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유인적 위험물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유인적 위험물(誘引的 危險物, Attractive nuisance)은 미국의 불법행위법내 원칙으로 땅주인이 어린이가 유인적 위험물에 이끌려 불법침입을 하여 상해를 입었을 경우 땅주인이 그에 대한 책임을 진다는 커먼로상 법리이다. 이 원칙으로 인해 토지소유자가 버려진 자동차, 목재 또는 모래더미, 트램폴린, 수영 풀 등으로 인해 책임을 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Remove ads
판단기준
불법행위 법제록에 따르면 유인적 위험물을 따지는 기준은 다음과 같다.
- 주인이 합리적인 기준에서 어린이의 불법침입을 예상할 수 있어야 한다.
- 불법침입시 어린이에게 중대한 상해를 합리적인 기준에서 예상할 수 있어야 한다.
- 어린이가 위험을 자각하지 못해야 한다.
- 주인이 위험을 제거하는 노력이 어린이가 처할 수 있는 위험에 비해 경미하여야 한다.
- 주인이 위험을 제거하거나 어린이를 보호하려는 상식적인 수준의 노력을 하지 않아야 한다.
보통 땅 경계에 경고표지를 세우는 것이 일반적이나 모든 책임을 면하지는 않는다. 주인이 어린이를 보호하려는 적극적인 노력을 보여야 한다. 어린이의 정의 역시 법적으로 명확하지 않다. 유인적 위험물로는 폐 자동차, 통나무, 모래더미, 수영장 등이 있다.
사례
아이들은 종종 자연적인 물웅덩이가 있는 X의 땅에 건너온다. 비교적 낮은 비용으로 그 물웅덩이는 벽으로 에워쌀 수가 있다 결국에는, 불법침입한 한 아이가 웅덩이에서 수영을 하다 익사한다. 그 물웅덩이는 사회적 적은 효용을 가지며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팬스쳐질 수 있지만, X는 아이에게 아무런 의무는 없다. 그는 자연(인공이 아닌)의 상황의 결과로 죽었다.
참고 문헌
- Black's Law Dictionary 1486 (8th ed. 2004)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