고창군(高昌郡)에서 김선평(金宣平), 장길(張吉)과 함께 후백제군을 격파하고 고려 개국에 공을 세워 대상(大相)으로 임명되었다.[1] 《고려사》에는 흔행(昕幸)으로도 기록되어 있다.[2] 고려 태조는 그의 전공을 치하하며 "정세를 밝게 판단하고 권도를 잘 취하였다[能炳幾達權]"라며 권(權)씨 성을 사성하였다고 한다. 시조 권행의 묘소는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성곡리 천등산 능골에 있다. 김선평(金宣平), 권행(權幸), 장길(張吉. 개명 장정필(張貞弼)) 세 사람은 고려 창업의 공으로 삼한벽상아부공신(三韓壁上亞父功臣) 삼중대광태사(三重大匡太師)를 제수받았으며 983년(성종 2) 이 세 명을 기리기 위해 현재의 안동시 북문동에 삼태사 묘(三太師 廟)가 세워졌다.

9세손 권중시(權仲時)의 아들 권수평(權守平)이 고려 고종 때 추밀원부사를 역임하였다.[3] 권수평의 증손인 권부(權溥)가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에 봉해졌고, 그의 아들 5형제도 모두 군(君)에 봉해졌다.

Remove ads

족보

1476년(조선 성종 7년)에 간행된 안동 권씨 추밀공파 성화보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족보이다. 《연려실기술》에는 문화 류씨의 가정보가 제일 오래된 족보라고 기록되어 있지만 현존하지 않는다. 성화보는 1476년(조선 성종 7년)에 제작한 목판본이며 서거정이 서문을 썼다.

본관

경상북도 중북부에 위치한 지명이다. 본래 고창녕국(古昌寧國)이었다. 신라의 고타야군(古陀耶郡)이 되었다가 757년(경덕왕 16)에 고창군(古昌郡)으로 고쳐졌다. 930년(고려 태조 13년) 권행(權幸)이 고려 태조를 도운 공으로 안동부(安東府)로 승격되었다. 980년(경종 5년) 영가군(永嘉郡)으로 개칭되었다. 1197년(명종 27) 안동도호부로 승격되었고, 1204년(신종 7) 안동대도호부로 승격되었다. 1308년(충렬왕 34) 복주목(福州牧)으로 개편되었다가 1361년(공민왕 10) 홍건적의 침입으로 피난 온 공민왕을 섬긴 공으로 다시 안동대도호부가 되었다.

조선왕조실록에 안동대도호부(安東大都護府)의 토성(土姓)으로 권(權)·(金)·강(姜)·조(曺)·(張)·(高)·이(李) 7성이 기록되어 있다. 1896년 경상북도 안동군으로 개편되었고, 1963년 안동시로 승격되었다.

예천 권씨(醴泉 權氏)는 안동대도호부 예천군의 토성(土姓)인 흔(盺)씨였으며, 호장(戶長)을 세습하였다. 《고려사(高麗史)》에 백제의 장군 흔강(昕康), 929년(태조 12년) 원윤(元尹) 흔평(昕平),[4] 930년(태조 13년) 흔행(昕幸), 936년(태조 19년) 흔악(昕岳) 등의 기록이 보이는데, 1198년(고려 신종 원년)에 신종(神宗)이 명종(明宗)의 구휘(舊諱)를 피하여 흔씨(昕氏)에게 권(權)으로 성(姓)을 고쳐 주었다고 한다.[5]

분파

  • 검교공파(檢校公派) : 고려 검교대장군을 지낸 권척을 파조로 한다.
  • 광석공파(廣石公派) : 권대의를 파조로 한다.
  • 군기감공파(軍器監公派) : 군기감을 지낸 권사발을 파조로 한다.
  • 동정공파(同正公派) : 고려 호장동정을 지낸 권체달을 파조로 한다.
  • 별장공파(別將公派) : 고려 별장을 지낸 권영정을 파조로 한다.
  • 복야공파(僕射公派) : 고려 상서좌복야 상장군을 지낸 권수홍을 파조로 한다.
  • 부정공파(副正公派) : 고려 식록부정을 지낸 권통의를 파조로 한다.
  • 부호장공파(副戶長公派) : 고려 때 부호장을 지낸 권시중을 파조로 한다.
  • 수중공파(守中公派)(종파) : 권수중을 파조로 한다.
  • 시중공파(侍中公派) : 고려 시중을 지낸 권인가를 파조로 한다. 원래는 강릉 권씨였다.
  • 좌윤공파(佐尹公派) : 고려 호장좌윤을 지낸 권지정을 파조로 한다.
  • 중윤공파(中允公派) : 고려 호장중윤을 지낸 권숙원을 파조로 한다.
  • 호장공파(戶長公派) : 고려 호장을 지낸 권추를 파조로 한다.
  • 추밀공파(樞密公派) : 추밀원부사 권수평을 파조로 한다.
  • 급사중공파(給事中公派) : 권형윤을 파조로 한다.
Remove ads

고관대작

근대이전

자세한 정보 성명, 출생 ...

근대이후

자세한 정보 성명, 출생 ...
Remove ads

항렬자

  • 31세 ~ 40세 : 항렬자가 이름의 가운데에 옴
자세한 정보 31세, 32세 ...
  • 41세 ~ 50세 : 항렬자가 이름의 끝에 옴
자세한 정보 41세, 42세 ...
  • 51세 ~ 60세 : 항렬자가 이름의 가운데에 옴
자세한 정보 51세, 52세 ...
Remove ads

왕실과의 인척 관계

고려

조선

집성촌

Remove ads

인구

  • 2000년 629,291명
  • 2015년 696,317명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